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기계공학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자동화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질문자님 말씀 처럼 자동화가 진행되고 또한 인공지능까지 겸비 되면 더더욱 일자리는 로봇이 대체하게 될것입니다. 특히 생산직이나 단순 기술직은 대부분 자동화로 대체 될것입니다. 이로 인해서 생산직들의 일자리는 없어지고 자동화 설비를 고치는 엔지니어들만 더 많은 수요가 생기게 될것입니다. 그래서 공장에는 자동화 로봇이 전체 생산을 하고 이런 로봇을 고치는 것도 로봇이 하고 이런 로봇들을 관리하는 일부 엔지니어만 남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런 변화에 발 맞쳐서 정부에서나 기업에서는 이런 근로자들이 유연하게 직업전환을 할수 있게 직업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고 또한 갑작스러운 변화에 의해서 충격을 받을 것을 대비해서 심리, 제도적으로 완충재를 마련해야할것으로 보입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인공지능이 어느 영역까지 먹어버릴까요?
인공지능의 발전에 의해서 모든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대체가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즘 인공지능 보시면 창작을 하는 영역까지 발전되고 있어서 사람이 할수 있는 모든 분야에 대체가 될것이고 그로인해 단순 노동을 넘어서 정교한 노동, 힘든 노동등등 모든 것에 인공지능이 들어가고 그럼 결국 이런 인공지능의 오류를 점검하는 엔지니어들만 일을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용접이 종류가 많이 있는 거 같은데 용접은 어떤 종류의 용접들이 있나요?
용접은 2개의 같은 금속또는 서로다른 금속을 고열로 붙이는 기술입니다. 그 종류가 여러가지 있는데요. 그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몇가지만 이야기 드리면 먼저 가스를 사용해서 고열로 금속을 녹여서 붙이는 가스 용접이있습니다. 그리고 금속에 아크를 발생시켜 금속 일부와 용접봉이 녹여서 용접하는 아크 용접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금속에 전기를 흘려서 발생된 저항열로 용접하는 전기저항용접이있습니다. 그리고 기타 마찰용접, 초음파용접등등이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km,cm,m 시간단위 변환으로 계산하는 방법좀요
90km/200만년=4.5cm/년을 계산하면 1km = 1000m이고 1m = 100cm이니깐 90km → 90000m → 9000000cm 가 됩니다. 그리고 1만년 = 10000년이니깐 200만년 → 2000000년이 되고 그래서 9000000cm / 2000000년 = 4.5cm/년 입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고물상에다가 나사 판매 가능한가요?
나사도 재질이 다 다르긴한데 대부분 철이라서 고물상에 고철로 파시면될듯 싶습니다. 고물상에서는 고철을 키로당 얼마로 해서 팔기때문에 실제로 15키로라고 해도 금액은 얼마 되지 않습니다. 제가 옛날에 고철 팔때 키로당 300원도 안했더걸로 기억합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핸드카트는 수레의 앞부분이 바퀴가 움직여야 하나요 뒷부분이 바퀴가 움직여야 하나요??
인터넷에 핸드카트를 검색해보면 4개의 바퀴가 달린 카트가 나오는데요. 어떤 카트를 말씀하시는지 모르지만 일반적으로 바퀴 4개가 모두 움직이게 되어 있고 물건을 옮기는 용도의 카트의 경우 손잡이를 기울여서 손잡이 밑에 있는 바퀴 2개만으로 끌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8일 작성 됨
Q.
모든 발전터빈에는 자석이 필수로 들어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발전터빈은 기체나 액체의 흐름을 기계적인 운동에너지로 변환 시켜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이때 운동에너지로 자석이나 코일을 돌려서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전자기 유도 현상은 자석의 자기력선인 자기장에 의해서 코일이 스스로 전류의 흐름을 만들어서 그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좋은 자석이 있어야지 더욱 효율이 높고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생성할수 있는 것입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8일 작성 됨
Q.
자율주행차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자율주행차는 질문자님 말씀 처럼 미국자동차공학회(SAE) 0~5단계로 나눠집니다. 0단계~2단계까지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자를 보조해주는 것으로 운전자가 항시 운전대를 조작하고 자율주행은 단지 보조만 해주는 것입니다. 3단계는 조건부 자율주행으로 고속도로와 같이 변수가 적은 도로에서 운전자가 운전대 조작없이 자율주행하는 것입니다. 변수 발생시 운전자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4단계는 고도 자율주행으로 전체 도로에서 자율주행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이자율주행도 결국 데이터 이외의 상황이 있으면 운전자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5단계는 완전 자율주행으로 운전자가 없어도 알아서 자율주행하는 단계입니다. 자율주행의 최종 목표입니다. 현재 상용화는 대부분 2~3단계 까지 되어 있습니다. 기술단계는 4단계까지 되어 있지만 상용화는 어려워서 현재에는 4단계까지 가기 위해서 수많은 케이스의 데이터가 필요하기 떄문에 데이터를 모으고 있는 중입니다. 머지않아서 4단계까지 상용화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8일 작성 됨
Q.
기술이 쇠퇴할 것 같다고 제가 생각했어요
R&D비용 즉 연구 개발비용이 삭감됨으로 인해서 우리나라 이공계 학생들은 진로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 대학생들의 경우에도 대학원을 가야할지에 대해서 고민중이라고 합니다. 연구 개발비용이 줄게 되면 실패했을 경우에 대해서 수많은 CASE연구가 어렵고 또한 성공하기도 어렵게 됩니다. 그리고 특히 국내 대학교에 수많은 인재들이 국내 대학교 대학원을 지원하는데 어렵게 됩니다. 즉 해외 대학교를 지원하는 폭이 늘어 날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학원을 가서 연구하면서 자신의 꿈을 펼치고 싶은데 돈이 없어서 연구가 어려우니 해외로 진학하거나 처음부터 이공계는 의대로 가야한다는 생각이 만연해지게 되고 그럼 결국 국내 이공계의 연구 개발은 부진해지고 인재도 줄어 들면서 당연히 다른 나라에 뒤쳐지게 되는 것입니다. 베트남 필리핀 우리보다 못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지금 실제로 가보시면 많이 발전되고 좋아 지고 있습니다. 지금 연구개발비용의 삭감은 당장도 문제지만 먼 미래의 우리 아이들에게 영향이 미칠수있으니 나라에서 재검토를 해야하지 않나 개인적으로 생각해 봅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8일 작성 됨
Q.
반도체공장해외이전시에 발생할 문제
미국주도에 의해서 결성하는 칩4(미국, 대만, 일본, 한국) 협력체제 입니다. 결국 미국 주도하에 반도체에 대해서 서로 협력하는 체제를 말합니다. 이런 체제가 되면 결국 모든 반도체에 사용되는건 가격이나 품질부분과 상관없이 이런 협력체제에서 우선 사용되어야하는 상황입니다. 기사를 찾아 보시면 애플은 이런 협약과 상관없이 비휘발성메모리를 4개 국이 아닌 중국업체를 사용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야 뭐 여러가지가 있지만 결국 가격적인 부분을 무시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미국과 협력체재로 가서 중국 등은 결국 이전 사드배치와 같은것으로 판단되어 되려 반도체외의 품목에서 보복이 들어올수 있습니다. 이전 사드 배치로 중국 진출 기업들 줄줄이 철회하고 들어오고 중국 음식들 반입 어려워지는등 문제가 되어서 이런 문제들이 발생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411
412
413
414
4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