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고결한소쩍새194
고결한소쩍새194

자율주행차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자율주행차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회장이 올해 안에 5단계 자율주행 기본 기능을 갖게 될 것이라 밝혔다. 이러한 것과 상관 없이 자율주행차는 현재 어느 단계까지 올라와 있나요?미국자동차공학회(SAE)에 따르면 자율주행은 레벨0에서 레벨5까지 총 6단계로 나눠진다.

출처 위키백과

여기서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이것에 관하여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3단계 : partial automation (부분적 자율주행)

    운전자는 상황을 파악하고 운전합니다.

    고속도로 주행보조 또는 가감속 및 조향에 개입합니다.

    4단계 : conditional automation (조건부 자율주행)

    운전자는 시스템이 요청시에 운전을 하게됩니다.

    시스템이 상황을 파악하고 운전합니다.

    교통혼잡시 저속주행이 가능하며

    고속도로 주행 및 차로 변경등이 가능합니다.

    5단계 : high automation (높은수준 자율주행)

    운전자는 개입하지 않습니다.

    도로 상황과 조건을 파악하여 운전하게 됩니다.

    6단계 : full automation (완전 자율주행)

    완전 자동화 단계입니다.

  •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개입 정도에 따라 0부터 5단계까지 6단계로 구분됩니다.

    • 레벨 2: 부분적 운전자 지원 (일반 도로에서 차선 유지, 속도 조절 지원 등) - 혼다 레전드, 현대 G90 HDP 등

    • 레벨 3: 조건부 운전자 자동화 (고속도로에서 특정 조건 하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주행 가능) - 2021년 혼다 레전드 출시 이후 아직 보급 규모는 제한적

    • 레벨 4: 고도로 자동화된 운전 (특정 지역이나 조건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주행 가능) - 2025년 이후 상용화 예상, 웨이모, 크루즈 등 일부 기업에서 테스트 진행 중

    • 레벨 5: 완전 자동화된 운전 (모든 상황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주행 가능) - 상용화 시기는 아직 불확실, 기술적, 법적, 사회적 문제 해결 필요

    글쓴이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합니다.

  • 자율주행차는 질문자님 말씀 처럼 미국자동차공학회(SAE) 0~5단계로 나눠집니다. 0단계~2단계까지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자를 보조해주는 것으로 운전자가 항시 운전대를 조작하고 자율주행은 단지 보조만 해주는 것입니다. 3단계는 조건부 자율주행으로 고속도로와 같이 변수가 적은 도로에서 운전자가 운전대 조작없이 자율주행하는 것입니다. 변수 발생시 운전자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4단계는 고도 자율주행으로 전체 도로에서 자율주행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이자율주행도 결국 데이터 이외의 상황이 있으면 운전자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5단계는 완전 자율주행으로 운전자가 없어도 알아서 자율주행하는 단계입니다. 자율주행의 최종 목표입니다. 현재 상용화는 대부분 2~3단계 까지 되어 있습니다. 기술단계는 4단계까지 되어 있지만 상용화는 어려워서 현재에는 4단계까지 가기 위해서 수많은 케이스의 데이터가 필요하기 떄문에 데이터를 모으고 있는 중입니다. 머지않아서 4단계까지 상용화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미국의 자동차 공학회인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는

    자율주행의 단계를 6단계로 구분했는데요.

    1. 자율주행 Level 0 : 비자동화(no automation)

    운전자가 모든 주행을 통제하고 책임지는 보통 운전자 조작

    주행의 단계를 말합니다.

    차량 시스템의 경우 긴급상황 알림 등의 간단한 기능만을

    수행하게 됩니다.

    2. 자율주행 Level 1 : 운전자 보조(driver assistance)

    현재 대부분의 보급되어있는 자동차가 level1 단계에

    해당되어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시스템이

    주행에서 운전자를 보조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상태입니다.

    3. 자율주행 Level 2 : 부분 자동화(partial automation)

    차량의 시스템이 특정 조건이 되면 일정 시간동안 차량의 조향

    그리고 차량 속도의 가감속 기능을 차량과 인간이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단계를 말합니다.

    완만한 커브 같은 조건에서 조향 또는 앞 차와의 간격 유지등의

    기능을 시스템이 보조해줍니다.

    그러나 이 단계 역시 아직은 운전자가 개입해야하는 영역의 단계입니다.

    4. 자율주행 Level 3 : 조건부 자율주행(conditonal automation)

    고속도로와 같은 특정조건에서 시스템이 주행을 담당할 수 있는

    단계를 의미하며, 위험 상황이 있을 시에는 운전자가

    개입을 해야하는 단계입니다.

    보통 우리가 일반적으로 자율주행의 단계를 Level3부터라고

    볼 수 있는데요.

    주행에 대한 컨트롤과 변수 등을 시스템이 감지하고 담당할 수 있습니다.

    5. 자율주행 Level 4 : 고등 자율주행(high automation)

    대부분의 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단계입니다.

    주행에 대한 컨트롤곽 책임이 모두 시스템이 통제하게 되지만,

    악천후와 같이 차량의 시스템이 자율주행에 방해를 받게 되는

    특수 조건에서만 운전자가 필요한 단계입니다.

    6. 자율주행 Level 5 : 완전 자율주행(high automation)

    바로 Level 5가 앞서 언급한 FSD 즉 Full Self Driving의 단계입니다.

    Level4를 넘어 악천후와 같은 환경일지라도 차량의 시스템이

    모든 주행에 대한 통제를 해 낼 수 있는 단계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