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화학
화학 이미지
Q.  냄새를 계속맡다보면 익숙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후각은 후각령이 거의 퇴화돼서 인지 다른 감각에 비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같은 냄새를 오래 맡을 경우 냄새를 구별할 수 없다. 이를 후각 피로(olfactory fatigue)라고 부른다.출처 : 나무위키 - 후각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아지랑이, 무지개, 신기루 등은 빛의 무엇때문에 이렇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봄에 발생하는 대기현상 중 대표적인 것이 아지랑이 입니다. 아지랑이는 고온으로 달궈진 땅 주변의 공기 가 주변의 공기보다 뜨거워지며 생기는 대류현상인데 요.햇볕이 강할 때는 땅이 열을 받아 공기 상승 현상이 일어납니다. 가열된 공기는 뜨거워지면서 주위 공기 보다 가벼워져 위로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 기는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서 공기의 밀도차가 발생 하는데요. 아지랑이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공기 대 류사이를 빛이 통과할 때 굴절현상이 나타나면서 보 이는 현상입니다.운전을 하다가 아지랑이를 볼 때도, '아~ 이제 봄이 왔구나!'라고 느끼게 되는데요. 공기의 밀도차이로 발 생하는 아지랑이는 지면 뿐 아니라 가열된 물체 위에 서도 볼 수 있답니다. 예를 들면 강한 열을 발산하는 전투기 엔진에서도 볼 수 있죠.신기루는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빛이 굴절돼 발생하는 착시 현상입니다. 신기루하면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떠올리는 이유는 신기루 현상 때문에 먼 곳에 물이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느끼기 때 문인데요. 신기루는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의 기온 차 가 클 경우,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온층 사이를 빛이 통 과할 때 굴절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지면이 뜨거울 때 발생하는 신기루는 햇볕이 뜨거운 날 도로 위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도로를 달릴 때 빛이 비치며 물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시간이 지나면 멀리서 봤던 물이 사라 지게 되는 현상이죠. 반대로, 땅이 차고 위가 따뜻할 경우 기온역전현상으로 먼 곳의 실물이 솟아올라 보 이거나 거꾸로 된 모습으로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습 니다. 이같은 신기루는 북극해 주변에서 자주 발생한 다고 합니다.아지랑이와 신기루가 공기의 밀도차이에 의한 빛의 굴절이라면, 무지개는 물방울에 의한 태양광선의 반 사•굴절 현상입니다. 무지개는 봄철에만 나타나는 현 상은 아닌데요! 살랑살랑 불어오는 봄바람을 느낄 때 기분이 좋아지는 것처럼 무지개를 보면 기분이 좋아 지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죠?태양과 반대쪽에 비가 올 경우, 그 물방울에 비친 태 양광선이 물방울 안에서 반사•굴절되면 무지개를 볼 수 있습니다. 인위적으로도 무지개를 만들 수 있는데, 가장 간편한 방법은 분무기입니다. 태양을 등지고 분 무기를 뿌리면 무지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분 수나 폭포 근처에 있으면 태양의 위치, 관찰자의 위치 에 따라 무지개를 볼 수 있습니다.출처 : 기상청블로그 - 대기현상이 나의 삶으로 들어온다면 (feat. 아지랑이, 신기루, 무지개)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자전의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전이란, 천체가 한 축을 중심으로 스스로 한 바퀴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태양계에 있는 모든 천체들은 자전과 공전을 한다. 태양계뿐만 아니라 다른 항성들이나 떠돌이 행성, 블랙홀 또한 마찬가지다. 심지어 오르트 구름의 창안자 얀 오르트에 의해 은하도 자전과 공전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자전하는 이유에 대한 유력한 가설은 항성과 행성이 형성되었을 때의 흔적이라는 것이다. 이들 천체는 가스 구름이 서로 뭉치면서 형성된 결과물인데 이 가스 구름은 소용돌이 치는 형태로 빙글빙글 돌면서 뭉친다. 마침내 모든 물질들이 뭉치면 하나의 천체가 되는 데 이 천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의 빙글빙글 도는 운동을 관성의 법칙에 의해 가지기 때문에 계속 끝없이 돌게 되는 것이다. 초기 가스 구름의 회전이 매우 느리다 하더라도 가스가 뭉쳐 천체가 되는 과정에서 각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회전 속도는 매우 빨라진다. 이를 자전이라고 부른다.출처 : 나무위키 - 저전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달은 잠을잘때 미역이나 해조류를 덮고 자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서식지는 일본 북쪽 홋카이도부터 캄차카 반도, 쿠릴 열도, 알래스카, 캘리포니아, 바하 칼리포르니아까지 퍼져 있으며 가장 많은 건 알래스카 반도 남쪽. 주로 먹는 먹이는 조개류인데, 배 위에 돌을 올려놓고 조개를 내리쳐 깨서 내용물을 먹는 습성이 있다. 주변에 마땅한 돌이 없으면 선박에 조개를 때려서 깨먹기도 한다. 조개 이외에도 각종 어류, 갑각류를 먹는다. 잠잘 때는 수면 위에 있는 해초에 몸을 감아 조류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센스도 있다.출처 : 나무위키 - 해달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불가사리 중에서 다리가 가장 많은 불가사리를 몇 개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문어다리불가사리는 몸통은 원형이며 약간 부풀어 올라와 있다. 팔은 수가 많고 보통 31개이다. 팔이 잘 끊어지나 재생력이 강하여 같은 길이로 재생이 된다. 조간대와 천해의 모래지대의 조개류 근처에 살고 있으며 조개류를 먹는다.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며 일본 일부에 분포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 문어다리불가사리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문득 궁금해 지는데 에어콘은 어떻게 시원한 바람을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에어컨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에어컨을 가동하면 실내에서 찬바람이 나오고, 실외기에서는 따뜻한 바람이 나옵니다. 즉 에어컨은 실내의 더운 열을 모두 흡수하여 밖으로 배출하는 동작을 합니다.에어컨의 프레온 가스가 차가운 액체 상태에서 배관을 따라 실내기로 순환되면서 실내기 내부 냉각핀에 증발하여 기체로 될 때 열을 흡수하여 결국 주위를 차갑게 만듭니다. 이와 같이 차가운 주위를 냉각핀 안쪽에서 송풍기 팬이 가동되면서 찬바람이 나옵니다.출처 : [LG 에어컨 기능] 에어컨 동작원리가 궁금하세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비행기속 산소마스크의 동작원리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를 직접적으로 공급하지 않으며, 산소통 또한 없다. 이는 고체상태의 염소산칼륨과 염소산나트륨을 점화기를 이용해 순수한 산소 상태를 만들어 산소마스크에 공급한다. 보통 이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타 화약물질이 열로 인해 산소로 바뀌면 폭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산소마스크는 기내 기압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승객 좌석 위, 선반속에서 비행 관리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내려온다. 이는 화재, 실속, 강하 등의 상황에서 내려오며, 산소농도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일부 기종의 경우 좌석에서 승객이 직접 꺼내 착용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DC-10. 항공기용 산소마스크는 1950년대 이후 개발되었다.출처 : 나무위키 - 산소마스크
물리
물리 이미지
Q.  하체근육이 발달해야 상체도 발달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허벅지쪽에 걷고 뛰고 움직임에 있어서 없어서 안되는 근육이라서 근육이 많지만 하체를 발달해야지만 상체가 발달 되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내가 어디를 운동을 많이하냐에 따라서 그 부위가 발달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터넷등에서 찾아보면 상체만 발달된분들이 있고 하체만 발달된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하체가 발달해야지 상체가 발달한다는 말은 맞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야광은 색깔이나 밝기가 일정한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광(夜光)은 어두운 곳에서 빛을 내는 현상 또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물체를 말한다. 대표적인 방식은 축광(蓄光)이 있고, 화학적인 매개로 이루어진다. 빛을 받고나서 불을 끄면 빛을 희미하게 발하다가 서서히 어두워지는게 특징. 일반적인 야광이 이런 식이다. 보통 스트론튬화합물이 사용된다.(출처 : 나무위키 - 야광)즉 야광도 결국 빛을 받아서 축적해 놓았다가 어두우면 빛을 발하다 희미해지니깐 결국 지속적으로 빛이나는것이 아니고 또한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서 색이 변경될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단열에 좋다는 3중 유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3중 유리는 유리를 3중으로 해서 그 안에 열전도율이 낮은 기체를 주입해서 안에 있는 열을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하는 원리입니다. 열전도율이 낮은 기체로는 아르곤, 크립톤 가스 등이 사용 된다고 합니다.
4164174184194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