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람은 몇개의 세포로 만들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세포(細胞, 영어: cell)는 모든 생물체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이다. 세포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세포생물학이라고 한다. 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 및 핵산과 같은 많은 생체분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생물은 단세포 생물(단일세포로 구성됨, 세균 포함) 또는 다세포 생물(식물 및 동물 포함)로 분류할 수 있다. 식물 및 동물의 세포수는 생물종마다 다르며, 사람은 약 60조(6×1013) 개의 세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부분의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는 1~100 (μm)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출처 : 위키백과 - 세포
Q. 몸은 한개인데 머리가 두 개 태어난 사람은 어떻게 가능한 거죠?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샴쌍둥이는 한마디로 ‘불완전한 일란성 쌍둥이’다. 일란성 쌍둥이는 정자와 난자가 만난 지 13~15일이 지난 수정란에서 개체로 성장할 부분인 내세포괴(inner cell mass)가 2개로 나뉘어 각각 성장함으로써 탄생한다. 그런데 샴쌍둥이는 내세포괴의 분리가 진행되다가 멈춰 신체의 일부가 결합된 채 태어나는 것. 분리가 중단되는 원인은 정확하지 않고 붙은 부위도 머리, 가슴, 골반, 척추 등 다양하다. 각자의 뇌와 의식을 가진 두 사람이 일부의 장기를 공유하는 셈이다.출처 : 용상안동병원 - 샴쌍둥이란?
지구과학·천문우주
Q. 마그누스 효과는 무엇인가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체 속을 회전하며 움직이는 물체가 운동 방향의 수직으로 힘을 받아 경로가 휘는 현상. 1852년에 독일의 물리학자인 하인리히 구스타프 마그누스가 마그누스 효과를 발표했다. 흥미롭게도 마그누스가 이 이론을 발표하기 전인 1672년 아이작 뉴턴은 캠브리지 대학의 테니스 선수를 관찰하고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마그누스 효과를 이미 설명했다고 한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던져진 야구공에게는 공기 유체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데, 단면축 시계방향으로 강하게 회전하는 상황(공을 던진 투수의 시각에서는 공의 표면이 아래쪽으로 흐르는 스핀, 당구공의 비유라면 공의 아래쪽을 때린 끌어치기 즉 히키 스핀)에서 마그누스의 효과는 공이 살짝 위로 올라가려 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유체 속에서 공이 왼쪽 방향의 선속도와 시계 방향의 각속도를 가지고 운동한다고 하자. 공의 입장에서는 유체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보일 것이다. 그런데 공의 표면에 아주 가까운 공기는 공의 회전에 의해 유체가 시계 방향으로 끌리므로, 공 위쪽은 속도 성분이 서로 중첩되어 속도가 빨라지고, 공 아래쪽은 반대로 느려질 것이다.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유체속도가 빠른 위쪽은 압력이 낮아지고, 아래쪽은 압력이 커지므로 공은 위쪽으로 힘을 받는다. 요약하자면 일반적으로 마그누스의 힘은 공의 회전 방향 (전진면)쪽으로 가해진다.출처 : 나무위키 - 마그누스 효과
지구과학·천문우주
Q. 사막이 건조하고 비가 적게오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건조 지역은 물의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지역으로 보통 강수량 500mm 이하 지역을 말해요. 세분하면 강수량이 250mm~500mm까지는 짧은 풀이 자라는 스텝(steppe)기후를 가진 지역이고, 강수량이 250mm 미만 지역을 사막 지역이라고 불러요. 적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기후 지역은 뜨거운 태양으로 인한 저기압이 형성되어 강수량이 많아요. 하지만 남북회귀선이 있는 위도 30° 부근에는 강력한 아열대 고기압의 영향에 의해 비가 내리지 않는데요. 때문에 이 지역에 사막이 형성되고 사막을 둘러싸고 띠 모양으로 스텝이 위치한답니다.사막은 크게 세 가지 원인으로 형성되는데요. 첫 번째는 앞에서 이야기한 아열대 고압대에 의해 만들어진 사막이에요. 지도에서 보면 남북회귀선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규모의 사막이 이러한 원인으로 만들어진 사막이랍니다. 대표적인 사막으로는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트빅토리아 사막, 아라비아반도의 룹알할리 사막 등인데 ‘열대 사막’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두 번째는 바다에서 수증기 공급이 되지 않아 형성되는 사막이에요. 대륙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주변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면 수증기가 공급되기 어렵기 때문이에요. 대표적인 사막으로 북미의 모하비 사막, 남미의 파타고니아 사막, 중국의 타클라마칸 사막과 고비 사막이 있어요. 이러한 사막을 ‘온대 사막’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세 번째, 사막은 바닷가 근처이지만 차가운 한류가 흐르는 지역으로 비가 내리지 않아서 생겨요. 남아메리카의 아타카마 사막은 페루 한류가, 아프리카의 칼라하리 사막은 벵겔라 한류가 흐르는 지역에서 생겼어요. 이러한 사막을 ‘해안 사막’이라고 하기도 해요.출처 : 극한 지역에서의 생활, 건조 기후 -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