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겨울비가 올때도 천둥이 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와 천둥은 눈이 올 때 보기 힘든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이야기했듯 번개와 천둥은 아래쪽은 따뜻한 공기, 위쪽은 차가운 공기가 형성되는 봄철에 주로 발생합니다.하지만, 겨울철에 내리는 눈은 기온이 섭씨 0℃ 이하로 떨어지며 구름 안의 물 입자 혹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서 결정화된 것입니다. 작은 얼음알갱이로 구성된 구름이 발달하고, 영하의 온도라는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름의 고도 역시 더 높아져야 합니다.이 조건에 부합하는 구름은 상층운이나 중층운인데, 이는 번개와 천둥이 치기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아 눈이 올 때 번개와 천둥을 보기 힘든 것입니다. 하지만, 드물게 날씨가 너무 추우면 적란운에서 눈이 내리게 되고 이때, 우리는 눈이 오는 날 천둥과 번개를 볼 수 있어요.출처 : DB블로그 - 눈이 올 때 천둥번개가 치지 않는 이유?
Q. 염화칼슘은 어떤화학작용으로 자동차를 부식시키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반응 안정성이 높은 염화 이온과 칼슘 이온이 물체를 부식시킨다는 것이 이해가 잘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탄산 이온과 칼슘 이온이 만나면 탄산칼슘으로 침전하고, 반응 부산물로 염산을 남긴다. 이러한 염산은 탄산보다 용해도와 해리도가 높은 고로, 당연히 금속을 부식시킨다. 또한 시멘트도 탄산칼슘과 산화칼슘의 혼합물로 이뤄져 있으므로 염화칼슘과 치환되거나 산에 녹아 강도가 약해지기 쉽다.출처 : 나무위키 - 염화칼슘
Q.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눈밑이 왜 떨리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체내에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스트레스를 더 잘받고, 불안함, 초조함 등을 더 쉽게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눈떨림 등의 경우 마그네슘이 치료나 증상완화용으로 도움이 된다는 명확한 근거는 존재하지 않으며, 주변에서 흔하게 "눈떨림은 마그네슘이 부족해서 생기는 거니까 마그네슘을 먹으세요"라고 하지만 실제로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마그네슘이 결핍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이는 옳지 않은 주장이다. 애초에 마그네슘이 눈 밑 근육 수축만 관여하는 것도 아니고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눈떨림 이외에도 전신 근육의 경련이나 마비가 생기게 되지, 눈만 떨리는 걸로 끝나지 않는다. 눈 주위 근육보다 더 작은 근육들도 차고 넘치는데 눈떨림만 가지고 마그네슘 결핍과 연관짓는 것은 과다한 확대해석인 것이다. 최근에는 약사와 같은 약물 전문가들 중에서도 눈떨림과 마그네슘은 별 상관 없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며 병원 정보지나 의사들은 그냥 쉬면 낫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하는 편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눈떨림은 신경질환이 있는 게 아닌 이상 보통 그냥 피로, 스트레스, 커피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실제로 분당제생병원 신경과 연구팀이 눈떨림을 호소하는 환자들과 정상인을 비교해보았을 때 혈중 마그네슘 농도의 차이는 없었다고 하며 피로도의 차이만 있었다고 한다.출처 : 마그네슘
지구과학·천문우주
Q. 천둥칠때 왜 하늘이 먼저 번쩍이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천동, 天動)은 번개를 동반하는 대기 방전 현상, 또는 번개가 친 다음에 하늘에 크게 울리는 소리를 가리킨다. 번개가 치면 그 순간 번개 주변의 공기는 섭씨 30,000도 가까이 올라가게 된다. 당연히 이렇게 달궈진 공기는 급팽창하고, 이 팽창이 주변에 충격파로 전달되어 굉음이 울려퍼지는 것. 급격한 팽창에 의해 터지는 굉음이란 점에서 원리상으로는 폭탄이나 뻥튀기가 터질 때 들리는 파열음과 같다. 번개가 친 근원지의 음압 데시벨은 165~180 dB로, 주변에 있으면 영구적인 청각 손상을 입을 정도로 크고, 현재 기록된 가장 높은 음압 데시벨은 215 dB으로 충격파에 사람이 죽을 수도 있다.빛과 소리가 전달되는 속도가 다름은 명백하다. 번개가 번쩍인 후 천둥이 치는 시간 차이를 대입해 현재 번개가 치는 곳과의 거리를 계산해내는 방법을 초등학교 수학이나 자연에서 가르치곤 한다. 번개와 천둥이 치기까지의 시간간격을 구한 뒤 그것에 소리의 속력(343 m/s)을 곱해주면 번개가 친 곳과의 거리가 된다.출처 : 나무위키 - 천둥즉 번개는 빛의 속도로 나가기때문에 더 빠르고 그 후에 소리가 전달되어서 이런 현상이 발생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