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화학
화학 이미지
Q.  기초대사량과 나이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초대사량이란 우리 몸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말한다. 이는 우리의 심장이 뛰고, 호흡을 하고, 체온을 유지하며, 뇌가 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생명 유지를 위한 에너지로 우리가 사용하는 전체 에너지 중 기초대사량이 차지하는 에너지는 약 70%에 달한다. 기초대사량은 개개인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기초대사량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에너지소비가 잘 된다는 뜻으로 같은 양을 먹 어도 살이 덜 찌는 체질이 됨을 말한다.기초대사량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공식들이 있지만,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한 공식은 나이와 체중, 성별에 따라 값을 구하는 다음 공식이다.기초대사량 공식- 남성의 경우에는 [293 - (3.8 x 나이) + 456.4 x 키(m) + 10.12 x 체중(kg)]- 여성은 [247 - (2.67 x 나이) + 401.5 x 키(m) + 8.60 × 체중(kg)]소아나 청소년 시기에는 키와 체중이 급격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성인에게 적용되는 공식을 사용할 수 없고, 다른 공식을 사용해야 한다.위 공식을 보면 체중 변화가 없다면 남자는 나이가 한 살 늘어날 때마다 3.8kcal씩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고, 여자는 한 살 늘어날 때마다 2.67kcal씩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게 된다. 하지만 기초대사량은 여러 요인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다. 즉 나이, 성별, 체중, 키 외에도 근육의 양이나 인종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다.우선 유전자와 성별(남자가 더 높다) 등 선천적인 요인도 있지만, 갑상선 호르몬이나 아드레날린과 같은 대사 호르몬, 연 령, 체지방률, 체온, 체표면적 등 생체적인 요인들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식생활과 운동, 외부 온도 등과 같이 후천적이거나 환경적인 요인 들도 기초대사량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흔히 다이어트는 배가 고파야만 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굶을 경우 우리 몸은 위기감을 느껴 생명을 유지하 기 위한 수단으로 기초대사량을 떨어뜨린다. 식사량을 지나치게 줄이는 다이어트 후 요요현상이 잘 생기는 것도 기초대사량의 저하와 관계가 깊다.운동은 그 자체로 에너지를 소모하기도 하지만, 제지방량(근육, 내장, 뼈, 등)을 늘려 기초대사량을 높여준다. 체지방량이 적을수록 기초대사량이 높아지는 반면, 근육량이 많을수록 기초대사량이 높아지므로, 근육량을 높이는 것이 기초대사량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기온이 내려가거나 올라갈 경우에도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모한다.따라서 기초대사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루 세끼를 정해진 시간에 잘 챙겨먹고, 적정량의 운동을 하며, 평소 적절한 운동 으로 몸의 근육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배고픈 다이어트는 결국 점점 다이어트와는 더 거리가 멀어진다는 것을 기억하고, 매끼 500~600kcal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을 습관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출처 : 메트로병원 - 기초대사량 높이는 6가지 방법
화학
화학 이미지
Q.  설사를 하면 항문에 통증이 있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설사를 하면 항문이 아픈 이유를 정리해보면..소화되지 않아부드럽지 않은 음식물이 위산과 함께 변비보다 강한 압력으로 빠르게 배출되니 항문이 정상일 수 없다.이처럼 설사를 하고 나면 항문은 굉장히 예민한 상태가 됩니다. 이때 마찰이 심한 휴지로 닦으면 더 심한 자극이 주어지게 되고 항문질환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집니다.출처 : 대전손도외과 - 설사를 하면 항문이 아픈 이유는 뭘까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이 보통 여름에 많이 오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태풍은 왜 발생할까. 태풍은 온도가 섭씨 26도 이상인 열대지방의 바다가 데워지면서 발생한다. 태풍이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는 여름 이후에 주로 발생하는 이 유다. 태풍은 정확히는 열대지방에서도 가장 덥다는 적도가 아 닌 북위 5~10도쯤에서 발생한다. 태풍이 생기려면 바다가 데 워지는 것뿐 아니라, 바람도 불어줘야 한다. 북반구의 북동 무 역풍과 남반구의 남동 무역풍이 만나 하늘로 올라가는 북위 5~10도쯤에서 발생하는 것이다.출처 : 태풍은 왜 태어났고,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나 - 경희대학교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최초의 전화는 누가 만들었나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화기를 최초로 만든 사람은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라 널리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는 '전화를 제작한 사람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일 뿐이다. 재밌게도 전화기는 비슷한 시기에 여러 명의 발명가가 각자 제작에 성공했고 오히려 벨은 한참 늦게 발명한 편이다.전화기를 최초로 개발했다고 말할만한 사람들은 안토니오 무치, 필립 라이스, 엘리샤 그레이 등이었고 그중 안토니오 무치는 돈이 없어서 특허를 신청하지 못하고 임시 특허만 등록했었다. 그 와중 그레이엄 벨이 먼저 선수를 쳐 버린 것이다. 무치는 벨을 상대로 법정 소송을 걸었으나 승소 직전에 병으로 급사하고 만다. 설상가상으로 패소한 건 덤. 그래서 법적으로 전화를 최초로 만든 사람은 벨이 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과 안토니오 무치 문서로. 그리고 당시엔 이들 말고도 전화를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발명가들이 많았다고 한다.그렇게 2002년까지는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최초로 전화기를 발명했다고 되어 있었으나, 미국 하원에서 안토니오 무치가 최초로 발명한 것으로 수정하였다. 하지만 상원에서 부결되는 바람에 도로아미타불이 되었지만... 이외에도 벨에게 밀려 빛을 보지 못한 필립 라이스와 엘리샤 그레이도 개발자로 인정되었다.출처 : 나무위키 - 전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술먹으면 지구처럼 어지럽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주 후 하루 정도는 숙취 때문에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 숙취가 일어나는 이유는 인체가 분해할 수 있는 알코올보다 더 많은 양이 한꺼번에 들어와 제때에 처리되지 못해 혈액을 타고 알코올 성분이 인체 각 부위에 영향을 끼치게 되기 때문이다.(출처 : 광양사랑병원 - 음주 후 두통 원인, 술 빨리 깨는 법은?)따라서 우주에 간다고 해서 인체에 분해 능력이 더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하지 않기때문에 술을 많이 마시면 지구와 동일하게 어지럽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가스불을 자세히 보면 불에 색이 다른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통 '불' 하면 빨간색을 떠올리는 이유는 빨 간 불꽃을 많이 봤기 때문이죠. 나무나 종이를 태워보 면 붉고 노란 불꽃이 생깁니다.그렇다면 푸른 불꽃은 어떻게 하면 볼 수 있을까요?의외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가스레인지 불이 푸른 불이죠. 알고 보면 더 높은 온 도의, 더 양질의 불꽃을 손쉽게 사용하고 있었어요.그렇다면 붉은 불꽃과 푸른 불꽃, 왜 이런 차이가 나 는 걸까요?파란 불꽃의 비밀은 바로 완전연소'에 있습니다. 불 꽃과 산소와 충분히 섞이면 연료가 끝까지 타는 완전 연소가 일어납니다. 그리고 완전연소가 일어난 불꽃 은 더 높은 온도의 푸른빛을 띕니다.반대로, 산소가 충분히 연료와 섞이지 못하면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는데요. 나무나 종이 등을 태울 때 산 소는 불꽃 바깥쪽에서만 불꽃과 섞이게 되고 안쪽은 잘 섞이지 않기 때문에 불완전연소가 일어납니다.가스레인지로 나오는 LNG는 완전연소가 되기 때문 에 푸른 불꽃을 뽐냅니다. 그러니 가스레인지를 켰는 데 파~란 불꽃이 활활 나온다면 뿌듯하게 바라봐 주 셔도 좋아요! 완전연소가 되면서 뜨거운 온도로 우리 집 냄비를 더 효율적으로 데우고 있다는 뜻이니까요!출처 : 한국기스공사 - 색으로 보는 불의 온도! 파란 가스불의 비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처럼 달도 보름때보면 엄청밝은데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에 하나는 바로 삭망(뼈옆, 그믐 과 보름) 현상입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으므로 태양의 빛이 닿는 부분만 반사하여, 마치 스스로 빛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므로 태양•달•지구 세 천체의 상대 적 위치에 따라 빛을 받는 면, 그리고 바라보는 위치가 달 라지기 때문에 우리에 눈엔 달의 형태가 새롭게 바뀌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죠!출처 : 기상청 블로그 - 달 달 무슨 달!? 달의 모양이 바뀌는 이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과 침팬지는 DNA가 얼마나 일치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침팬지는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그랴서 DNA 유사성이 98.8%에 달할 정도로 인간과의 DNA가 비슷하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은 무슨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恒星, 영어: Fixed Star)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또는 플라즈마)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납작한 회전타원체(Oblate spheroid)형의 천체이다. 통상적으로는 별(영어: Star)이라고 부른다. 또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은 태양으로, 지구상의 에너지 대부분을 공급한다. 그리고 지구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항성은 프록시마이다. 지구에서는 다른 별을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데 낮에는 태양 빛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항성은 그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으로 풀려나는 에너지가 내부를 통과하여 방출되면서 빛을 내게 된다. 우주에서 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물질 대부분은 항성의 내부에서 만들어졌다. 항성은 수소 및 헬륨, 기타 중원소로 이루어진 성간 구름이 붕괴하면서 탄생한다.출처 : 위키백과 - 항성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가 자전하는 이유와 자전을 멈추게 된다면?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전하는 이유에 대한 유력한 가설은 항성과 행성이 형성되었을 때의 흔적이라는 것이다. 이들 천체는 가스 구름이 서로 뭉치면서 형성된 결과물인데 이 가스 구름은 소용돌이 치는 형태로 빙글빙글 돌면서 뭉친다. 마침내 모든 물질들이 뭉치면 하나의 천체가 되는 데 이 천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의 빙글빙글 도는 운동을 관성의 법칙에 의해 가지기 때문에 계속 끝없이 돌게 되는 것이다. 초기 가스 구름의 회전이 매우 느리다 하더라도 가스가 뭉쳐 천체가 되는 과정에서 각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회전 속도는 매우 빨라진다. 이를 자전이라고 부른다. 만일 순간적으로 자전이 멈춘다면? 지표면 위의 모든 것은 관성으로 인해 시속 1,680 km의 속도로 내팽겨쳐지며(적도 기준) 개박살 날 것이다. 자동차 충돌 사고가 일어나면 튕겨나가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버스가 시속 100km 속도로 달리다가 갑자기 급정거를 해버리면 서있는 사람들은 물론 앉아있는 사람도 앞으로 튕겨져나가는거랑 똑같은 원리.출처 : 나무위키 - 자전
421422423424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