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면내시경 이후 멍이 생겼어요..점점 심해집니다
안녕하세요. 사진으로 미루어볼 때 혈관 주사했던 팔 부위에 멍이 생긴 것 같습니다. 수면 내시경시 혈관 주사 부위에 멍이 생기는 것은 흔한 현상입니다. 주사 바늘이 혈관을 통과하면서 혈액이 피부 아래 조직으로 새어 나와 멍이 생기며, 지혈이 충분히 되지 않았거나 개인 체질에 따라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1~2주 이내에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 하지만 멍이 점점 심해지거나 통증, 붓기, 열감, 상처가 동반된다면 감염이나 다른 합병증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Q. 모낭염은 타인에게 전염이 될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모냥염은 전염성이 약간 있을 수 있지만, 전염력이 강하지 않습니다. 주로 피부에 상처가 있거나, 면도기.수건 등 위생용품을 함께 사용할 때 매우 드물게 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름이나 진물이 없는 경우에는 전염 가능성이 더욱 낮아집니다. 모낭염은 치료 후에도 재발이 흔한 질환으로, 피부 상태나 면역력, 위생 상태에 따라 다시 생길 수도 있습니다. 개인 위생을 잘 지키고, 면도기,수건 등은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발목 앞부분이 아픈데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발목 앞부분 (정강이와 연결되는 부위)이 아픈 가장 흔한 원인은 반복적인 발목 꼬기 습관 등으로 인한 힘즐염, 힘줄윤막염, 또는 전방 충돌 증후군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부위는 뼈로 보호되지 않아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무리한 사용 시 쉽게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당분간 발목 꼬는 습관을 피하고, 휴식, 냉찜질, 소염 진통제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붓기, 열감, 움직임 제한이 심해지며 정형외과 진료를 권합니다.
Q. 귀두포피염 포피 안까지는데 나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귀두포피염으로 포피가 부어오르고 딱딱해져 귀두가 잘 안까지는 경우, 항생제와 에스로반 연고 치료만으로 대부분 호전될 수 있습니다. 연고를 포피 윗부분에만 바르더라도 약이 염증 부위에 어느 정도 도달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포피 입구가 매우 좁아 연고가 안쪽까지 잘 닿지 않거나 염증이 심해 계속 귀두가 노출되지 않는다면 치료가 더디거나 재발할 수 있습니다. 포경수술(환상절제술)은 염증이 자주 재발하거나, 포피가 너무 좁아져 치료가 잘 안되는 경우 시행합니다. 수술 전에는 억지로 귀두를 강하게 까지 않으며, 수술 시에는 마취 후 포피를 절개해 귀두를 안전하게 노출시키기 때문에 심한 통증을 느끼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