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임기 하루 전날에 노콘으로 질외사정했어요
안녕하세요. 질외사정을 했더라도 가임기 전후에는 임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체외사정 피임법은 실패율이 20% 안밖으로 알려져 있으며 완벽한 피임법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특히 가임기 직전·직후 성관계 시 정자의 생존 기간과 배란 시기가 겹칠 수 있어 임신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질문 내용을 분석해보면,가임기 1일전인 5/10 체외사정한 것은 정자의 최대 생존일 5일로 가정하면 5/15까지 생존하여 배란일과 겹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질내 사정이 아니라하더라도 쿠퍼액 내 미량 정자 노출 위험 존재하므로 상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가임기 마지막날인 5/14 콘돔 파열 후 체외사정한 것도 임신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가임기 최적 시기로 임신 확률 최고조인 기간이며 콘돔 파열 시 사전 정액 유출 가능성도 높기 때문입니다. 현재 올려주신 증상은 임신보다는 생리 전 증상이나 불안감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으나, 피임 시기와 방법만 볼 때는 임신의 가능성이 적지만 존재하므로, 지속적인 무월경이 있다면 산부인과 진료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Q. 비뇨기과 선생님들께 결석?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소변에 보이는 결석이나 침전물은 신장결석, 방광결석, 요로감염(UTI), 탈수, 대사질환, 약물/영양제 섭취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동 후 증상이 반복된다는 것은 요로에 자극이 가해지면서 결석이 움직이며 소변에 섞여 나왔을 수 있고, 심한 운동으로 인해 탈수가 유발되어 결석이 생기고 소변줄이 가늘어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이전의 대학병원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없었다 하더라도, 증상이 지속되고 악화된다면 요도협착, 미세한 결석, 만성 방광염, 신경인성 방광 등 놓치기 쉬운 질환에 대해서도 재평가가 필요합니다.요속이 느리고 잔뇨가 남는다는 것은 방광이 완전히 비워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장기적으로 방광 기능 저하나 신장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며 소변을 참는 습관은 절대 회피해야합니다.소변 상태, 배뇨 비뇨, 잔뇨감에 대해 증상 일지를 작성해 보세요. 그걸 가지고 비뇨기과 재진료를 받으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비뇨기과 진료를 통해 필요하다면 요도 내시경, 정밀 요속검사, 방광 기능 검사 등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이거 무슨 여드름인가요? 너무 스트레스 받아요
안녕하세요. 사진을 보니 고름이 동반된 피부 병변이 다발성으로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화농성 여드름은 피지와 세균, 염증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기며, 짜면 고름과 함께 하얀 면포(여드름 씨앗)가 나옵니다. 반복적으로 같은 자리에 생길 수 있고,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식습관, 마스크 착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악화됩니다.모낭염은 주로 세균 감염으로 모낭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짜도 고름만 나오고 면포는 나오지 않습니다. 털이 있는 부위에 잘 생깁니다사진 속 병변처럼 입 주변에 갑자기 번지는 여드름은 화농성 여드름과 모낭염이 혼재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짜도 재발한다면, 자가 치료보다는 피부과 진료를 받아 정확한 진단과 맞춤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생활습관과 위생 관리도 함께 신경 써 주세요.
Q. 성관계후 성기 까짐,붉은 반점이 났어요 뭘까요??
안녕하세요. 성관계 후 성기 피부가 까지거나 붉은 반점이 생긴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은 피부 쓸림에 의한 마찰입니다. 성관계가 격렬하거나 윤활이 부족하면 성기 피부가 쉽게 자극을 받아 벗겨지거나 붉게 변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마찰성 피부 손상은 대개 1~2일 내로 호전되며, 특별한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또한, 콘돔이나 윤활제의 성분과 같은 외부 자극물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라텍스 콘돔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피부가 붉어지거나 가려움, 벗겨짐 등이 함께 생기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성병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하자면, 콘돔을 사용했다면 성병 위험은 크게 낮지만 100% 예방은 아니므로 증상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콘돔은 대부분의 성병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모든 성병을 100% 막을 수는 없습니다. 특히, 콘돔이 덮지 않는 주변 피부에서 피부 접촉으로 전염되는 바이러스는 콘돔을 사용해도 일부 전파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까짐'이나 '붉은 반점'만으로 성병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니 추가적인 증상이 발현되는지 경과관찰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