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물건을 집어던지는 이유는 무엇이 문제인가요?
9세 아이가 물건을 집어던질 때 어떻게 훈육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감정 표현을 부정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정 표현의 미숙함, 주의 끌기, 스트레스나 불안 해소, 단순한 재미 또는 습관, 모방행동 등이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공감하고 던져도 되는 상황과 안되는 상황을 구분해서 알려줍니다 반복적인 행동에 과잉 반응을 하지 말고 차분하고 단호하게 '이건 안되는 행동이야'라고 알려줍니다. '속상할 땐 말로 이야기해줬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며 마무리하면 되겠습니다.
Q. 앞으로 영어 강사의 진로는 어떻게 될까요
인공지능 시대에 영어 교사의 진로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영어 강사는 사라지기보다는 변화와 진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겠습니다.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분야는 AI로 대체할 수 없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영어 강사는정서적 교감과 동기 부여, 맞춤형 피드백과 코칭, 문화적 맥락과 실전 커뮤니케이션 면에서 경쟁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지능 시대에는AI활용형 강사, 콘텐츠 크리에이터, 퍼스널 코칭/튜터링, 에듀테크 기획자, 영어+융합 전문가로 진로 방향을 정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영어+ 알파= 즉 역량을 키우는 것입니다.(영어+콘텐츠 기획, 영어+상당, 영어+AI활용 능력 등)
Q. 또래 집단에서 소외되는 아이, 부모가 해줄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법은 무엇인가요?
아이가 또래 집단으로부터 소외될 때 부모로써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에 먼저 공감해줍니다. 부모는 단순한 위로를 넘어서 정서적 안전기지가 되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왜 그랬을까?'보다 '어떤 기분이었어?'를 물어봅니다. 그리고 역할놀이나 인형극 놀이를 통해서 아이가 사회적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친구가 기분 나빠 보일 때 뭐라고 말해볼까?' 등다양한 친구 관계의 기회, 부모가 좋은 관계의 모델 되기, 교사나 전문가와 협력하기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