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육아를 하다가 어른들이 지치게 되면 그런 스트레스나 피로는 어떻게 풀면 좋을까요?
육아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나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것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육아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 중 자기만의 시간 갖기는 정말 중요합니다. 독서, 산책, 음악 감성, 운동 등을 하면서 혼자만의 시간을 가집니다. 부모 간의 협력, 외부 도움 요청, 긍정적인 사고 요지 등이 해결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Q. 3살 아이가 손을 자꾸 빠는데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괜찮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고 위생 상이나 안면 구조 변형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어떤 말을 들어야 할까요?
3세 아이가 자꾸 손가락을 빨아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구강기로 입 주변을 자극함으로써 욕구를 충족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손가락을 빠는 행동이 자연스러운 행동이기는 합니다. 다만 손가락 빠는 습관으로 인해서 위생, 치아 변형이 일어날 수 있겠습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 스트레스 완화, 자극을 통한 관심 끌기, 마음의 안정을 위해서라고 합니다.해당 행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아이와 스킨십을 많이 하고 아이가 손가락을 빨면 아이를 안아주거나 손을 잡아주세요.손가락을 빠는 아이에게 손가락을 움직여야 하는 놀이 신체 놀이 등을 통해 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방법입니다.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밴드를 손가락에 붙여주고 손가락을 빨면 안되는 이유(치열 부정, 세균 감염 등)를 말해줍니다.아이가 무료하면 무의식적으로 손가락을 빨 수 있으니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게 필요합니다.
Q. 아이가 양보심이 부족하고 사회성이 부족한것 같아요.
아이가 양보심과 사회성이 부족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부모의 지도와 환경 조성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양보의 긍정적인 경험 제공, 사회적 기술 연습, 공감 능력 키우기, 협력하는 놀이 경험 늘리기, 부모의 모범적인 행동 등이 효과적일 수 있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Q. 자기 주장이 너무 강한 아이를 어떻게 올바른 길로 인도해주는게 좋을까요?
초등학교 4학년 아이가 자기 주장이 강해서 또래들과 트러블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할 줄 알기 때문에 이를 긍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겠습니다. 경청하고 인정하기, 타인의 입장도 고려하게 하기, 유연한 사고를 기르기, 긍정적인 표현 방식 가르치기, 협력하는 경험을 쌓게 하기 등으로 아이를 도울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