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사춘기 자녀와의 소통 방법은 무엇이 좋을까요??
사춘기 자녀와 소통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컨디션이 괜찮을 때 대화를 시도하는게 좋겠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이 되어 다시 동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유아교육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탄핵 집회 가보신분들 계신가요?!!!
아이와 함께 역사의 현장에 직접 가보는 것도 큰 의미가 있겠습니다. 아이들도 정치에 관심을 갖고 역사를 바로 알아야 민주시민으로써 권리를 제대로 행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시골 초등학교 2학년 교사가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계엄령을 설명하기 위해서 'ㅇㅇㅇ법'을 만들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참고하면 좋겠습니다.https://www.yna.co.kr/view/AKR20241209131300062?input=1195m
유아교육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큰 차이점 알려주세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큰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어린이집의 보육 연령이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유보통합으로 주무부처가 동일합니다. 유치원은 유치원정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가, 어린이집은 보육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가 담당을 합니다.유치원의 교육 연령은 만3세~만5세, 어린이집의 보육 연령은 만0세~만5세입니다.유보통합이 전면적으로 시행되면 아마 영유아통합자격증으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유아교육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아이의 어린이집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은?
낯을 많이 가리는 아이로 인해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의 어린이집 적응을 돕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돌아오면 어린이집에서 있었던 기분 좋은 일, 재밌었던 일들을 이야기 나눔으로써 어린이집은 좋은 곳이라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아이를 위해 부모는 '엄마 없이도 잘 지낼 수 있다'라는 믿음을 심어주고 아이를 응원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어린이집 건너뛰고 유치원을 보낸집 어떻게 생각하세요?
아이와의 정서적 교감을 위해서 영아기동안 가정 보육을 한 것은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보통은 부모가 다 해줄 수 없어서 영유아교육기관에 보내는데부모가 양육자, 교사, 또래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면아이와 함께 하면서 유대관계를 쌓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아이가 떼쓰는 행동을 멈추게 하는 올바른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아이가 떼쓰는 행동을 멈추게 하는 올바른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어느 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게 필요합니다.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줘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28개월아기 집중력이 부족한거같아요
28개월 아이에게 집중력을 요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보통 아이들의 주의집중 시간은 아이 연령*2라고 할 수 있습니다. 3세라면 최대 10분을 넘지 않겠습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를 통해서 집중력을 키워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집중력을 키워주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와 작은 약속을 했더라도 잘 지켜주세요.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선택권과 책임을 아이에게 부여해줍니다.아이에게 건강한 신체리듬을 만들어주세요.(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집안 환경을 차분한 느낌으로 정돈해주세요.(아이가 공부할 때 TV보지 않기)
양육·훈육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아기 자기전에 양치하고 먹는습관이요
아이가 양치를 하고 난 후에 음식을 먹고 자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우선은 아이의 수면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양치를 한 후에는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하는게 좋겠습니다. 이는 습관을 기르는게 필요합니다.유튜*에서 '양치교육'이라고 하면 다양한 컨텐츠가 나와 있습니다.영상을 함께 시청하고 나면 아이에게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또한 아이의 양치할 때 놀이식으로 즐겁게 접근한다면 아이가 좀 더 수월하게 양치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양치는 즐거운 것이다'라고 느끼게 해주는 것입니다. 먼저 아이가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주고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인형을 옆에 두고칫솔을 쥐고 뽀로로에게 양치시켜주는 시늉을 합니다.'우리 뽀로로 치카치카해줄까? 우와 뽀로로는 치카치카도 잘하네'이렇게 말을 한 후 'ㅇㅇ도 치카치카 시켜줘볼까?' 말해주면 아이도 뽀로로에게 양치를 시켜줄겁니다.그런 다음 '이제 우리 ㅇㅇ도 치카치카해보자~'라고 말하면아이도 양치를 하려고 할겁니다.처음에는 짧게 시작해서 차츰차츰 시간을 늘려가면서 양치를 해줘야 합니다.처음부터 시간을 길게 잡으면 아이가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12일 작성 됨
Q.
형제나 자매 사이에서 갈등이 있을 경우 부모가 개입하는게 나은가요?
형제 자매 간의 갈등 시에 부모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형제, 자매를 양육할 부모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객관적인 판단으로 자녀 간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부모는 자신의 편견을 배 제하고 문제를 봐야 합니다.자녀에게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감정 라벨링이나 타임 아웃 같은 심리학적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자원과 관심을 공정하게 분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녀에게 동일한 기회와 자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11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훈육하는 시간은 몇분이 괜찮나요?
훈육은 별도의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훈육의 목적과 훈육의 원칙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단순히 아이를 혼내기 위함보다는 아이의 잘못된 말이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396
397
398
399
4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