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명왕성에 얼음화산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연구진은 명왕성 특유의 이런 지형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탐사선이 찍은 사진과 성분 분석 데이터, 지형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액체성 얼음 성분이 지하에서 지상으로 스며나와 점차 거대한 산과 둔덕을 형성하는 얼음화산 활동에 의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무엇보다 지형에서 보이는 독특한 물결 모양은 침식으로는 만들어질 수 없다. 연구진은 “두 산은 지구에서 가장 큰 활화산인 하와이 마우나로아만큼 크지만 얼음이 폭발하듯이 빠르게 분출된 것이 아니라 천천히 스며나왔다는 것 외에 다른 가능성은 생각하기 어렵다”고 밝혔다.연구진은 언덕들이 겹쳐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화산 활동이 여러차례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특히 이 지역에 충돌구가 보이지 않는 데 주목했다. 이는 화산 활동이 비교적 최근에 일어났다는 걸 뜻하기 때문이다. 싱어 박사는 “얼음화산은 아마도 지금으로부터 2억년 이내에 형성됐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얼음화산 활동이 지금도 진행중인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추운겨울에 시신이 방치되면 어느정도까지 벌레가 안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영하의 날씨에는 몸이 얼어서 벌레가 생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영상이 되면 시신이 녹으면서 벌레나 구더기가 생기게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왜 머리를 빗을때 정전기가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건조한 날씨와 헤어드라이의 영향으로 머리카락이 상당히 건조한 상태입니다. 이때 빗질을 하게 되면 마찰이 발생하면서 정전기가 생성됩니다. 금속물질은 정전기를 흡수하지만, 플라스틱은 전기가 통허지 않기에 발생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MBTI가 비과학적이라는 근거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MBTI의 인기가 마냥 환영받는 것은 아닙니다. 학계에서는 MBTI의 낮은 신뢰도를 두고 우려를 표합니다. MBTI 검사를 만든 캐서린 쿡 브릭스(Katharine C. Briggs)와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Isabel Briggs Myers)는 심리학을 전공하지 않은 비전문가입니다. 체계적 연구 없이 도출된 검사인 만큼 과학적 근거를 갖기란 어렵습니다. 이 교수는 “혈액형이 성격을 반영한다고 하는 것만큼 MBTI가 터무니없는 유형 분류는 아니다”라면서도 “다른 성격 진단 도구가 있는데 굳이 MBTI를 쓸 이유는 없다”고 말했습니다.또한 성격은 하루아침에 바뀔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의 타고난 성격은 시간이 흘러도 잘 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MBTI 검사 결과는 종종 바뀝니다. 실제로 최정훈(신학‧21)씨는 “검사할 때 마음만 먹으면 원하는 대로 특정 결과가 나오게 할 수 있다”며 신뢰도가 낮다고 주장했습니다. 서 교수는 “성격이 절대불변인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성격에는 개인적인 특징과 안정감이 있는 만큼 쉽게 변화하지 않는다”고 전했습니다.성격에 대한 왜곡을 가져올 우려도 있습니다. MBTI 검사는 단정적입니다. 검사 결과지를 살펴보면, 본인의 성향을 단정지어 이야기하는 문장들이 가득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입체적인 성격을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서 교수는 “비교적 외향적인 사람이 존재하지만, 사람의 성격을 무 자르듯 구분 지을 수는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특정 사이트에서는 MBTI에 따라 직업을 추천해 주기도 합니다. 성격에 대한 단순한 접근이 직업 추천으로까지 이어지는 실정입니다. 이 교수는 “유형을 강조하다 보면 상황적인 요소를 등한시하게 된다”며 “MBTI를 대화나 자기 성찰을 위한 도구로 쓰는 것은 좋으나 중요한 결정의 근거로 활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슈바르츠실트 계량으로부터 계산되는 회전하거나 대전되지 않는 블랙홀.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은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Karl Schwarzschild)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의 장 방정식에서 유도해낸 슈바르츠실트 계량으로부터 나온 블랙홀 모델이다. 블랙홀 모델 중 가장 단순한 형태의 블랙홀이며, 이는 구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회전하거나 대전되지 않은 블랙홀이다. 즉 질량만 같다면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은 모두 물리적 성질이 같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일반적인 블랙홀은 회전할 수도 있고 대전될 수도 있다. 여기에 회전을 하면서 전하를 띠지 않은 블랙홀은 커 블랙홀(Kerr Black Hole), 회전을 하지 않고 전하를 띠는 블랙홀은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블랙홀(Reisner - Nordstrom black hole), 회전을 하면서 전하를 띠는 블랙홀은 커-뉴먼 블랙홀(Kerr–Newman Blackhole)이라 불린다.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은 회전하지도 않고 전하도 띠지 않기 때문에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갖고 있다. 구 대칭의 모습으로 중앙의 특이점을 향해 중력이 작용되는 모습을 보이며,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의 거리에 구형의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을 갖고 있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외부 중력장은 같은 질량을 가진 다른 천체의 중력장이 미치는 것과 동일한 영향을 끼친다. 이 해를 바탕으로 태양과 같은 질량을 가진 회전하지 않고 대전되지 않은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의 반지름을 유도해보면 약 3km가 되는 것으로 계산된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어떻게 사람은 개별적으로 다 맛있는 음식이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느껴지는 맛의 차이가 댜릅니다. 단맛, 신맛, 짠맛, 매운맛 들이 정도와 맛에 따라 달라지고, 음식의 시각적인 부분도 다양하게 작용하며, 어릴때 먹던 음식의 종류와 맛에 따라서도 다르게 적용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대기에는 어떤 기체가 포함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기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기체는 거의 같은 높이의 기층으로 되어 있어 대기권(大氣圈) 또는 기권(氣圈)이라고 한다. 대기권을 구성하고 있는 기체를 총괄하여 대기라고도 한다. 대기는 여러 가지 기체의 혼합물이다. 대기의 하층에서는 공기의 운동에 의하여 상하의 공기가 잘 혼합이 되므로 상당한 높이까지 조성비(組成比)가 일정하다. 지표 부근에서 수증기를 제외한 건조공기의 성분은 그 부피백분율로 따져서 약 78%가 질소 N2, 약 21%가 산소 O2, 0.93%가 아르곤, 0.035%가 이산화탄소, 그 나머지는 미량의 네온·헬륨·크립톤·제논·오존 등으로 되어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하늘에서 눈이 내리는건 구름에 있던 수증기가 덜 얼어서 내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눈송이라고도 알려진 눈 결정은 지구 대기권 상공에서 시작되는 매혹적이고 복잡한 과정을 통해 형성됩니다. 눈 결정의 형성에는 수증기가 얼음 결정으로 얼어붙는 과정이 포함되며, 이 과정은 몇 가지 주요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1. 얼음 핵의 형성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얼음 핵 또는 구름 응결 핵으로 알려진 작은 입자나 먼지가 존재하면서 시작됩니다. 이러한 입자는 얼음 결정이 형성될 수 있는 기초 역할을 합니다. 극도로 깨끗한 공기에서는 얼음 핵이 부족하여 눈송이가 성장을 시작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2. 과포화눈 결정을 형성하려면 공기가 수증기로 과포화 상태여야 합니다. 과포화는 공기가 현재 온도와 압력에서 일반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때 발생합니다. 이 과도한 수증기는 얼음 결정 형성에 필요한 원료를 제공합니다.3. 응결과포화 공기 중의 수증기 분자가 얼음 핵의 표면에 응축되기 시작합니다. 이 응결은 수증기 분자가 차가운 핵과 접촉할 때 에너지를 잃고 속도가 느려져 서로 달라붙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4. 초기 결정 형성수증기 분자가 얼음 핵에 계속 달라붙으면서 육각형 격자 구조로 정렬되기 시작합니다. 이것이 얼음 결정의 초기 형성입니다. 육각형 구조는 얼음 격자에서 물 분자의 독특한 배열의 결과입니다.5. 성장얼음 결정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수증기 분자가 표면에 계속 달라붙으면서 계속 성장합니다. 눈송이의 정확한 모양과 크기는 온도, 습도 및 기타 대기 조건의 조합에 따라 달라집니다. 온도는 눈송이의 가지와 대칭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A4 용지를 42번 접으면 달까지 가는 높이가 된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크기가 '1'인 종이를 절반으로 한 번 접으면 그 종이의 넓이는 2분의 1이 돼요. 그걸 또 한 번 접으면 넓이가 다시 반으로 줄어 처음 것의 4분의 1이 되죠. 접을 때마다 두께는 2배가 됩니다. 실제로 해보면 7번 정도 접을 수 있어요. 이렇게 접으면 종이의 두께는 128배가 됩니다. 실제로 이렇게 접어보면 예쁜 사각형 모양을 유지하지 못한 채 찌그러진 뚱뚱한 모양이 되죠.그렇다면 종이를 무한정 접을 수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두께 0.1㎜짜리 A4 용지를 20번 접는다면 그 높이는 얼마쯤 될까요? 무려 104.85m가 된다고 해요. 2를 20번 곱했기 때문인데, 서울 남산타워 높이가 236.7m니까 절반 정도가 되는 셈이죠. A4 용지를 42번 접는다면 종이 두께는 약 43만9804.7㎞로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인 38만3000㎞보다 5만㎞나 더 길어요. 물론 실제론 이렇게 무한정 접을 수 없지만 2배의 위력을 잘 알 수 있어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금도금에 사용되는 용액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도금의 과정도금의 일반적인 과정은 어떤 도금이든 비슷합니다산 처리 =>> 수세 =>> 도금 =>> 수세 =>> 크로메이트(후처리) =>> 수세 =>> 탈수,건조의 순서입니다산 처리는 도금 전에 제품표면에 묻어있는 녹이나 기름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크로메이트는 도금한 제품의 내식성을 높이기 위하여 크롬피막을 입히는 과정이며 대표적으로 천연색, 백색, 흑색, 국방색 등이 있습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