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로봇이 상용화는 가능할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생산공정에서의 로봇과 집안, 일상생활에서 보조해 주는 로봇은 이미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사람과 동일한 노동을 하는 로봇은 아직 연구중이며, 곧 나올거라 생각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사람이 걸을때나 달릴때 팔과 다리가 반대로 움직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달릴때 팔과 다리가 반대로 움직이는 이유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 입니다. 그리고 팔을 흔드는 이유는 빨리 달리기 위한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심해의 물온도는 차가워 진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로 태양열이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심해로 갈 수록 온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바다 일정부분에서는 대류가 일어나서 일정 수온이지만 심해는 그엏지 못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노새는 왜 새끼를 가질 수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당나귀와 말을 교배하여 나오는 잡종 분류에서 수컷 당나귀와 암컷 말을 교배하여 나오는 이종 교배종을 의미한다. 말과 당나귀의 장단점이 모두 있지만 잡종강세(heterosis)의 특성이 강한 대표적인 경우다.노새와 반대로 암컷 당나귀와 수컷 말이 교배하여 태어난 동물을 '버새(Hinny)'라고 부른다. 노새는 당나귀와 말의 중간 크기 수준인데 반해 버새는 거의 새끼 당나귀 수준이다. 노동력도 노새보다 떨어져 사람들도 잘 찾지 않는다. 게다가 염색체 수 차이로 불임이라 번식도 못한다.2. 번식 관련잡종 2대는 생기지 않는다. 즉 노새의 새끼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 말의 염색체 수(64개)와 당나귀의 염색체 수(62개)가 다르기 때문에, 1대 잡종인 노새의 염색체 수는 63개. 즉 상동염색체의 짝이 맞지 않은 상태이므로 생식을 위한 감수분열을 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이다.자연계에서는 수컷보다 암컷의 번식력이 강하여, 암노새는 아주 드물게 말이나 당나귀의 씨를 받아 새끼를 낳기도 하지만 수노새는 암노새도 암말도 암탕나귀도 임신시킬 수 없다. 따라서 노새는 생물학적 종이 아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저 화산이 폭발력이 더 센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해저 화산의 경우 화산 주변을 감싼 다량의 바닷물이 가 하는 강한 압력으로 인해 화산이 폭발을 일으키더 라도 그 규모가 크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해 저 깊은 곳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얕은 곳에서 분화 하는 경우, 수압이 크지 않기 때문에 지상의 화산 과 마찬가지로 거대한 규모의 분화를 일으키기도 한다.가장 대표적인 해저 화산의 분화 형태는 마그마 수증기 폭발'이다. 해저 화산이 분화를 일으키고 10000C 이상의 뜨거운 마그마가 바닷물과 부딪히 면 순식간에 생겨난 다량의 수증기가 엄청난 폭발 을 일으킨다. 해저 화산은 거대한 바다의 깊은 곳 에 숨어있으며 폭발을 일으키더라도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분화하는 횟수에 비해 관찰 기회가 많 지 않다. 이 때문에 항행 중인 화물선이나 비행기, 조업 중인 어선이 우연히 발견한 해저 화산에 연구 자를 파견하는 식으로 연구가 이루어진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심해에서의 온도 변화는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에서 가장 크고 가장 빠른 온도 변화의 2가지 영역은 지표수와 심층수 사이의 전이대, 수온약층 및 심해 바닥과 열수분출공에서의 뜨거운 물 흐름 사이이다. 수온약층의 두께는 수백m에서 거의 1000m까지 다양하다. 수온약층 아래에서 심해는 차갑고 수괴는 훨씬 더 동질적이다. 수온약층은 열대 지방에서 가장 두드러지며, 표층 수온은 일반적으로 20°C 이상이다. 수심 200~1000m에서는 깊이에 따라 수온이 내려간다. 수심 3000m~4000m 이하의 수온은 0~3도이다. 찬물은 극지방의 열염순환에서 비롯된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끓고있는 물에 수프나 밀가루같은것들을 넣게 될때 물이 갑자기 확 넘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액체)이 기체(수증기)가 되기 위해 주변에서 열을 얻어 운동을 활발히 하지만 Na+, Cl-이 이 운동을 방해하여 쉽게 수증기가 되지 못하게 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방해를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열이 필요하고, 더욱 높은 온도(더욱 활발해져야함)가 되어야하죠. 그래서 소금물의 끓는점이 높아지는 이유입니다.라면스프의 양과 성분에 따라 미묘하게 차이가 나지만 대부분 105도 내외 입니다. 불순물인 스프가 수증기가 되는 것을 방해해서 끓는점이 오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질량과 부피가 없는 빛이 블랙홀에 빨려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Black hole)은 중력이 매우 강하여 빛을 포함한 어떤 물질도 탈출이 불가능한 시공간 영역을 말한다. 그 본체는 중심에 위치한 표면적이 0인 질점(천체)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무거운 별이 죽은 후 중력 붕괴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8] 이 천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구형 표면(경계)은 그 내부의 빛이 전달되지 않아 암흑의 구체로 보여서 블랙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블랙홀(영어: black hole, 黑洞)[4]은 중성자 별이 되지 못한 항성이 진화의 최종단계에서 폭발 후 수축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다.[5] 일반 상대성이론은 충분히 밀집된 질량이 시공을 뒤틀어 블랙홀을 형성할 수 있음을 예측한다.[6][7] 블랙홀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이라고 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에 아직도 못가는 이유 질문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어두운 면에 물의 흔적 및 기타 여러 물질들이 있을 가능성이 많다고 합니다. 그런데 달의 어두운면에 도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중국에서 먼저 무인탐사선을 보낸 상태이며, 이제 곧 여러 국가에서 무인/유인 탐사선을 보낼 예정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와 달 중에서 크기는 무엇이 더 큰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 지구의 반지름은 약 6,371km로 전체 부피는 약 10억 8,200만 km³ 라고 합니다.달 : 달의 반지름은 약 1,737km로 지구의 약 1/4 크기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전체 부피는 지구의 부피보다 훨씩 작습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