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압선 주변에 거주하는게 과학적으로 인체에 어떤 문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30 미터 정도에서 2 밀리 가우스 의 인체 안전 수치가 나오는데 대충 그정도로 영향이 올수 있다 !! 하고 이해하면 됩니다.사실상 국제기준치가 2 밀리가우스로 결정된데에는 그 이유가 :; 그 수치에서 더 높아질때는 여러 질병의 발생율이 높아지거나 하는 등 나름의 이유가 있어 그 수치를 정했지만, 결국은 0.1 밀리가우스도 인체에 좋지는 않은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강도를 이해할 때에는 적어도 그 수치보다는 낮으면 그래도 마음은 편하지만, 인체자극적 면에서 보면 결국 전자파란 것은 많건 적건 좋지는 않은 것입니다. 흔히들 지구에도 자기장이 높은데 상관없다 !! 하지만 오랜세월동안 인간이 적응되어 왔고,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그런 전자파와는 다른 것입니다.설령 안전수치보다도 많이 낮다해도 미미하게 지속적으로 노출될때 인체는 서서히 변화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이렇게만 적어봅니다..그리고 전기장은 30 미터 거리에서 190 정도로 국제기준치보다 19 배 정도 더 높음이 확인됍니다..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니죠,, 결국은 인체가 가장 적절한 생체전류가 있지만, 그것보다 높은 전류에 노출될때는 좋지많은 않을 것입니다. 이부분도 이렇게만 정리합니다.. ^^
Q. 총을 쏠 때 영화 '원티드'처럼 총알을 휘게 못날리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 미국에서는 발사하면 직진으로 총알이 날아가 는 것이 아니라, 목표물이 움직일 경우 목표물 자체 를 따라가게 하는 총알을 개발중이라고 밝혔습니Ct. BLAMS(Barrel Launched Adaptive Munitions)라는 이름의 이 총알은 센서에 의해 방향이 조 정되고, 레이저 광선으로 유도된다고 합니다.또한 미국 국방부 산하에 있는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총알이 발사된후 자체적으로 방향을 바꾸는 총알을 개발했고, 테스트 중이라고 밝혔습 니다. EXACTO(Extreme Accuracy Tasked Or dnance)라는 이름의 자체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총알을 만드는 이 프로젝트는 총알 자체에 제어 장 치를 포함하고 있어 목표물 위치를 인식하는 광학 유도 시스템과 연동되어 목표물을 추적할 수 있다 고 합니다.
Q. 야구에서 변화구를 주기 위해서는 실밥이 있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이 날아갈 때, 공기는 공의 표면을 타고 뒤쪽으로 흐른다. 이때, 공의 앞쪽에는 공기 저항이 생기고, 공의 표면을 따라서 흐른 공기는 뒤쪽으로 가면서 복잡한 소용돌이를 만든다.이 변화에 따라서 공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이것을 ‘마그누스 효과’라고 한다. 이때, 실밥은 공기와의 마찰을 크게 해서 압력 차를 더 크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회전 효과까지 더해 주는 것이다.또 실밥은 투수의 손과 공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서 던졌을 때 공에 힘이 잘 전해지도록 한다. 투수가 던진 공은 회전하며 날아가는데, 실밥이 공기와의 마찰을 크게 해 공이 더 잘 회전하도록 한다.투수는 실밥을 이용해 공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타자가 칠 수 없는 빠른 강속구와 변화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하늘애서 내리는 비에 물방울 크기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는 연속적인 것과 단속적인 것, 그리고 강도 변화가 심한 것 등으로 나뉜다. 주로 온난전선 전면에서 만들어지는 고층운이나 난층운에서 연속적이거나 단속적인 비가 내린다.안정한 기층에서 만들어진 두터운 층운에서 내리는 안개비는 전형적인 연속적 비라 할 수 있다. 안개비의 수적은 매우 작고, 심한 시정장애(視程障碍)를 보인다.강도 변화가 심한 비는 불안정한 기층에서 만들어지는 적란운에서 내린다. 땅에 떨어지는 빗방울의 크기는 상승기류의 강도, 낙하 중의 증발량, 공기와의 마찰력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빗방울의 평균 직경은 안개비 0.2㎜, 보통의 비는 1㎜, 우박은 5㎜ 정도이다.강수의 종류 중에 눈(Snow)이 있다. 0℃ 이하의 온도에서 수증기가 응결해서 생기는 얼음 결정이다. 결정의 기본적인 형은 육각형이며 온도와 응결의 속도차이로 여러 가지 모양을 보인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달 탐사에 실패한 페레그린이 지구와 충돌하면 어떤 상황이 발생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페레그린은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의 로켓 벌컨 센타우어에 실려 발사된 뒤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약 7시간 만에 태양광 패널이 태양을 향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는 문제 등이 발생했다.또 심각한 연료 누출이 발생하면서 복구가 불가능해져 결국 달 착륙 시도를 포기했다. 회사 측은 연료 밸브가 막혀 탱크가 파열된 것으로 추정했다.페레그린은 1972년 12월 미국의 유인 달 탐사선이었던 아폴로 17호 이후 51년여 만의 달 표면 탐사로 관심을 모았다. 또 성공했다면 세계 최초 민간 달 탐사선의 달 착륙으로 기록될 수 있었지만, 1차 시도는 실패로 끝나게 됐다.미국에서 민간 최초로 발사한 달 착륙선이 임무에 실패한 뒤 대기권에서 연소돼 활동을 마감하게 됐다.15일(현지시간) 우주기업 애스트로보틱에 따르면 이 회사가 개발해 지난 8일 우주로 발사된 달 착륙선 페레그린은 대기권에 재진입해 불타 사라지는 방식으로 임무를 종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