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이 블랙홀로 변한다면 태양계는 어떤 변화가 일어 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이 블랙홀이 되어서 얼마나 많은 중력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다르지만, 우선 수성, 금성까지는 빨려 들어갈 수 있을것 같습니다. 태양빛이 없으니 암흑우주 일 것이고, 공전이 사라질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에어콘은 냉매를 이용한 것입니다. 만약에 매우 추운지방 영하 150도 그 이하가 되는 지역에서도 에어콘이 작동을 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영하 150도 이면 엄청 추운 기온 입니다. 우주의 옴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 정도 극 저온에 대비해서 설계되진 않았을 거예요. 작동이 불가 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매머드 화석이 발견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매머드의 화석은 중국,러시아, 일본등 우리나 라와 가까운 나라에서도 발견된다. 그리고 한반도에서 도 매머드의 화석이 발견되기 시작했다!한반도 지역에서는 북한 함경북도 장덕리에 분포하는 호수퇴적층에서 매머드의 골격과 어금니, 상아가 여러 개체 산출되었으며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에 속하는 상왕등도 주변 천해에서 매머드의 어금니가 발견되어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다. 화석은 1996년에 이 해역에 서 저인망 어선의 그물에 포유류의 뼈로 보이는 여러 개의 화석이 걸려 올라왔으며, 당시 화석을 획득한 어 부로부터 시료의 일부를 전해 받은 (주)바다사랑 & 한 국해저탐사연구소가 2009년에 이를 한국해양과학기 술원에 의뢰함으로써 매머드의 어금니화석임이 확인 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비트코인의 반감기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트코인은 컴퓨터에서 정보의 기본 단위인 비트(bit)와 동전(coin)의 합성어로, 2009년 1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필명의 프로그래머가 개발했는데, 실제 생활에서 쓰이는 화폐가 아니라 온라인 거래상에서 쓰이는 가상화폐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수학문제를 풀면 채굴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받거나 채굴된 비트코인을 거래하는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다. 전체 발행량이 제한된 비트코인은 약 4년을 주기로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데, 이를 비트코인 반감기라고 부른다. 비트코인은 일정 수량이 유통되면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2009년 1월 비트코인이 처음 나왔을 때는 한 블록당 50BTC가 주어졌는데 2012년에는 25BTC, 2016년에는 12.5BTC로 줄어들었다. 2020년에는 6.25BTC로 줄어들었으며 이후 2040년께에는 채굴이 종료될 예정이다. 비트코인 반감기는 비트코인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풀리는 수량은 줄어들게 해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실제로 2016년 반감기 당시에는 약 80만 원대의 비트코인 가격이 30배 넘게 상승해 2017년 최고점인 2800만 원 선까지 급등하기도 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코로나의 발병 진원지는 밝혀졌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코로나 발병 진원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중국이나 미국에서 숨기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다만 유력한 것은 박쥐로부터 온 것이라는 설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발 몇미터 이런건 기준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해발고도(海拔高度)는 바다의 평균수면을 기준으로 계산한 어느 지점의 높이를 말하며, 표고(標高)라고도 한다. 다시 말하면 바다의 수준면(水準面)에서 지표의 어느 지점에 이르는 수직 거리가 해발이며, 수준원점(水準原點)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다.육지 표고의 기준은 만조(滿潮)에서 간조(干潮)까지 변화하는 해수면의 높이를 장기간 연속적으로 측정해 얻은 평균치인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한다. 우리나라 육지 높이의 기준이 되는 수준원점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인하공업전문대학 구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1963년 12월 현재 그 표고를 26.6871m(인천만 평균해면상)로 확정하고 있다. 이 수준원점은 1914년부터 1916년까지 인천항에서 조위를 측정해 평균해수면을 설정, 이를 기준으로 수준기점의 높이를 결정해 국토의 표고 기준치로 이용하고 있다. 이 원점은 1963년 12월에 설치했다.해발고도란 '바다로부터 잰 높이'라는 의미이다. 어떤 지점의 높이를 고도(高度)라 하는데, 보통 그 기준을 해수면의 높이로 정하기 때문에 해발고도라 부른다. 그런데 바다의 높이는 일정치가 않으며, 지역에 따라 또 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각 나라마다 높이의 기준이 되는 해수면의 위치를 정하게 되며, 그 지점의 해수면 높이의 연중 평균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평균해수면이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도 서울과 가장 가까운 바다인 인천 앞바다의 평균해수면을 그 기준으로 하고 있다. 즉 이 지점의 높이가 해발고도 0m가 되며, 이를 기준으로 국토의 모든 지점의 해발고도 값이 정해지게 된다.또한 실제적으로 높이를 측량하기 위해서는 육지에 존재하는 기준점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수준원점(水準原點)이라 하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각종 지점들의 높이에 대한 측량이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준원점은 인천 인하공업전문대학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곳의 해발고도는 26.7m 정도이다.해발고도는 국가마다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한 바다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나라마다 다를 수 있다. 참고로 북한에서 사용하는 평균해수면은 동해안에 있는 원산 앞바다로 인천 앞바다의 평균해수면보다 약 6m정도 낮다. 이로 인해 같은 지점의 높이를 표시할때 우리나라보다 약 6m 가량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해발고도는 국가마다 정한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값은 오차도 존재하여 자연과학·역학(力學)·공학(工學)에서의 정밀한 값의 계산을 할때는 보정이 필요할 수 있다.해발고도는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인의 하나가 되는데, 일반적으로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하강한다. 이는 해발고도가 올라갈수록 공기 밀도가 낮아져 지구가 태양에너지를 받은 후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의 영향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저위도 지역에서도 해발고도가 높으면 만년설을 볼 수 있으며, 열대기후 지대에서 해발고도가 높은 곳은 기온이 높지 않아 사람이 살기 좋은 고산기후가 나타나는 곳들이 있다.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지나 동부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선회를 먹을때 숙성 된다는 것은 어떤 과학적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고기들이 죽을때 근육, 살이 경직됩니다. 일명 사후 경직이라고 하죠. 쫄깃한 맛은 있으나 감칠맛은 없습니다. 숙성을 시키면 살이 부드러워지고, 단백질과 지빙이 나와서 숙성되면서 감칠맛이 살아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흥분의 전도과정에서 탈분극이란 무엇일까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탈분극(depolarization)은 세포의 막전압(membrane potential)에 변화가 일어나 더 작은 음의 절대값(less negative)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세포막 내부에 양전하의 양이 증가하거나 음전하의 양이 감소함으로써 일어나며, 과분극(hyperpolarization)과 정반대의 개념이다.안정막전압안정된 상태에서는 세포막의 안쪽이 바깥 쪽에 비해서 음의 전하를 띠고 있다. 세포막전압(membrane potential)을 측정할 때에는 세포막 바깥쪽을 기준으로 안쪽의 상대적인 전압을 읽기 때문에, 안정막전압(resting membrane potential, RMP)은 모든 건강한 세포에서 음의 값을 가진다. 안정막전압 값은 세포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나며 일반적으로 신경세포는 -70 mV에서 -50 mV 사이의 안정막전압을 가지고 있다.세포막에 있는 어떤 이온통로가 열리면 그 이온통로를 통과할 수 있는 이온은 평형상태(equilibrium)에 이를 때까지 계속 이동하게 된다. 이온은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세포막을 사이로 한 이온의 평형상태에서는 이온 농도의 평형(화학적 평형, chemical equilibrium)과 전하량의 평형(전기적 평형, electrical equilibrium)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며, 이러한 상태를 전기화학적 평형(electrochemical equilibrium)이라고 한다. 이온이 전기화학적 평형 상태에 도달했을 때 막전압을 사이로 이온 분포의 차이 때문에 생기는 전압차를 평형전압(equilibrium potential)이라고 한다. 안정된 상태에서 세포막이 한 종류의 이온만 통과시킬 수 있다면, 그 이온의 평형전압이 바로 안정막전압이 될 것이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체감 온도는 어떻게 측정을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체감온도는 기온·풍속·습도·일사 등 기상 요인을 종합해서 계산합니다. 옷을 입은 정도·거주 상태·체질·심리 상태 등도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산출은 곤란하지만 실제에 가까운 산출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습니다.좀더 전문적으로 설명하면, 카타(Kata) 온도계의 냉각률에 의한 방법과 실효 온도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방법들은 기온 이외에 습도, 바람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체감온도를 산출하려고 했습니다.같은 -10℃라도 풍속이 시간당 5km일 때 느끼는 체감온도는 -13℃지만 시간당 30km일 때는 -20℃까지 떨어집니다.기상청에서 행하는 체감온도 산정 공식은 13.12+0.6215×T-11.37V0.16+0.3965V0.16×T입니다. 여기서 T는 기온, V는 지상 10m의 풍속을 뜻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산불이 크게 나면 화염 토네이도가 생긴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산불 지역 곳곳에서 불꽃이 하늘로 치솟는 ‘화염 토네이도(firenado)’ 현상까지 관찰되고 있다. 뜨거운 공기와 먼지, 잡동사니가 한꺼번에 소용돌이치는 화염 토네이도는 ‘파이어 데블(fire devil)’로도 불린다. 말 그대로 화마(火魔)다.화염 토네이도는 건조하고 뜨거운 공기, 그리고 불이 만나면 만들어진다. 공기는 더워지면 상승한다. 공기가 더 건조해지고, 더 뜨거워지면 상승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공기가 회전을 시작하면 바깥보다 안쪽이 더 빨리 회전하게 된다. 뜨거운 공기가 회전하고 상승하면 주변 공기가 중심으로 빨려들게 된다. 중심부 공기는 점점 더 빨리 회전하고 상승한다. 이때 주변에 산불이 발생했다면 불꽃까지 빨아들이게 된다. 그게 ‘화염 토네이도’다.
81828384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