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Q.  관상이나 이런게 성격 등을 진짜 반영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관상(觀相)이란 겉으로 드러난 얼굴(생김새)을 말한다. 또는 그 생김새로 사람의 성격과 기질을 파악하는 점(占)을 말하기도 한다.마의상법으로부터 체계화되어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점술. 일반적으로 관상학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으로, 대중에게 알려진 지는 2000년이 지났다. 주변에서는 철학관 등으로 흔하게 볼 수 있으며, 현대의 유명한 관상가는 신기원 같은 사람이 있다. 고대의 유명한 관상가로는 관로, 허소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관로는 기록을 보면 주역, 천문계열 점복술[1]을 썼던 것으로 보이고 허소는 관상쟁이가 아니다.관상은 관상가들 사이에서도 관상을 너무 맹신하지 말고[2] 자기 스스로 인생을 살아 볼 것을 권고하는 경우도 있다. 다른 책도 아닌, 위에서도 언급한 관상서인 '마의 상법'에도 이런 말이 나온다. "잘난 관상은 몸이 튼튼한 신상(身相)만 못하고, 몸이 좋은 신상은 마음씨 좋은 심상(心相)만 못하다. 심상이 좋으면 관상이나 신상이 좋은 것보다 낫다." 참조해 볼 만한 글 2인류학에서의 연구결과로 알려진바에 의하면 얼굴형은 조상의 유전자에 의해 그 특질이 결정되는데 부모 양쪽의 유전자에서 중간형이 아닌 한쪽의 유전자가 선택된다고 한다. 즉, 관상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것이 운명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은 특정 유전자가 특정 성격을 유발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즉 일종의 우생학이다.결국 생김새와는 별개로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뜻이다. 관상이 안 좋아도 착한 사람은 착하며, 관상이 좋은 사람도 나쁜 사람은 나쁘다.
Q.  태양계에서 행성으로 불렸다가 지금은 퇴출당한 행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명왕성은 행성이 아니라고 발표했어요.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어요.가장 먼저 크기가 달만 하다고 생각되었던 명왕성이 사실은 달 크기의 3분의 2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그리고 다른 행성들은 거의 원에 가까운 궤도로 태양 주위를 도는데, 명왕성의 공전 궤도는 아주 길쭉한 타원 모양이에요.그래서 가끔 해왕성의 궤도 안쪽으로 들어가기도 한답니다. 게다가 공전 궤도면이 다른 행성들에 비해 많이 기울어져 있어요.명왕성의 위성이라고 알려진 카론과의 관계도 이상해요.다른 위성들은 행성을 중심으로 원에 가까운 모양으로 행성 주위를 도는데, 카론과 명왕성은 서로의 주위를 돌거든요.그래서 한때는 카론을 위성이 아닌 또 다른 행성으로 보고, 카론과 명왕성을 '이중 행성'이라고 부르기도 했어요.하지만 카이퍼 벨트에서 명왕성보다도 큰 천체 2003 UB313(미국인들은 '제나'라는 이름까지 붙였어요)이 발견되면서 명왕성의 지위는 흔들리게 되었어요.명왕성을 계속 행성이라고 부른다면 제나처럼 명왕성보다 큰 천체도 행성이라고 해야 할 테니까요.그래서 많은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을 '왜소행성'으로 분류하기로 결정했어요. 행성의 정의도 새롭게 내렸지요.태양 주위를 돌면서, 충분히 큰 질량을 가져서 자체 중력 때문에 둥글며, 자신의 궤도 영역에서 소위 '짱'으로 주변의 다른 천체를 물리친 천체를 행성으로 정의했어요.그리고 명왕성처럼 앞의 두 조건만 만족시키면서 위성이 아닌 천체는 왜소행성으로 분류했어요.그런데 이와 같은 결정에 대해 미국만은 심하게 반대했어요.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잃어버리면 미국인들의 자존심이 무너지기 때문이었어요. 명왕성은 미국인이 발견한 유일한 행성이거든요.결국 국제천문연맹은 2008년 6월에 열린 회의에서 명왕성과 에리스(제나의 정식 이름)를 새로운 천체 부류인 '플루토이드'로 분류하기로 했어요.플루토이드는 '해왕성 바깥에서 태양을 돌며 주변에 암석형 이웃이 있는 둥근 천체'를 뜻해요.하지만 어쨌든 태양계의 행성은 명왕성을 뺀 여덟 개로 줄었답니다.
Q.  개봉해 버린 콜라나 맥주의 김이 빠지지 않게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 거꾸로 세우기 탄산음료는 탄소가 보통 이상으로 과도하게 포함된 과포화상태로 존재하는데요. 때문에 작은 틈을 보이는 순간 다량의 탄소가 분출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뚜껑을 따는 순간 '칙' 소리가 나는 것인데요. 한 번 딴 뚜껑은 어떤 방법으로도 이전 만큼의 밀폐력을 보이지 못하기 때문에, 개봉된 탄산음료는 다른 방법을 이용해 탄소를 가둬놓아야 합니다. 이 때 탄산음료 병을 거꾸로 세우면, 탄소가 빠져나갈 수 있는 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데요. 이는 기체가 뚜껑이 아닌 바닥 부분으로 올라가면서 밖으로 새어나갈 수 있는 틈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아래 위치한 뚜껑 부분의 경우, 액체(음료)가 위치하여 탄소의 배출을 막아주는데요. 일반적으로 액체가 기체에 비해 더 촘촘한 입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김 빠짐 현상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2. 비닐로 밀봉하기 혹시 담금주를 담궈보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담구지 않더라도 담금주 병을 보신적이 있으실텐데요. 담금주의 경우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킬 수록 숙성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뚜껑 밑에 비닐을 한 겹 덮어 밀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탄산이 포함된 음료 또한 비닐을 사용하여 밀봉하면 김빠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요. 뚜껑을 닫기 전 비닐을 입구에 덮고, 그 위에서 뚜껑을 돌려 막아 탄소가 빠져나갈 구멍을 밀봉하는 원리입니다. 다만 이 방법을 사용하실 경우, 매 번 비닐을 사용하시는 것이 조금 번거로우실 수 있겠는데요. 그럴 때는 랩을 이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니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3. 찌그러뜨린 채 보관 탄산음료 페트병 뚜껑을 땄을 때 탄소가 배출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병 내부의 압력과 관련이 있는데요. 헨리의 법칙에 따르면, 기체는 저압력일수록 액체에 잘 녹지 않는 특성을 보입니다. 그런데 뚜껑을 오픈하면서 압력이 낮아지므로, 탄소가 음료수에 녹지 못하고 튕겨져 나오는 것이죠. 반대로 병 내부 압력을 높이면, 탄소가 음료수에 잘 녹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데요. 이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병을 찌그러뜨리는 것입니다. 병을 찌그러뜨려 기체가 차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높은 기압을 조성하는 방법인데요. 주의할 점은 병을 닫기 전에 찌그려뜨려야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하니 이 점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Q.  때때로 한낮에 달이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공전하면서 생기는 현상이 바로 달의 모양이 달라지는 것이지요. 초승달에서 반달로, 반달에서 보름달로, 보름달이 다시 초승달이 되는 것이 이 공전 때문입니다. 달이 공전하지만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반사된 것을 지구에서 바라본 모양이지요.달에 반사된 빛은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달빛, 정확하게는 '태양의 빛이 달에 반사된 빛'은 밤에는 노란색으로 보이고, 밝은 낮에는 태양과 달의 거리가 가까워 잘 보이지 않거나 흰색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낮달이 뜬 날의 달빛은 흰색입니다.
Q.  음식을 포장할때 동봉된 드라이아이스를 손으로 만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동상이 아니라 화상을 입습니다. 드라이 아이스를 만졌을 떄 왜 화상을 입을까요. 일단 드라이 아이스를 만졌을 떄 손의 열은 급격하게 드라이 아이스로 옮겨가고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차가워진 손은 손의 열을 흡수한 드라이 아이스에 의해 화상을 입게되는 것입니다.
8768778788798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