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신광현 전문가
육군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심해에서 살수있는 물고기들은 어떻게 살수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물고기들이 높은 수압을 버티는 이유는 동일한 수압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물고기들은 물을 마시면서 동일한 압력을 유지합니다.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도 같은 기준 1기압을 유지하므로 물고기도 역시 물을 마시면서 숨을 쉬기때문에 자신몸과 주변의 기압이 동일해서 버티는 겁니다. 우리도 마찬가지로 몸가 주변기압이 기준인 1기압으로 같아서 변화를 못느끼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제설작업할때 뿌리는 염화칼슘은 어떻게 눈을 녹이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제설제로 많이 사용합니다. 염화칼슘은 흔히 제습제로 많이 사용됩니다. 흔히 아는 물먹는 하마가 대표적입니다. 습기를 빨아들이는 강한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습기를 빨아들이고 조해성이 있어서 스스로 녹게됩니다. 녹게되면 열을 방출합니다. 즉 염화칼슘으로 녹음 물이 다시 얼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해서 제설제로 사용합니다. 다만 차나 쇠를 부식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이 왔을 때 유리창에 신문지를 붙이기?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신문지와 테이프를 붙이는 것은 태풍으로 인해 부는 바람이 창문을 밀어내는 힘으로 분산시켜 미는 힘이 한 곳에 집중 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퍼트리려고 하는 행동입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창틀에 디틀려서 깨지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창틀을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테이프를 x자로 붙이는것도 테이프로 인해 힘이 전체적으로 다 퍼지기 때문에 하는 과학적인 행동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전자파로 인해 꿀벌이 죽고 있다는 설이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꿀벌이 없어지면 생태계가 파괴된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이 꿀벌에 대해 조사중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지구온난화를 한 가지 근거로 들었고 또 전자파 역시 근거로 들었습니다. 실제로 꿀벌을 전자파에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니 집을 제대로 찾아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전자파 유해론을 펼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관관계 증명을 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한 안타까운 시점입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우리가 알고 있는 '물먹는 하마' 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물 먹는 하마에 사용되는 원료는 염화칼슘입니다. 제설제로도 사용됩니다. 염화칼슘은 제습력이 뛰어나 주변의 습기를 빨아들이고 물을 만듭니다. 그래서 물을 버려야하고 그 물은 염화칼슘수용액과 다를바 없으니 조심해야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도시에서는 별이 잘 안 보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간단히 말해서 너무 밝아서 입니다. 도시는 인공발광물체가 많아서 반사되고 굴절되어 아주 밝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 수많는 빛이 눈을 현혹시켜 보이지 않게 됩니다. 낮에도 별은 있습니다. 다만 태양이 너무 밝아서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또 수많은 인공위성이 돌아다녀 알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자들은 별의 거리를 재기 위해서 연주시차를 이용합니다. 지구가 태양을 돌고 있기 때문에 6개월마다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 별의 위치를 이용해서 거리가 멀수록 연주시차가 작고 가까이 있을 수록 연주시차가 커집니다.2번째는 광도을 이용합니다. 기존의 자료로 얻은 별들의 밝기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방법입니다.그리고 고체행성일 경우는 강력한 전파를 쏘아 그 기간을 측정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과 목성사이에 소행성이 유독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 근처에는 행성이 될 수 있는 가스, 먼지 그리고 여러 원소가 많습니다. 일반적이라면 그것이 뭉쳐서 화성같은 지구같은 행성을 만들어야 되는데 목성이 궤도를 돌면서 다 끌어당겨 뭉치지 못하고 퍼지게 만듭니다. 그리고 행성이 될정도로 큰 소행성은 목성이 중력으로 잡아당겨 목성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목성은 태양 다음으로 큰 행성으로 태양을 제외하면 모든 행성을 합쳐도 목성의 질량에 반정도 밖에 되지않습니다. 그래서 화성과 목성 주변에는 크고 작은 소행성이 많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 자전속도는 왜 불규칙 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많은 과학자들이 이유를 찾고 있지만 정확한 이유를 모르고 있습니다. 지구가 타원에 조금씩 자전축이 달라지고 있다는 설도 있고 또 챈들러 요동이라고 팽이구 돌 때 잠깐 꿈틀거리는 순간이 있는데 그건 조건이 많고 이유도 많다. 아직도 그 정확한 이유는 모른다고 규정하고 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물리 마력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마력은 힘의 단위입니다. 1hp라고 하며 1 horse power라고 합니다. 1초간 75kg 1m 움직이는 힘으로 영국마력은 76kg을 1m 1초 움직이는 힘입니다.흔히 말이 끄는 힘이라고 말하고 이것을 마력이라고 합니다. 자동차 이전에 교통수단이었던 마차를 끌던 말의 힘을 빗대어 만든 단위입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