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신광현 전문가
육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0일 작성 됨
Q.
물은 왜 영도 가 되면 왜 얼음으로 변할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수소결합이라는 특이하고 강력한 분자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의 온도가 0도가 되면 물분자들이 모여 이 강력한 수소결합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단단해지면서 부피가 늘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물의 밀도보다 낮아지면서 물에 뜨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0일 작성 됨
Q.
명왕성을 왜 행성이라고 하지않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은 2006년 8월에 퇴출 당했습니다 태양 주위를 돌면서, 충분히 큰 질량을 가져서 자체 중력 때문에 둥글며, 자신의 궤도 영역에서 가장 크며 위성을 가진 존재가 행성으로 정의되었습니다.명왕성은 사실 태양의 주변을 돌다가 다른 행성의 중력에 영향을 받고 또 달의 3분의 2밖에 안되는 작은 물체입니다. 그래서 명왕성보다 큰 제나라는 물체도 행성이라 부르게 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왜소행성으로 정의하게 되었습니다.
기계공학
2022년 11월 20일 작성 됨
Q.
주행중인 자동차 바퀴가 역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이것을 이해하려면 상대속도를 이해해야합니다.내가 보고있는 사물이 10km/s로 오른쪽으로 가고 있고 그 사물을 보고 있는 나는 오른쪽으로 15km/s가고 있다. 그러면 우리 눈으로는 내가 보고 있는 사물이 왼쪽으로 5km/s로 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즉 상대적개념으로 이해해야합니다. 역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은 관측하고 있는 이의 속도가 관측되는 사물보다 빨라서 뒤로 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0일 작성 됨
Q.
빛이 중력의 영향을 받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중력에 영향을 받습니다. 블랙홀은 보면 실제 동그라미거나 평면입니다. 하지만 타원형처럼 보이는 것은 빛이 굴절되어 중력장에 빨려들어가기때문에 빛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검게 보입니다. 그래서 눈으로는 블랙홀이 검은 타원형으로 보이게됩니다. 그리고 이론적으로 방해요소가 없다면 내가 쏜 빛은 돌아오는게 맞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0일 작성 됨
Q.
가을하늘이 높다고 이야기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여름철에 남서풍 남풍 덥고 습한 공기가 불어옵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4계절중 공기에 수증기가 많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햇빛을 흡수하여하늘을 뿌옇게 보이게 합니다.상대적으로 가을철에는 시베리아 쪽에서 차고 건조한 대륙풍이 불게 됩니다. 이 바람은 상대적으로 미세먼지도 없고 깨끗한 공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때문인데. 여름과 달리 태양빛을 흡수하거나 산란을 방해하는 요소가 적습니다. 그래서 가을에 하늘이 높게 보이게 됩니다
화학
2022년 11월 20일 작성 됨
Q.
물이 100도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이론상 물 끊는 온도가 100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실험을 해보면 알수 있습니다. 실제로 재보면 100도가 나오지 않습니다.
화학
2022년 11월 19일 작성 됨
Q.
물이 얼어 얼음이 되면 고체로 변하면 부피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얼음으로 변화하면서 그 안에 있는 분자가 특별한 결합을 하게 됩니다. 그 결합을 수소결합이라고 합니다. 물 분자들의 결합보다 단단한 결합으로 물의 밀도보다 작아서 물에 뜨게 됩니다. 그래서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16일 작성 됨
Q.
벌이 사라지면 정말 인류가 멸망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생태계는 좋던 안좋던 현재 생태계는 평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여기서 멸종이 되면 생태계에 영향을 줄 여러가지 중 대표적인 5 정도 귀한 종이 있습니다. 첫째는 영장류입니다. 그들이 열매를 먹고 배설을 함으로써 새로운 숲을 계속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박쥐!! 박쥐는 고도의 진화과정을 걸쳐 곤충을 잡아먹으면서 곤충의 개체 수를 조절합니다. 셋째 벌!! 벌은 세계 최대의 꽃가루 매개체이며 벌을 대체 할 방법은 아예 없습니다. 그러므로 벌이 사라진다면 생태계 한 부분이 깨진다고 보면 됩니다. 4번째는 균입니다. 지구의 청소부로 유기물 사체등 찌꺼기를 해결합니다. 마지막으로 플랑크톤!! 균처럼 수 많은 유기물을 분해하고 또 식물성 플라크톤은 공기를 만듭니다. 또 수많은 유기체의 먹이가 됩니다.!!즉 벌이 있고 없고는 큰 생태계의 한부분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만약에 벌이 사라진다면 첫째 동식물이 섭취하는 식량이 부족해 질것이며 수많은 유무기체의 시체가 산을 이룰 것이며 이것을 처리해야 할 균이나 플랑크톤은 이 모든 것을 처리하지 못해 땅과 토지는 병들어 갈겁니다. 그러면 균도 플랑크톤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며 종말을 맞이하게 됩니다. 북극과 남극도 벌이 없고 생물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그곳에도 그곳만의 생태계가 있고 벌의 간접영향을 받는 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벌은 직접 간접으로 온 세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15일 작성 됨
Q.
열기구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날개될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높을수록 밀도가 작아진다. 이 원리를 이용해서 열기구 풍선의 중심부분을 가열장치로 이용해서 열기구가 올라가게 만듭니다. 그리고 열기구가 내려갈 때는 가열장치를 끄고 조절용 냉각구를 열면 서서히 내려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15일 작성 됨
Q.
속도와 가속도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속도라는 것은 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50m/s와 +50m/s는 속력은 같지만 정반대 방향입니다.시간에 대한 거리의 변화율 그것이 속도입니다.즉 방향 가진 물체의 빠르기를 속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가속도도 속도와 마찬가지로 벡터값입니다. 시간에 대한 속도의 변화율입니다. 즉 속도 변화율 속도가 얼마나 빠르게 올라가는 지를 알 수 있습니다.즉 거리를 시간으로 미분하면 속도.속도를 시간으로 미분하면 가속도가 나옵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