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왜 영도 가 되면 왜 얼음으로 변할까요?
우리가 항상 당연히 생각하는 물은 영도 가 되면 얼음으로 고체로 응고 되는데 이것의 정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 원리가 너무나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고유 특성입니다
끓는점과 어는점은 각 물질별 고유특성입니다.
그리고 온도를 정할때 물이 어는점을 0도로 하고 끓는점을 100도로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수소결합이라는 특이하고 강력한 분자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의 온도가 0도가 되면 물분자들이 모여 이 강력한 수소결합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단단해지면서 부피가 늘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물의 밀도보다 낮아지면서 물에 뜨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영도라는것은 물이 어는 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온도이며, 섭씨기준에서 100도라는 것은 물이 증발하는 온도를 기준으로 만들어낸 단위입니다.
즉, 일반 상대온도단위인 섭씨는 물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단위입니다.
절대 영도를 기준으로 물의 어는점은 약 273.15 K 입니다.
감사합니다.물질은 분자와 원자가 존재하고 어는점과 녹는점이 존재 합니다.
물이 0도씨에 어는것은 순수한물이 어는점을 0도씨로 하자고 정의했기 때문입니다.
섭씨온도의 기준을 정할때 1기압 조건에서 순수한 물이 어는점을 0도, 끓는점을 100도
이렇게 정하고 그사이를 100등분하여 온도의 기준을 설정 했습니다.
많은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원리라기 보다는 그 물질의 특성이 그렇기 때문입니다. 각 물질은 고유의 어는점, 끓는점이 있답니다.
안녕하세요. 강석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물질은 어는점 녹는점 끓는점등 물성이 변하는 고유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순수한 물의 어는점은 0도이고요. 4도부터 얼음결정이 생성되고 온도가 내려가면 얼음이되는것입니다.
분자의 운동이 작아지면서 고체화되는것입니다.
물이 0도가 되면 얼음으로 변하는 이유는 물의 어는점이 0도이기 때문입니다.
0도가 되면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에너지가 낮아져 물의 분자가 서로 달라붙게 되고
분자 내부에 빈 공간이 생겨 부피가 커지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얼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