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3

얼음은 어떻게 물에 뜨는건가요?

얼음도 무게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얼음이 물에 뜨더라구요. 얼음은 어떻게 물에 뜨게 되는 것인지 얼음이 물에 뜨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어 얼음이 되게되면

    수소결합이라는 고유의 특징때문에

    밀도가 얼음이 물보다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물에 얼음이 뜨게됩니다


  • 빈티지한양48
    빈티지한양4823.01.23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얼음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입니다.

    원래 물체가 뜬다의 의미가 서로 밀도를 비교 했을때 밀도가 작은 물질이 밀도가 큰 물질위로 뜨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헬륨이 들어있는 풍선은 공기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하늘로 떠 오르려고 하고 입으로 불어넣은 풍선은 공기보다 밀도가 크므로 뜨질 못하는것이죠... 이런 원리로 얼음이 물보다 밀도가 작기때문에 물속에서 떠 오르려고 한 것입니다.


    즉 같은 부피당 질량이 얼음이 작기때문에 물위에 얼음이 뜰수 있는것이죠...


  • 물의 밀도가 4도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얼음이 물에 뜨게 됩니다.

    밀도가 크면 부피대비 질량이 크다는 뜻인데, 물이 4도에서 가라앉기 시작합니다.

    최종적으로 얼음은 물의 분자 내에 빈 공간이 생겨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얼음이 물에 뜨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