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거북목이 심한 편인데 걸을 때 자세가 안좋다는 게 느껴집니다.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증상이 심한 경우 전문 기관에서 전문가와 상의한 후 전문 장비와 기구를 이용해 교정 운동을 해야 합니다. 보통 3개월 이상 치료해야 자세가 교정됩니다. 거북목 증후군의 원인을 바로 알고 일상생활에서 자세를 바르게 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장시간 동안 같은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하면 목과 어깨 근육이 뭉쳐 통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어깨와 가슴을 바르게 펴고 모니터를 눈높이까지 올려 맞춥니다. 그러면 고개를 숙이지 않아도 되어서 훨씬 편하게 모니터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목과 어깨의 긴장을 이완하는 데 많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한 시간에 한 번씩 5~10분 정도 서 있거나 가볍게 걸으면서 목과 어깨 스트레칭을 해야 합니다. 이는 거북목 증후군뿐만 아니라 VDT 증후군(영상표시 단말기 증후군,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을 예방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VDT 증후군은 장기간 모니터 작업을 하면서 모니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나 방사선 등에 노출되어 눈의 피로, 어깨와 목의 결림, 구토 등 육체적, 정신적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상기 치료에 대한 내용은 서울아산내과의 질환백과 [거북목증후] 파트를 참고 하였습니다. 이외에 정의 원인 진단 경과 등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은 하단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66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청소년 기억력저하,건망증,피로함,멍함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스트레스가 몸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며, 가끔은 신체적인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압 상승, 피로감, 기억력 저하 등은 스트레스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 피곤함,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먼저, 혈압이 상승하고 맥박이 높아지는 것은 스트레스 반응의 일부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혈압이 계속해서 높다면 정상 범위를 벗어났을 때 내과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실제로 혈압이 높은것이 맞는지 아침저녁으로 가정혈압을 재보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또한,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불편증상과 건망증은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와 신체적 활동, 규칙적인 수면 패턴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건강을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