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태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태현 전문가입니다.

신태현 전문가
오산두리이비인후과
Q.  환절기가 되면 피부 알러지가 심해지는데 피부 알러지를 예방하고 진정을 시킬 수 있는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먼저 알러지의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과에서 MAST 검사를 받아보시면 108가지 항원에 대한 원인 알러지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원인이 될만한 알러지를 회피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을 예방하는 조치를 함에도 불구하고 알러지증상이 심하다면 항히스타민제와 약한용량의 스테로이드로 증상을 조절하시는것이 필요합니다. 알레르기 증상을 줄이기 위해 습도가 높은 날에는 실내를 잘 환기시키고,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계절에는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의 습관을 기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Q.  쯔쯔가무시 증상과 정확히 어떤 병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털진드기병은 오리엔타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 균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게 물렸을 때, 이 균이 인간의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 혈관염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쯔쯔가무시병이라고도 합니다. 털진드기병의 매개체인 털진드기는 알→유충→번데기→성충의 네 단계를 거쳐 성장합니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번데기로 변하는 과정에서 척추 동물(설치류)의 조직액이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털진드기 유충이 인간의 팔, 다리, 머리, 목 등의 노출 부위, 습기가 많은 사타구니, 목덜미, 겨드랑이, 엉덩이 부위를 물면 털진드기 유충에게 있던 오리엔타 쯔쯔가무시 균이 인체 내로 들어가 병을 일으킵니다.털진드기병의 잠복기는 6~20일이며, 보통은 10~12일입니다. 처음에는 심한 두통, 오한, 전율이 생기면서 열이 나고 근육통이 심해집니다.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1cm 정도의 가피가 나타납니다. 붉고 경화된 병변이 시간이 지나면서 수포를 형성한 후 터져서 흑색으로 착색됩니다. 이후 3~5일 만에 팔다리로 발진이 퍼집니다. 열이 나는 첫 주에는 기침을 많이 하며, 2주째는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쇼크가 발생하거나 중추신경계가 침범당하여 장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특별히 병원에 가기 전에 하실 조치는 없습니다. 털진드기병의 치료 방법은 증상에 따라 다릅니다. 대부분 항생제를 투여하면 수일 내에 급격하게 호전됩니다. 증상이 매우 심한 경우에는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와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항생제로는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이나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치료만 잘 받으면 합병증 없이 완치됩니다.예방하시기 위한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가을철에 야외 활동을 할 때는 팔다리가 드러나지 않는 옷을 입습니다.② 돗자리 없이는 풀밭에 절대 앉지 말아야 합니다.③ 숲이나 풀밭에서 노상 방뇨하면 안 됩니다.④ 야외 활동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⑤ 야외 활동 중 옷을 풀밭에 벗어두지 않습니다. 귀가 후에는 입었던 옷을 모두 깨끗이 세탁해야 합니다.상기 내용은 서울아산병원의 질환백과를 참조하였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과 실제 물렸을때의 가피모양 등을 참조 하시기 원한다면 다음 링크를 들어가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46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Q.  여드름일까요? 피지낭종일까요 피지낭종이면 이정도면 자연치유가능할까요? 엄청 사이즈가 작습니다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단순한 여드름, 모낭염증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자연치유를 기대하며 경과를 보셔도 될것으로 사료됩니다.
Q.  발목인대파열 회복기간은 얼마나 걸릴까요?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부분파열은 4~6주완전파열은 수개월이 걸립니다. 최소 3~4개월정도 걸린다고 생각햐셔야 하겠습니다. 통증이 느껴지신다면 활동 강도를 낮추셔야 합니다.
Q.  헬리코박터 2차 약 복용중인데 7일차부터 열이 나는데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드물게 약제 유발성 열이 날수 있으나 헬리코박터 2차제균치료약 을 드시고 약열이 발생하는 것은 흔한일은 아닙니다. 고열을 일으킬수 있는 다른 원인 (인후염, 장염, 요로감염) 이 없는지 점검을 받으시고 다른 원인이 배제된다면 약제유발성을 고려할수 있습니다.헬리코박터약제를 10일이상 복용한 상태로 약제를 중단하고 경과를 보는것도 방법중에 하나이나 이는 담당 주치의와 면밀한 상의하에 결정하셔야 합니다. 제균율에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제균요법은 7일요법 10일 요법 14일 요법등을 선택할수 있으나 각각 제균율에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