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오송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송희 전문가입니다.
오송희 전문가
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초등학생인 아이가 자꾸 돈을 가져가는데 어떻게 해야 고쳐질까요
ADHD 같은 경우 AH (과잉행동 장애) 와 ADD (주의력 결핍)의 경우 발달과 뇌 불균형으로 인한 집중력 저하의 모습을 보이는게 증상 중 하나 입니다. 정확히 판단하기에는 아이를 직접 본게 아니고 아이 개개인에 따라 증상의 정도와 종류가 다르기에 정확히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위에 설명만 봤을 때 초등학교 3학년인 어린이가 돈을 가져가는 것에는 큰 연관이 없어 보입니다. 아이에게 경제관념을 키워주시는게 좋을 것 같으며, 또 다시 이러한 행동을 했을 때 훈육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일딴 아이가 돈을 가져오는 행동을 했을 때 단호하면서 간결하게 훈육을 해주시고 생각하는 의자 등을 이용해서 행동을 바로 잡아주세요. 또한 아이 스스로에게 저금통으로 직접 돈을 모을 수 있는 법을 알려주시며 다른 사람의 돈을 가져오는 것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시는게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아기가 먹다가 남긴 분유나, 미리 타놓은 분유는 다시 먹여도 괜찮은가요?
물가가 오르다 보니깐 분유 값 역시 부담 되시는 건 이해 합니다. 하지만 영유아들은 성인들에 비해 면역력이 상당히 약합니다. 그러다 보면 아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온도 습도에 따라 분유 역시 금방 상할 수 있기에 부담스러우시겠지만 아이 건강을 위해서라도 버리시는게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5월 31일 작성 됨
Q.
유치원과 어린이집 차이가 뭔지 궁금해요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아이들이란 공통점이 있지만 목적이 다릅니다. 유치원의 경우 만 3세에서 초등학교 취학 전 유아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교육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이집의 경우 만 0세부터 만 6세까지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보육을 중심으로 교육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역시 자격 요건이 다른데요 둘 다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공통점이 있지만 유치원 교사는 정 교사 자격증을 소지해야만 가능하며, 어린이집 같는 경우 보육 교사 자격증을 소지 해야지만 교사로써 활동할 자격이 주어집니다. 또한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소속에 속하며, 유치원의 경우 교육부에 소속 되어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아이를 훈육할 때 어떻게 해야 잘하는 걸까요
아이를 훈육하는 상황을 직접적으로 본게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을 드리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위에 내용들 만 봐서 말씀드리면 훈육은 혼내기 위한게 아닙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아이가 위험한 행동을 했을 때와 남에게 피해가 갔을 때 등 이러한 행동을 했을 땐 훈육이 들어가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아이를 혼내기 보단 단호하게 대해야 하며 단호함이 화로 변해선 안되고 그런 아이를 기다려 줘야 하는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연령대를 알지 못해 정확히 말씀 드리기 어렵지만 일딴 말투와 억양, 표정을 일정하되 문제를 간결하게 핵심만 짚어서 말씀해주세요.
놀이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숙제 다하면 유튜브 20분 보여줘도 될까요?
20분 정도면 크게 문제 되진 않습니다. 다만 이 부분은 아이들과 같이 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이들 생각과 의견을 듣고 질문자님 역시 생각을 전하시면서 협의를 보시는게 아이들도 불만이 생기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과 의견를 정하시고 아이 스스로 할 일을 다 했을 때 보상으로 자유 시간을 주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대신 아이들이 약속한 시간을 시킬 수 있게 충분히 아이와 이야기를 하고 정해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아기에게 계속 유튜브를 보게 해도 괜찮을까요?
영유아에게 전자기기는 별로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아이들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뇌 역시 같이 발달하게 되든데 전자 기기의 전자파는 뇌파에 좋은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또한 영상들을 보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 정서 발달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발달에 도움 될 수 있도록 어렵겠지만 조금씩이라도 영상을 보여주시는 걸 줄여보시는게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6살아이 하루에 몇권에 책을읽어 주는게
아이 개개인이 따라 다르긴 하지만 6살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기에 많이 읽어 주시면 좋습니다.보통 독서량을 크게 따지지 않지만, 중요한 건 아이가 책읽기에 흥미가 있는지 그리고 아이 스스로 책 읽는 걸 즐거워 하고 좋아 하는지를 더 중요하게 아셔야 합니다. 좋아하지 않은 것을 억지로 읽어주시면 아이 역시 책을 멀리 할 수 있으며 그런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아이가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책을 통해 언어 역시 늘어나기 때문에 독서량 보다는 아이가 원하는 만큼 읽어주세요.
놀이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아기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되는 활동들이 뭐가 있을까요?
소근육을 발달 시키기 위해서는 놀이를 통해 발달시켜주는 것이 아이의 흥미와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그림 그리기 같은 경우 크레파스와 색연필을 사용해 손에 힘을 줘 그리면서 아이의 소근육을 발달 시킬 수 있으며, 쌓기 놀이를 통해 아이의 소근육을 발달 시킬 수 있습니다. 실뜨기나 젓가락 놀이, 공 놀이 등 다양한 놀이들로 아이의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놀이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놀이터에 모래는 어느순간 없어졋을까요
아무래도 놀이터에 사용 되는 모래가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난 후 부터 아이들의 위생과 안전을 위해서 그렇게 바뀐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데로 모래 놀이는 감각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는데요 지금 현재 모래 놀이터가 많이 없어지는게 조금 아쉽긴 합니다. 하지만 이걸 대처할 수 있은 감각 놀이들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어린시절 돈에대한 감각을 깨우치게 하는법?
어릴 때 부터 경제 관념을 키우기 위해서는 돈의 개념을 먼저 알려줘야 합니다. 아이의 나이가 설명에 없어서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5~6세 인 경우 마트 놀이 같은 역할놀이를 하면서 아이 스스로 물건을 팔고 사는 등 가상으로 느끼게 해주시고 돈을 사용하는 방법을 어느정도 배웠다면 용돈을 받았을 때 아이 스스로 돈을 모을 수 있는 목적과 목표를 만들어 주시는게 좋습니다. 예시로 어떤 걸 가지고 싶은지 이 돈으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물어 본 후 아이가 가지고 싶은 장난감이 있다면 그 장난감을 사기 위해 돈을 모을 수 있게 작은 저금통을 이용해 아이 스스로 저금을 할 수 있게 방향을 잡아주세요 그리고 그 돈으로 아이와 함께 장난감 가게에 가서 아이가 직접 고르고 계산을 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그러다 보면 돈을 모으는 재미가 생기면서 아이 역시 목표에 맞게 돈을 모으고 쓸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