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저희 아이들이 잠을 너무 불규칙적으로 자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는 시간과 잠자리 패턴을 일정하게 가져가야합니다. 그리고 무슨 일이 있어도 시간을 지킬 수 있도록 해주시고 자기 한 시간전부터는 격렬한 운동이나 영상시청을 금지하셔야 합니다.그리고 평소 칼슘섭취를 충분히 하고 특히 저녁때 섭취를 하게 해서 신경이 안정될 수 있도록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자녀 유치가 빠지지 않는데, 보통 몇 살부터 유치가 빠지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6~7세때 빠지고 이르면 5살부터도 빠지기에 지금이 결코 늦은시기는 아닙니다.6~7세까지 기다려보시고 시기가 궁금하시다면 짖과에 가서 사진을 한번 찍어보세요. 영구치가 내려와있는지, 젖니가 빠지는 시기는 언제인지 알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아이가 카페모카 음료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금 먹은 것이면 큰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들 초콜릿이나 간식에도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커피든 간식이든 카페인 함양을 체크하시어 되도록이면 주지않도록 노력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갑자기 잘 자다가 우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아 야경증일 수 있습니다. 야경증은 뇌의 미성숙으로 인해 보이는 증상으로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호전되는 일시적 현상입니다.최대한 자기 전에 과도한 신체활동을 피하시고 운동량이 많았던 날은 몸이 이완될 수 있도록 마사지를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또 자기 전에 정서적으로도 안정될 수 있도록해주시면 좋습니다.자다 깨서 울면 가볍게 토닥여주시면서 달래주시고 아이가 안정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아이들 낮잠은 언제부터 안자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5~6세가 되면 낮잠을 서서히 안 자기 시작하고 빠르면 4살부터도 낮잠을 안자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위에 형제,자매가 있다면 낮잠을 더욱 안 자곤 합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들어가는 자녀에게 먼저 뭘 교육시키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학기 동안은 거의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것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한글 같은 학습적인 것 왜에 생활습관 적인 부분을 미리 연습시켜 주시면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고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1. 자리에 앉아있기2. 화장실 뒷처리 혼자하기3. 우유곽 열기4. 지우개로 지우기위와 같이 아이가 학교생활 자체에 적응할 수 있도록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의 범위를 늘려가보시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건강에 안 좋은 음식만 많이 먹으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객관적으로 이러한 음식이 왜 안 좋은지 설명을 차근차근 해주시고 인스턴트나 패스트푸드 등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은 주말이나 일주일에 한 번씩 먹을 수 있도록 안내해 보시기 바랍니다. 인스턴트 음식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그 음식들이 우리 몸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 시각적인 자료 등을 동원해서 아이들에게 보여주시면 아이들도 느끼는 것이 있을 것이고 먹고 싶어도 절제하게 될 것입니다. 또 그러한 음식을 안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건강한 음식을 먹는 것도 중요하므로 영양과 건강에 대해 알려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놀이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손버릇이 좋지 않은 아이 어떻게 교육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소유의 개념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친구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게끔 알려주셔야 합니다. '장난감을 갖고 오면 친구가 속상할 것이다', '친구 것은 가져오지 않는다', 라는 것을 정확히 주지시켜 주세요. 단, 친구나 다른 사람이 보는 앞에서 혼내시면 아이가 수치심을 느낄 수 있으니 따로 얘기를 나누신 후 아이가 스스로 장난감을 돌려주고 사과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11개월 아이가 하루종일 말을해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직 말이 트인 아기가 아니라면 말을 하는 준비를 하는 과정이라고 보면 될 것입니다. 이 때는 한번씩 반응해 주시고 아이의 말을 따라하면서 대응해주시면 언어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말이 트인 것이라면 본인의 생각을 내재화하기 전에 혼잣말처럼 끊임없이 말을 하게 되는데 굳이 일일이 반응해주실 필요는 없고 엄마를 보며 반응을 요구할 때 반응해주시고 맞장구쳐 주시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은 어떤 목적이나 의도를 가지고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영유아기 때 물건을 이리 저리 움직여보고 던져보면서 물체의 운동에 대해서 알아보는 행동들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위험한 물건이거나 감정적인 표현의 수단이라면 제재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고 싶다면 안전한 공이나 플라스틱 등을 푹신한 곳에 던질 수 있게 해주시고 그렇지 않다면 깨지고 다칠 수 있다는 것을 끊임없이 알려주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