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10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영구치가 다 나는 시기는 언제쯤인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금까지 다 빠지는 시기는 보통 10~11살이고 늦는 경우 12살까지도 빠집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의 공감능력은 후천적인 학습이 필요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기질적인 측면도 있겠지만 후천적인 교육으로 충분히 기를 수 있는 능력입니다.6~7세가 되면 뇌의 전두엽이 발달하면서 타인에 대한 이해, 배려, 도덕심 등이 자라는데 이때 적절한 교육이 더해지면 이타심과 배려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자신이 이해받고 공감받은 경험이 있느냐인데요 어렸을 때 부터 아이의 감정에 잘 공감해주시고 이해해주세요. 주의할 점은 그렇다고 무조건 아이의 말에 따라야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감정은 수용하시되 잘못된 행동은 바로 잡아주시고 훈육을 해주시면 감정을 건강한 방식으로 조절하며 클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3월 10일 작성 됨
Q.
아이 한글 공부 언제부터 시작하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한글에 관심을 가질 때가 한글교육의 적기인데요 보통 만 5세가 지나면 한글 자모음별 음을 알려주고 '가갸거겨'부터 '하햐허혀'까지 알려주는 자모음의 결합을 알려주면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이른 시기에 한글을 가르치려면 그만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아이가 뇌발달 상 준비가 되어있을 만 5세 이후 한글을 가르쳐주시고 자모음 결합을 한 번에 이해하지 못한다해도 반복적으로 알려주시면서 이해를 도우시면 되겠습니다. EBS [한글이야호]나 [한글용사 아이야] 같은 프로그램을 참고하셔도 좋습니다.그리고 무엇보다 효과있는 방법은 아이가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주시는 방법인데요,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이름을 써놓고 함께 읽어보세요.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3돌 아이 여행에 대한 기억?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기억은 5~6살부터 생기긴하지만 정말 인상적이었던 사건이 아니라면 기억에 남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엄마 아빠와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온 따뜻한 기억은 가슴에 남아 이어질 것이고 아이의 정서를 안정되게 하는 데 도움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여자아이 아빠가 목욕 시킬수 있는 나이는 몇세까지 정도 일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6,7세가 되면 아이도 성별의 차이를 충분히 인지하고 아이 스스로 거부하기도 합니다. 만약 아이가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해도 초등학교에 들어갈 나이가 되었을 때는 부모님께서 알아서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된다 안된다 라는 훈육을 몇세부터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훈육은 아이가 모르는 것을 끈임없이 반복적으로 가르쳐주는 과정입니다. 단호하게 하실 필요는 있지만 소리를 지르거나 무섭게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3살이라면 말귀를 알아들을 나이이니 훈육을 시작하셔도 되지만 이 시기의 아이들은 아직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려우니 위험한 행동이라든지 하면 절대 안되는 행동은 단호하게 통제하시되 그렇지 않은 행동들은 여유를 갖고 지켜봐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아이를 몇 살 때까지 등교할 때 같이 가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학년까지는 함께 등교해주시고 3학년부터 자율에 맡기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그 전부터 혼자 등원하려하거나 함께 등교하는 친구가 있다면 그 시기를 앞당기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아이친구중에 버릇이안좋은 애가있는데 어떻게 안어울리게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그 친구의 행동에 대해 이야기해 보시고 반면교사 삼도록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이도 이미 친구가 좀 못됐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기에 친구가 어떤 행동을 했길래 그렇게 생각했는지 그런 상황에선 어떻게 해야하는지 얘기 나눠보세요.못 놀게 하거나 멀어지게 했을 때 그 친구 성격상 자칫 보복이 있을 수 있고 겹치는 친구들도 있으니 당장은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고 적절한 타이밍을 기다려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15개월 아기 징징거리는게 많아졌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자신의 몸에 대한 통제력이 생기고 의지가 생기면서 그 의사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울음을 우는 것이기에 최대한 아이의 감정과 의사를 수용해주시고 읽어주시면 좋습니다.하지만 아이가 서서히 말이나 손짓, 몸짓으로 표현할 수 있게 유도하시는 것이 좋은데요 아직 말이 서툴기에 베이비사인(손짓)으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평소에 대화하실 때 자주 말하는 내용은 사인을 만드셔서 함께 보여주시면 아이가 필요할 때 사인을 이용하게 됩니다. 사인은 엄마가 정하시기 나름이지만 인터넷에 예시가 나와있으니 참고하셔도 좋습니다.그리고 가급적 아이가 말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게 유도해주세요.감사합니다.
놀이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여아 부모님들께 여쭤보고 싶어요. 6세 여아 태권도를 보내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의지와 흥미가 제일 중요합니다.요즘 태권도장에서는 태권도 뿐만 아니라 생활체육도 지도해주고 아이 신체발달정도도 체크해주는 곳도 많아서 보내면 나쁠건 없지만 어디까지나 아이가 다니고 싶어하고 재미를 붙여야지 그렇지 않으면 효과가 없습니다.아이 의사를 물어보시고 체험수업이라도 해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241
242
243
244
2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