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3월 16일 작성 됨
Q.
어린이집 적응을 못 하는 아이는 안 보내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도 힘들어하고 어린이집 측에서도 그렇게 얘기한다면 다른 기관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아이에 따라 적응에 한 달 이상 걸리는 아이도 있는데 어린이집에서 벌써 적응 이슈를 얘기한다면 아이가 그 어린이집 선생님과 안맞기 때문일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기관에도 보내보시고 똑같이 적응을 못한다는 피드백을 받으신다면 그 때 가정보육을 고려해보셔도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초등 고학년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주말 엑티비티는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등산을 추천합니다. 자연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대화도 많이 나눌 수 있고 정상에 올랐을 때 성취감도 느낄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또 내려와서 전이나 국수를 먹는다면 좋은 추억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32개월 아이 훈육 어느정도로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최대한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는 것은 잘하고 계신 것입니다. 하지만 해서는 안되는 행동을 했을 때는 단호하게 알려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32개월이면 일일이 설득하기 어려우므로 장황한 설명보다는 안되는 것을 단호하게, 간결하게 알려주셔도 괜찮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아이가 돌까지는 거의 안아프던데..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출산 후 6개월까지는 면역력이 유지되다가 외부적인 환경이 더해지면서 외부 세균이나 병균, 바이러스에 의해 아플 수 있는데 면역력을 잘 관리해주신다면 아프더라도 금방 낫게 됩니다.영양, 수면, 운동에 신경써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7세 남아 게임을 너무 오래하려고 하는데 고칠 방법 없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기 1시간 전부터는 게임이나 미디어를 차단하셔야 숙면이 가능합니다. 또 몰래 숨어서 하다보면 시력도 나빠지므로 여러모로 제재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게임하는 시간을 딱 정해놓고 그 외의 시간에는 휴대폰을 반납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지금 조절력과 자제력을 키우지 못한다면 학교 가서도, 그 이후에도 통제하기 어려워질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밤에 기침을 많이 해서 잠을 못자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는 방의 습도를 45-55프로로 유지해주시고 자기 전 배도라지 즙이나 기관지에 좋은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자다가 기침을 하면 네뷸라이저에 식염수를 넣고 코를 촉촉하게 해주셔서 숨쉬기 편하게 해주세요. 또 근본적으로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장내 환경을 개선해주어야 하기에 인스턴트나 패스트푸드 등의 음식보다는 유산균이 풍부한 김치 등의 발효 식품 등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해주세요.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체력이 좋아지고 싶은데 어떡해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팝스에서 평가하는 항목 중 심폐지구력의 경우는 오래 달리기를 통해 기르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기 때문에 뛰는 것을 피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일단 걷기부터 시작해서 5분씩 시간을 늘려가며 뛰기 연습을 해보세요. 그리고 운동을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근육은 양질의 단백질 섭취를 통해 키울 수 있기에 동물성, 식물성 단백질을 골고루 드시고 뼈 건강을 위해 칼슘도 잘 섭취해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소리에 민감한 아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청력이 예민한 아이들은 작은 소리에도 크게 반응하고 놀라게 마련입니다. 이런 아이들도 점점 크면서 여러가지 소리에 익숙해 지고 예민함이 낮아지기도 하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놀랄 때마다 이것이 무슨 소리인지 설명해 주시고 무서운 소리가 아니라 괜찮다고 안심시켜 주세요. 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소리지는 아기 왜 그런 걸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직 의사 표현 수단으로써의 언어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니 소리를 지름으로써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소리를 지르기 전에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빨리 파악해서 바로 반응해주시고 습관적으로 소리를 지른다면 소리 지르지말고 말로 하자고 잘 타일러 주세요. 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새벽마다 놀고 싶은 아이 왜그런 걸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새벽에 일어나서 놀다 보면 수면 패턴이 꼬여서 피로가 누적되고 또 밤에 숙면을 못 취하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따라서 낮 동안 충분히 활동하고 밤에는 잘 잘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주세요.우선 낮에는 햇볕을 쬐며 활동할 수 있게 해주시고 밤에 자기 전에는 최대한 몸과 마음이 이완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잠자리에서 가벼운 마사지를 해주시면 몸이 이완되는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발과 다리를 주물러 주시면 성장통 완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 자기 전 무리한 신체활동을 하지 않도록 해주시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해주세요. 잠자리 독서를 해주시면 심리적인 안정과 애착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계속 새벽에 깬다면 칼슘 부족을 의심해 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저녁 식단에 칼슘 메뉴를 추가해 주시고 필요시 칼슘제를 통해 칼슘을 섭취할 수 있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따뜻한 우유도 숙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