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의 전통 의복인 한복의 특징과 현대적 재해석 사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한복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입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고구려 벽화 속 여인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당시 생활복이었던것 같습니다.이후 고려시대때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몽골풍의 의상이 유행했는데 이것이 조선시대까지 이어졌어요. 이때 당의, 배자, 두루마기 등 지금까지도 많이 입는 의복들이 등장했습니다. 그리고 임진왜란 후 명나라로부터 들어온 철릭이라는예복이 평상복으로 자리잡으면서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습니다.한복은 상의와 하의 그리고 저고리와 치마로 구성되어있는데요. 이 중 저고리는 고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처음 만들어졌다고 해요. 이후 고려시대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소매가 넓어지고 고름 대신 매듭단추를 달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깃모양이라든지 동정, 싶 여밈 등은 중국복식의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Q. 지금은 노후화 되었을텐데요. 온누리호가 수행했던 주요 임무는 뭐였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1991년, 노르웨이의 한 조선소에서 '온세상'이라는 뜻의 이름을 지닌 1422톤급의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탄생했습니다. 이 배는 선진국의 해양조사선과 비교하면 규모는 확연히 작았지만,당시로서는 최첨단 항해 장비와 탐사 장비를 갖추고 있었습니다.온누리호는 세계 곳곳의 바다를 누비며 대한민국의 해양 영토를 개척하고, 해양 생태계 환경을 조사하는 일을 수행했어요. 온누리호의업적은 이게 전부가 아니에요. 해저 면에 있는광물 자원 탐사도 온누리호가 거둔 크나큰 성과였습니다. 온누리호가 확보한 코발트, 니켈.망가니즈, 구리, 희토류 등은 반도체와 배터리의 핵심 물질이거든요.세계 각국이 이 희귀한 자원을 찾아내기 위해눈에 불을 켜고 깊은 바다 이곳저곳을 이 잡듯이 뒤지고 있죠. 우리나라는 온누리호 덕분에이들 자원을 빠르게 확보한 거예요.우리나라도 자원이 풍부한 나라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 준 고마운 존재죠. 우리가 대한민국 최초의 해양조사선 온누리호를 기억해야하는 이유입니다.
Q. 대한민국의 주요 명절인 설날과 추석의 유래와 의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설날의 유래설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 첫 아침을 맞는 명절로 한 해의 최초 명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새해의 첫날에 일 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내게 해 달라는 바람에서 연유했다는 견해와 17세기 문헌에 ‘설’이 ‘나이’, ‘해’를 뜻하는 말로 쓰인 것을 통해 ‘나이를 하나 더 먹는 날’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추석의 유래추석은 매년 음력 8월 15일로, 8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한자 뜻을 풀이하면 '가을 추'와 '저녁 석'이 합쳐져 가을의 달빛이 유난히 밝은 밤이라는의미가 있는데요. 추석의 또 다른 이름인 '한가위'는 순우리말로,‘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가 합쳐져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Q.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세계문화유산은 무엇이며, 그 역사적 가치는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세계문화유산 몇가지 소개해 드립니다.1) 석굴암석굴암은 서기 751년 신라 경덕왕 때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하기 시작하여 서기 774년인 신라 혜공왕 때 완공하였으며, 건립 당시의 명칭은 석불사로 칭하였습니다. 이 석굴은 신라시대의 전성기에 이룩된 최고 걸작으로 평가되며, 그 조영계획에 있어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이 총체적으로 실현된 것입니다. 또한 경주 토함산 정상에 못 미친 깊숙한 곳에 동해를 향해 앉아 있는 석굴암은 완벽하고 빼어난 조각과 독창적 건축으로 전세계에 이름이 높습니다. 2) 불국사불국사는 석굴암과 같은 서기 751년 신라 경덕왕때 김대성이 창건하여 서기 774년 신라 혜공왕때 완공하였습니다.불국사는 불교교리가 사찰 건축물을 통해 잘 형상화된 대표적인 사례로 아시아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건축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3) 해인사장경판전해인사 팔만대장경은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함, 그리고 고도로 정교한 인쇄술의 극치를 엿볼 수 있는 세계 불교경전 중 가장 중요하고 완벽한 경전이며, 장경판전은 대장경의 부식을 방지하고 온전한 보관을 위해 15세기경에 건축된 건축물로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한 보존과학 소산물로 높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4) 종묘종묘는 제왕을 기리는 유교사당의 표본으로서 16세기 이래로 원형이 보존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독특한 건축양식을 지닌 의례공간입니다. 종묘에서는 의례와 음악과 무용이 잘 조화된 전통의식과 행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5) 창덕궁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 궁으로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탁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