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비상계엄이 선포된 역사가 우리나라에는 몇번이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역대 계엄령 선포 횟수는 경비 계엄 4회, 비상계엄이 13회로 총 17회가 되었습니다.대표적인 비상계엄 사례를 알려드립니다.1960년 4.19 혁명 직후 비상계엄 :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무너진 후, 혼란한 사회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비상계엄이 선포되었습니다.1961년 5.16 군사정변 : 박정희 소장을 중심으로 군부가 정권을 장악하며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1972년 유신체제 선포 : 박정희 대통령이 유신헌법을 발표하며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장기 집권 체제를 구축했습니다.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 전두환을 중심으로 신군부가 광주 시민의 민주화 요구를 무력으로 진압하며 비상계엄을 확대했습니다.
Q. 313년 2월 로마 제국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 황제가 공동발표한 밀라노 칙령을 발표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밀라노 칙령이 발표되기 전, 로마 제국은 수 세기 동안 기독교인들을 박해했습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통치(284-305년) 동안 기독교 박해가 극심했으며, 기독교인들은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고문과 사형에 처해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4세기 초에 이르러 로마 제국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습니다.콘스탄티누스 대제는 306년 황제로 즉위한 이후 기독교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특히 312년, 그는 밀비안 다리 전투에서 기독교상징인 십자가를 깃발에 새기고 승리를 거두며기독교 신앙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됩니다. 이전투 이후, 콘스탄티누스는 기독교를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박해받던 기독교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