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조기는 언제 부터 우리나라에 귀한 생선으로 대접받기 시작 했는지 궁금해요

가을에 전설이라 불리는 조기는 예전부터 우리나라에 귀한 생선이라고 불리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문득 조기는 언제 부터 우리나라에 귀한 생선으로 대접받기 시작 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조기는 1960~70년대만해도 연평도 인근에서 참조기가 많이 어획되었습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남획과 지구 온난화에 따른 수온의 변화로 인해 어획량이 급감하게 됩니다. 참조기의 경우에는 회유성 어종이긴 하지만 자기가 산란한 바다를 기억하고 다시 찾아오는 계절 회유어종인데요.

    겨울에 따뜻한 바다를 찾아 남쪽으로 이동했다가 봄에 산란을 위해 올라오게 되는데 이때 산란을 위해 이동하는 조기들을 싹쓸이해버리니 시간이 지날수록 북쪽 바다에서 태어나는 조기들도 없어지게 되고 다시는 그 바다를 찾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원래 우리나라에서 조기로 유명했던 곳은 연평도였는데 언젠가부터 연평도에 조기가 나지 않자 그보다 훨씬 남쪽의 영광이나 법성포로 그 명성이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법성포 또한 조기가 잘 잡히지 않아 많은 양을 추자도산 조기로 그 수요를 감당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 추자도와 제주도 그리고 가거도는 유일한 조기 어장이 되어 버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조기의 경우 과거 조선시대부터 귀한 생선으로 대접 받기 시작했으며, 소위 이 조기를 소금에 절여 만든 '굴비'가 소위 특산품으로 여겨지게 되면서(* 전남 영광의 특산품 ) 소위 돈이 좀 있는 사람들만 먹을 수 있는 생선이 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