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조상님들은 왜 대마도에 진출을 하지 않았을까요?
우리나라 조상님들은 왜 대마도에 진출을 하지 않았을까요?
대마도가 그리 풍족한 섬은 아니라지만 부산에서 대마도가 보일 정도로 가까운데 안건너간게 이상해서 질문 드립니다. 삼국사기 기록에 왜인들이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내용이 보이던데 왜인들이 벌써 대마도를 점거해서 못한걸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대마도는 현재 쓰시마섬으로 불리우는 일본의 입장에서는 정말 작은 섬에 불과하면서 개발도 잘 되지 않은 섬이지만, 과거에는 일본의 해적 왜구가 본거지로 삼던 곳이었습니다. 이러한 대마도는 일본과 한반도 사이에 위치해 있어서 일본 입장에서는 한반도와의 거래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마도는 산지로 되어 있는 지형임과 동시에 평지가 많지 않아서 고려, 조선의 입장에서 큰 매리트가 없는 땅이었고, 왜구가 본거지로 삼았기 때문에 고려 우왕시기, 조선 세종 시기 등 정벌을 단행한 기록이 있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옛날부터 대마도는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에서 오랫동안 자체 정권을 유지했습니다. 길이는 거의 제주도만하지만 면적은 그 절반밖에 안 되는 대마도가 한·일의 중간에서 독립정권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대한해협을 사이에 둔 한·일 간의 ‘힘의 균형’ 때문이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힘의 균형이란 국력의 크기가 똑같았다는 게 아니라, 대마도가 상대방에게 넘어가지 않도록 견제할 만큼의 힘이 양쪽 지역에 모두 존재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힘의 균형이 존재했기에 작은 섬 대마도가 한·일의 틈바구니 속에서 자체 정권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책봉과 식량원조를 받으면서 조선을 상국으로 대한 대마도가 끝내 조선 영토로 편입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 같은 힘의 균형 때문이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