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스만제국은 왜 멸망하게 된걸까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오스만 제국은 동부 지중해의 지리적 위치를 잘 활용하여 경제적인 번영을 누렸습니다.그러나 18세기 말이 되면서 오스만 제국의 군사 력은 점차 퇴보하게 되었습니다.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와 같은 다른 유럽 국가들의 군사력 발전에 비해 그들의 군사력은 상대적으로 뒤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그들의 군사적 실패를 예고한 것 이었습니다.특히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에 이르러서는 서구 열강들에게 연속적으로 패배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연속적인 패배는 오스만 제국의 군사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세계에 노출시켰습니다.이후에는 '탄지마트'라는 현대적이고 자유주의적 인 개혁 정책을 시도하였지만, 이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과거 패권국의 위상을 회복하려는 노력은 주변 국가들의 강력한 반발과, 복잡한 이해관계를 가진 세력 간의 정치적,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이렇게 오스만 제국은 군사력의 저하와 함께 그 위상을 점차 잃어가게 되었습니다.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순간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과 함께 중앙국으로 참전한 후, 연합국의 승리로 인해 시작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전쟁 에서 패배한 이후, 그들의 영토와 권력은 크게 축소되는 충격적인 결과를 맞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의 국력은 크게 약화되었으며 그들의 영향력은 빠르게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결정적으로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주장한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오스만 제국 내의 비투르크족들은 여러 나라로 분열되어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요르단, 이라크 등으로 나뉘어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국가가 독립하면서 제국 체제는 완전히 붕괴하게 되었습니다.
Q. 아시아에서 노벨 문학상을 탄사람은 누구누구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1901년 노벨문학상이 수여되기 시작한 이래 100여 년 동안 아시아인으로는 네 분이 상을 받았습니다.맨 처음 수상자는 1913년 인도의 시성 "타고르"(1861~1941)입니다.시집 (Gitanjali)로 유명하고,1920 년대 에 우리나라를 "아시아에 빛나는 등불"이라고 칭송하는 글을 기고하여 우리에게도 아주 친숙하지요.두번째 수상자는 1968년 일본의 소설가 "카와바다 야스나리"(川端康成,1899~1972)입니다. 소설 으로 유명한 이 작가는 극우파로 "미시마 유키오 사건"때 자살합니다.세번째는 역시 일본의 작가 "오오에 켄자부로"(大江健二郞,1935~ )로 1994년에 상을받있습다. 소설로등이 있고,우리나라에도 다녀갔습니다.네번째 수상자는 중국의 "까오 싱 지엔"(高行建,1940~ )입니다.2000년 우리 김대중 대통령이 평화상을 수상한 해이지요.그는 1989년 "천안문 사건"으로 지금은 프랑스에 망명하고 있습니다.
Q. '사문난적'의 의미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사문난적에서 사는 이 사, 알 문은 글월 문이고, 난은 어지러울 난, 적은 도적 적입니다. 그 해석은 "아름다운 글을 어지럽히는 도적"이 라는 의미로 많이 해석됩니다.그럼 아름다운 글을 어지럽히는 도적이란 무엇일까? 당초에는 유교를 반대하는 자들을 지칭하는 말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조선의 지식인들, 권력 을 가진 지식인들이 "유교의 교리를 주자(주희) 와 다르게 해석하는 자"로 바꾸어서 정적을 처단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게 된것입니다.여기에는 송시열(1607~1689년)이 빠질 수 없는데, 송시열에게 주자를 공격하는 모든 자는 악이었습니다. 송시열은 그 악인을 '사문난적'이라 불렀습니다. 여기 사문난적으로 몰린 대표적인 이가 백호 윤휴인데, 어릴 적 윤휴를 만났던 송시열이 "우리들이 30년 동안 독서한 것 이 모두 헛된 것이 되었다"라고 할 정도로 윤휴를 높이 평가하고 둘도 없는 사이가 되었습니다.하지만 훗날 윤휴는 송시열이 용납할 수 없는 이를 저지르는데, 주자가 쓴 '중용'의 해설서가 틀렸다며 자기 식으로 해설서를 쓴 것입니다. 이후 송시열은 윤휴를 사문난적으로 규정했고, 송시열은 그 어떤 자리에도 윤휴를 천거하 지 않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