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오수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전문가입니다.
오수진 전문가
아동복지학과 가정교육교원자격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10세 여자아이 입니다 밤에 늦게 잘려고 하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수면패턴을 잘 만들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낮시간 때 아이가 활동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해주시고 충분히 에너지를 발산하고 땀을 흘릴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리고 저녁시간에 잠자리 들 때에는 그 전보다 좀 더 빨리 자는 분위기를 조성해주셔서 10시에는 잠이 들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10살ㅇ 아이라면 10시부터 2시까지 성장호르몬이 나와서 키가 쑥쑥 클 수 있다는 것도 이야기해주시면 더 이해하기 좋을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3개월 아기 앞니 관리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가 났다면 매일 물수건으로 이와 잇몸을 닦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에는 실리콘으로 손에 끼워서 쓰는 제품들이 있는데 위생적이고 관리하기도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상황에 맞게 아기에게 맞는 것으로 사용하셔서 닦아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제 육아휴직이 끝나면서 아이가 상황 적응에 힘들어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상황이 상황인만큼 아이가 어린이집에 있는 시간이 더 많겠군요..가슴이 많이 아프시겠어요.. 너무 걱정하지마시고 아이와 있는 시간은 최선을 다해 아이와 함께 놀아주세요.육아는 시간도 중요하지만 질이 더 중요합니다. 비록 지금은 시간이 안되어 아이와 놀아줄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해도 퇴근하고 아이를 만나는 시간부터 자기 전까지 아이와 즐겁게 놀이할 수 있는 것을 연구하셔서 아이가 엄마아빠와 즐겁게 시간을 짧지만 굵게 보낼 수 있게 해주시고요 주말에도 아이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주시면 아이 또한 정서적으로 불안하지 않고 안정감을 갖고 지낼 수 있을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13개월 아기를 키우고 있습니다. 영상이 끼치는 영향을 알고 싶어요. 영상을 하루에 2시간 정도 보는것, 아기에게 안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두돌 전까지는 미디어를 보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힘든 상황이시라면 최대한 미디어를 노출되지 않도록 줄여주시는 것이 좋습니다.아기 티비시청이 해로운 이유로는 언어발달하는 영역의 전두엽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여 상상력과 창의력을 저하시키고 언어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어요. 그리고 전두엽의 문제로 주의력이 결핍이 되고요 또한 문제가 생기면 주의력이 산만하거나 충동조절이 잘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회성 발달이 잘 안될수도 있습니다. 일방적인 티비 시청이 부모와 소통이 되지 않습니다. 티비보는 동안 티비에만 시선이 고정이 되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발달을 하려면 놀이와 움직이기 탐색등을 해야되는 티비는 일방적인 소통방식이라 아기가 발달을 할 수 없습니다.아기의 시력저하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아기들의 시력은 완벽하게 발달된 것이 아니기에 미니어 노출은 아기 시력에 영향을 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뇌를 흥분시켜서 자기전 티비시청은 수면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다고 하니 13개월 아기가 하루에 2시간씩 영상을 보는 것은 아무래도 좋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식사시간에 미디어를 통한 식사는 바르지 못한 식습관이므로 식습관 형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아기의 발달을 위해서라도 미디어노출을 줄여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아이가 산만해지는 것도 고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이 너무 흥분되어있는 상황에서는 그 어떠한 말도 잘 들리지 않습니다.아무리 애타게 소리쳐 불러도 들리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소리쳐 부르지 마시고 아이에게 직접 가셔서 얼굴을 마주하고 눈빛을 서로 보며 이야기해주시는 것이 오히려 아이 귀에 쏙 쏙 잘 들어올 것입니다. ^^차분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정적인 활동을 제공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이들이 너무 흥분하게 되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51
452
453
454
4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