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분자 중합 과정 중에서 축합 중합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축합 중합 반응= 축합 반응이 수없이 많이 일어나면서 긴 사슬이 만들어지는 반응첨가중합 : 단위체가 차례로 결합해서 중합체를 형성하는 반응으로, 중합 과정에서 작은 분자들이 떨어져 나오지 않는다(반드시 탄소 원자간 이중결합이 포함되어있다.) 축합중합 : 서로 다른 단위체 분자 내에 있는 작용기들이 반응하여 중합체를 만들 때, 물과 같은 작은 분자가 빠져 나가면서 중합체를 형성하는 반응(보통 ㅡCOOH, ㅡNH2 , ㅡOH 등의 반응성이 강한 작용기가 들어 있다.) 고분자화합물(첨가중합) = 폴리에티렌,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대부분 이름에 폴리가 붙습니다.) 중합체(축합중합) = 폴리에스테르,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대부분 이름에 수지가 붙습니다.)
Q. 곤충의 독에 된장을 사용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곤충에겐 독이 있습니다. 개미에게 물리면 붓는 현상, 벌에게 물리거나 쏘이면 아주 크게 붓는 현상... 이런 현상들은 그 곤충들만의 '독성'이 있기 때문입니다.이 독성을 구성하는 물질들은 모두 '산성'을 띠는데, 이 산성을 띠는 물질이 있기 때문에 우리 피부가 붓게 되는 것입니다.이렇게 붓는 부분이 산성이 되었을 때, 그 반대의 속성인 '염기성' 물질을 발라 중화시켜야 하는데, 고등학교 과학 용어로 이것을 '중화 작용'이라고 합니다.염기성 물질중 대표적인 것(여기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중심)은 암모니아수인데, 이것은 약한 염기성을 보이기 때문에 벌이나 곤충에 물리는 경우에 그 곳에 발라주시면 됩니다.일반적으로 된장을 바르면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사실 엄연히 따진다면 된장은 산성도, 염기성도 아닌 중성입니다.아주 효과가 없다고는 할 수 없고요... 산성과 중성이 만나니까... 아주 약간은 고통(?)이 완화되는 효과를 보일 겁니다...;;암모니아수가 없으면 오줌을 발라도...(상당히 곤란할 듯...=_=;;) 됩니다...^^*곤충의 독을 통해 백신과 약만들기식물의 번식식제품 만들때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