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빛은 초당 30만킬로미터를 간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측정 원리는 일정한 거리를 오가는 빛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거울에 정확한 각도로 반사돼야 측정 지점에서빛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이 거리와 거울의 회전 주기를 이용해 빛의 속도를 측정한 것입니다.그리고 굳이 이렇게 광속을 측정하지 않더라도 맥스웰의 방정식을 응용하면 광속을 수학적으로도 구할 수있는데, 바로 진공 중의 유전율과 투자율을 이용해 C = 1/√(εo*μo) 식으로도 광속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1.매우 큰 규모~레이저를 이용하여 주어진 거리X를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t을 측정. 속력=(2X)/t~과거에 사용한 방법으로 다소 무식한 방법이며, 꽤 먼 거리를 사용해야하고 거리의 오차가 심함.2.비교적 작은 규모(실험실 규모)~과거의 실험이지만 꽤 정확도가 높은 실험.레이저를 이용하여 알려진 진동수의 스트로보 스코프의 틈을 통과한 후 다시 반사되는 빛이 스트로보스코프의 다른 틈으로 통과하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피조의 실험)3.현대적 실험~파동의 간섭현상을 이용.진동수(또는 주기)를 알고있는 빛으로 간섭무늬를 관찰하여 이웃하는 보강간섭 거리를 측정하여 간섭공식에 대입, 빛의 파장을 계산. 속력=진동수×파장위의 방법은 모두 공기중에서 실험한 것으로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는 아님. 결국 공기의 굴절률이 1보다 크기때문에 위에서 구한 속력은 진공에서의 빛의 속력이 아님. 빛의 속력=c/n (c진공에서 빛속력, n굴절률)따라서 c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진공도가 높은 상태에서 작은 규모로 실험하거나, 우주에서 실험해야함. 아니면 굴절률이 매우 정확하게 알려진 물질을 통과하는 시간측정으로 역계산 하여 알아냄.어쨌든, 빛의 속력을 측정하려면 시간(진동수), 거리(파장)을 측정하는 장치가 있어야하고 님이 말한 뒤쪽 이야기, 전기신호장치...는 위의 측정과정에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