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우주에서도 익사할 위험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무중력상태에서는 익사가 가능하지ㅜ않을것으로 보입니다정확히말하면 질식사 합니다.
Q.  냉동인간이 실제로 가능한부분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히는 냉동인간이 되살아나는게 가능하냐는 질문이겠죠. 냉동인간 자체는 얼리기만 하면 되니까 어려울 것 없죠.일단 냉동인간의 회생은 지금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무한동력같이 이론상으로 불가능하다고 정해진 문제가 아니라 공학적인 문제만 해결된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는 문제입니다.미국 현행법상 냉동인간 절차는 죽은 직후에만 가능하거든요. 멀쩡히 살아있는데 냉동인간 되는건 어차피 불가능하니, 자신의 관값으로 많은 돈을 쓸 수 있는 사람은 어차피 죽는거 죽을 때 가져가지도 못하는 돈 낮은 확률이나마 시도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Q.  보름달은 어떻게 저렇게 밝을 수가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제가 알기에는 태양의 빛이 달의 모든 면이 다 받았기 때문인것으로 아는데 확실한건 좀더 알아보겠습니다
Q.  동면상태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 실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동면시의 체온 유지는 활동시의 체온과 다릅니다.동면하는 상태에서는 겨우 생명유지를 위한 대사작용 정도이며 놀라울 정도의 저체온 상태입니다. 따라서 추위를 느낄 감각이 휴식을 하는동안은 휴면상태가 되어서 고통같은 것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조금은 다른 의미지만 인간도 극한 상황에서 체온을 잃으면 감각이 마비되어서 동사를 겪는 것입니다. 그 쯤되면 추위를 느끼지 못합니다.
Q.  태양계에서 지구 화성같이 단단한 행성이 또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적으로 행성의 특징에 따라서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 됩니다.지구형 행성의 특징은 아래와 같으며, 지구와 같은 조건이 중요시 되는 이유는 생명체의존재 여부와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일반적으로 지구형 행성은 밀도가 높고, 지각활동의 흔적이 있으며, 수분의 증거가 남아 있는경우 많습니다. 이는 원시 생물들이 최초 물속에서 생활하는 생물에서 발생되었다는 점에서매우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즉, 생물이 존재할 가능성과 동일 시되기 때문이죠...또한, 대기의 존재 라던지 하는 생물이 존재하는데, 결정적인 요소들에 대하여, 매우 중요시 하게다루어 집니다.이는 비단, 외계의 생명체의 존재 여부 뿐만 아니라, 공상 과학영화에 나오는 우주 식민지 건설의가능성등을 나타내주는 척도이기 때문입니다.--수분의 존재 여부--대기의 존재 여부--행성의 일교차--공전/자전 주기--중력의 크기 등등이 매우 중요 합니다.특징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반지름 작다 크다질량 작다 크다평균 밀도 크다작다자전 주기 길다 짧다위성 수 없거나 적다 많다고리없다 있다.성분단단한 암석 가벼운 기체예수성,금성, 목성,토성,지구,화성 천왕성,혜왕성 지구형도 목성형도 아닌 행성(일명 왕따행성) : 명왕성 ※설명지구형 행성(수,금,지,화)작지만 알찬(밀도가 큰)행성들입니다.지구형 행성중 지구가 제일 크기때문에 지구형 행성입니다.토성같은 고리는 4개 행성모두 없는 편이고, 위성은 지구에만 달이 존재할 뿐,다른 3개의 행성에는 위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지구형 행성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때문에 자전 속도가 느립니다. 그중 수성은 대기가 없어서 밤낮의 기온차가 심하고 표면이 달과 흡사 합니다. 금성은 지구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별입니다(샛별이라고도 하죠). 또한 두꺼운 이산화탄소 대기로 인해 표면온도가 높고 기압도 큽니다(지구에 점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서 온난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죠. 같은 원리입니다.). 화성은 표면이 붉은 산화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화성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그이유는 화성에 물이 흐른 자국이 있기 때문에 생물이 살았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죠. 또한 화성은 계절의 변화가 관측되는(화성의 극관) 행성입니다. 목성형 행성(목,토,천,혜)크지만 텅빈(밀도가 작은) 행성들 입니다.(←덩치만 크고 들은건 하나도 없다는 거죠--)목성형 행성도 목성이 제일 크기 때문에 목성형 행성이구요.고리는 4개 행성모두 있습니다. 그중에 토성이 제일 선명하고 아름답다고 유명하죠.나머지 행성들도 모두 고리가 있지만 희미한 고리입니다. 목성형 행성은 위성이 있습니다. 특히 토성에 위성이 20여개로 제일 많습니다.그리고 이 행성들은 가벼운 기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전 속도가 아주 빨라요.(태양도 기체로 이루어 져 있죠.) 대신에 공전하는 속도는 느립니다. 이들 중 목성에는 대적점,천왕성에는 대흑점이 나타고, 목성에는 대기의 대류 때문에 생긴 가로줄 무늬가 있습니다.또 천왕성에는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과 거의 평행합니다.지구형 행성그걸 아실려면 태양계 생성론을 아셔야 합니다. 바로 성운설입니다. 성운설에서는 태양과 행성은 시기를 거의 같이하여 생성되었다 합니다. 성운설에서 태양계는 별의 폭발에 의해 생긴 성간물질의 난류현상에 의해 중력수축하면서 생겼다 합니다. 중력수축에 의해 중심으로 물질들이 모여들고 각운동량이 생겨 그 주위를 다른 물질들이 돕니다. 물질들이 중심으로 끌려오면서 중심의 밀도와 온도가 높아져 원시태양이 생성ㅤㄷㅚㅆ고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와 밀도에 다다라 결국 태양이 되었죠.한편 중심으로 모이는 물질이 많아질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지고 원심력이 커져 중심에 들어가지 못한 물질들은 밖으로 밀려나서 태양 주위를 돌게 되었습니다. 이 중 규산염물질이나 돌과같이 무거운 물질은 태양 가까이, 수소와 헬륨과 같은 가벼운물질은 태양 멀리서 그 주위를 돌았고 이런 물질들이 서로 충돌하고 병합하면서 태양 가까이엔 지구형행성이, 태양멀리엔 기체로 이루어진 목성형행성이 생성되었습니다. 이를 '성운설'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이론에도 여러가지 결점이 있구요, 결정적인 이론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또한 성운설에 따르면 태양계 생성 시 행성들이 돌면서 원심력이 작용하여 지금의 태양계가 납작한 원반모양(모든 행성들은 옆에서 봤을때 태양과 이루는 각도차가 거의 없습니다. 납작한 원반모양으로 옆에서 봤을때 거의 일직선이죠. 물론 약간씩의 차이는 있습니다. 이는 마치 피자를 만들때 처음엔 둥글둥글한 밀가루덩어리를 만들고 가운데 손가락으로 그것의 중심에 꽂아 계속 돌리면 납작하고 넓은 원과 같이 되는것과 같은원리입니다.또한 수성과 천왕성의 자전방향이 다른것까지 설명하는데요, 처음엔 모두 같은 방향의 난류현상에 의해 생성되었으므로 각 행성들의 자전방향은 같았지만 물질들이 계속 충돌하면서 그 충격으로 자전축이 점점 기울어져서 지구와 같은 경우엔 수직으로부터 23.5도 기울어져있고 수성과 천왕성은 그 정도가 커서 자전축이 뒤집어지는 바람에 다른 행성과 자전방향이 달라졌다 주장합니다.그리고 목성이 현재 지구정도로 가까워질 일은 없겠지만, 그렇다 해서 지구형행성이되는건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것의 물리적 성질이 변하는건 아니니까요. 다만 케플러3법칙에 의해 공전주기가 더 짧아지겠죠.행성이 목성형, 지구형으로 나누는 것은 그 생성과정에서 이미 완성된 것이고 그것에 원리가 있습니다.
2512522532542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