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톡스라는 것은 어떻게 근육을 없애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톡스를 근육에 주사하면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을 막아 근육 움직임을 일정기간 완화시킨다. 보톡스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엘러간은 1989년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처음으로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그뒤 보톡스는 사시(斜視), 사경(斜頸:목이 뒤틀려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병증), 안면경련, 안검경련, 뇌성마비 등 근육·신경질환 치료에 쓰였으며, 1990년대에 피부과·성형외과 의사들이 보톡스로 치료한 환자들의 눈가에 주름이 없어지는 것을 발견하면서 미용 목적에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보톡스는 최근에 주름 제거뿐 아니라 다한증, 경련성 방광, 두통 치료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보톡스 주사 요법은 대체로 안전하고 뚜렷한 치료 효과를 보이지만 약효가 영구적인 것이 아니므로 4~6개월마다 주사를 다시 맞아야 한다..흔히 보톡스를 맞은 후 유지기간은 6개월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당연히 사람에 따라서 효과 및 유지기간도 다 다르기에 시술시 해당 시술 선생님과 상담 및 진료를 하신 후 시술을 진행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Q. 알렉세이 레오노프는 어떤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965년 3월 18일 8시 34분. 인류가 우주 밖으로 나오는 순간. 파벨 벨라에프와 함께 보스호드 2호를 탔다가 생명을 잃을 뻔했다. 분명 시작은 세계 최초로 우주유영을 한 인간이 되어 전세계의 사람들이 널 부러워 할거라고 설명을 듣고 올라간 우주였다. 물론 처음에는 굉장한 경험을 하였고 별의별 명대사를 다 읊었으나...즐거운 우주 산책을 마친 후 돌아가는게 문제였다. 우주선과 우주 사이에 감압실(에어록)의 재질이 섬유로 되어 있었는데, 이것의 폭이 상당히 좁다보니 거꾸로 들어가는 게 안 되었다. 흔한 SF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큰 차폐문이 달린 넓직한 에어록을 생각하면 잘 이해가 안 가겠지만, 이때 레오노프가 써야 했던 에어록은 우주선의 해치에 연결된 좁고 기다란 통로형으로 되어 있었다. 위의 개요도나 레오노프의 그림을 보아도 알 수 있지만, 이 에어록이라는 게 사람 한 명이 우주복 입고 딱 차렷자세로 들어가면 꽉 차는 수준이었다. 물론 레오노프는 실제로 무중력 상태에서 이 에어록에 신속히 들어가는 훈련을 여러 번 수행했었는데, 여기에 예상치 못한 기압차이로 실제 우주공간에서 우주복이 부푸는 변수가 닥치자 에어록에 진입하지 못했던 것. 진입을 하려면 다리부터 에어록에 집어넣어야 했는데, 우주복이 풍선처럼 빵빵하게 부풀어오르니 팔다리가 굽혀지지 않고 대(大)자로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된 것이었다. 당연히 다리를 접어서 에어록 입구에 집어넣을 수가 없었다. 나갈 때야 기압 문제도 없었고 우주선 내부에서 머리부터 에어록으로 들어가면 되는 일이었지만, 우주복이 부푼 상태에서 잡을 곳이나 지지할 곳도 없는 우주 공간에서 좁은 에어록 입구에다가 다리를 집어넣은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1] 결국 인류 최초의 우주 유영자가 최초의 유영 중 사망자가 될 판이었다.이 상태로 다리를 집어넣으려고 20분쯤 사투를 벌이다가 결국 선택한 방법은 자신의 우주복 내 기압을 진공 수준으로 낮춰서 부풀림을 제거한 것.[2] 어쨌든 성공하여 생환했지만 잠수병에 걸려서 지구로 돌아올 때 하마터면 얼어죽을 뻔했다.[3][4]귀환 도중 우주선의 난방장치가 고장이 나고 냉각장치만 작동하게 되었고 귀환선은 평지에 착륙하지 못하고 착륙 예정지에서 무려 1200마일이나 북쪽으로 떨어진 눈으로 덮힌 우랄 산맥 깊은 전나무 숲에 불시착하게 되었다. 우랄 산맥의 춥고 깊은 전나무 숲 속 나무들 사이에 우주선이 껴 출입구를 열 수 없는 상황에다 난방장치까지 고장나서 난방은 되지 않고 냉방 장치의 냉방만 가동되는 우주선 안에서 파올 벨라에프와 알렉세이 레오노프는 늑대들에 둘러싸인 채 평생 가장 추운 밤을 보내야만 했다. 뒤늦게 귀환선을 발견한 구조대가 도착했지만 울창한 나무 때문에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없어 구조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있는 착륙장을 만들기 위해 그 주위의 나무를 베어내야 했다. 비록 중간에 추운 밤을 보낼 수 있는 의복을 공수받긴 했지만, 인류 최초로 우주유영에 성공한 우주영웅은 이틀 밤을 추운 우랄 산맥의 깊은 숲 속에서 지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