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양자역학의 이중슬릿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이중슬릿 실험(Double-slit experiment)이란 두 개의 슬릿에서 나오는 결맞은 파동들이 스크린에 도달하는데 까지의 경로차로 인해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관찰한 실험이다.파동은 회절(回折, diffraction)과 간섭(干涉, Interference)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 파동이 미세한 틈을 빠져나올때 회절이 작용하여 퍼지게 되고, 파동이 두 틈을 동시에 결맞은 상태로 통과하기 때문에 파동끼리 간섭이 작용하여 뒤쪽 스크린에 그 무늬가 나타난다.양자역학에선 이중슬릿 실험을 물질이 가지는 파동성과 입자성의 상보성을 나타내는 실험으로 해석한다. 어떤 물질이 두 개의 미세한 틈을 통과하여 스크린에 도달하는 과정을 어떤식으로 관찰하느냐에 따라 파동(wave)과 입자(particle) 중의 한가지 성질만을 볼 수 있다. 파동은 두 틈을 동시에 지나므로 어느 틈을 지났는지 말할 수 없다. 반면 입자는 정해진 궤적을 가지고 두개의 틈 중 하나의 틈만을 통과한다. 양자역학적 상보성에 따르면 물질이 하나의 틈만 통과함을 관측하면 입자성을 가지고 행동한다는 뜻이고 간섭 무늬를 볼 수 없다. 반대로 물질의 간섭무늬를 본다면 파동성을 가지고 행동한다는 의미이며 어느 슬릿을 통과했는지 알 수 없게 된다.
Q.  반트호프 방정식을 활용한 의약품 분리 관련 논문?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둘의 차이점은 반트호프 법칙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액체 즉 수용액 상태에서의 삼투압과 부피의 곱은 몰수와 기체상수와 캘빈온도의 상관관계를 표시한 법칙입니다.그리고 이상기체방정식은 기체의 상태를 설명하는 방식입니다. 즉 그 둘의 차이는 반트호프식은 수용액상태를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은 기체상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입니다.그외의 다른 내용은 전부 동일합니다. Πv=nRT와 PV=nRT에서 Π와 P의 차이죠 하지만 둘 사이의 단위는 기압(atm)으로 같습니다. 참고로 v의 단위는 리터(L)이고 n은 몰(mol), R은 기체상수로 0.082058 L * atm / mol * K 입니다. 혹은 8.3145 J / mol * K 으로도 표시합니다. T는 온도로 캘빈온도를 의미합니다. 단위는 K 입니다.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서로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다르게 표현을 해준 것 뿐입니다. 결국 같은 말을 다르게 표현한 것 뿐이죠
Q.  고온의 물체를 적외선 카메라로 식별이 안되게하는 망토가 있던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물체는 절대영도 이상의 적외선을 방사하고, 물체의 온도가 높을 수록 적외선의 파장이 짧아진다는 원리를 이용해 적외선 센서를 통해 색깔로 그 정도를 표현합니다.
Q.  요즘 들어 해 뜨는 시간이 점점 더 빨라지는 느낌인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해가 뜨고 지는것은 공전과는 관계가 없고 지구의 자전과 관계가 있습니다.해가 뜨고 지는것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죠...그대신 해가 뜨고 지는 시간의 변화는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궤도면과 약 23.5도 정도 기울어 져 있어공전하면서 햇빛의 각도가 달라져 해의 고도와 뜨고 지는 시간이 변하는 것 뿐입니다.해의 남중고도가 높으면 해뜨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더 빨리 뜨고 더 오래 뜨는것입니다.예를 들어, 하지의 남중 고도는 90-위도+23.5도... 춘분,추분의 남중 고도는 90-위도... 동지는 90-위도-23.5도로구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하지의 남중 고도가 제일 높은것을 알 수 있죠...그리고 자세히 시간을 재어 보시면 해 뜨는 시간이 일정한게 아니라 동지는 해가 매우 늦게 뜨고 하지는 해가 매우 빨리 뜨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름 7시면 아직 해가 남아있지만 겨울인 요즘에는 6시만 되어도 어두워 지는것을 본 적 있으시죠?? 그와 같은 겁니다...
Q.  대기권의 구분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권의 구분 -높이에 따른 온도 분포에 따라 대기권은 4가지 층으로 구별되어 있습니다1.대류권 : 대류권은 지표면에 접해 있는 층으로서 우리 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기권에 있는 전체 공기의 약 90%가 대류권에 있으며, 이 층에서 구름, 비 등과 같은 기상현상이 일어난다. 2.성층권 : 대류권 위에서 높이 약 50km까지는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데 이 층을 대류권이라고 합니다 3.중간권 : 성층권 위에는 대류권과 같이 올라갈수록 온도가 감소하는 중간권이 있습니다. 중간권의 상층은 대기권 전체에서 온도가 가장 낮습니다. 4.열권 : 중간권 위에는 올라갈수록 온도가 다시 높아지는 열권이 있다. 이 층은 대기가 매우 희박합니다.
2562572582592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