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떻게 백색 소음이 잠자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백색소음이라고 들어보셨죠.뭐 이렇게 직--하는 소리일 수도 있고요.사실 어떤 노랫소리 이런 게 아니고 어떤 멜로디나 이런 걸 찾기 힘든 형태의 소음이죠.백색 소음이 잠이 오지 않을 때 도움이 된다.이렇게 얘기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실제 불면증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은 자려고 누웠을 때머릿속에 뭔가 자꾸 생각이 나타나고 지나가는 거죠.그 생각을 쫓아다니느라고 잠을 못 자는 거고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그래서 백색 소음을 들으면 그런 생각을 덜 하게 되거나 안 하게 되는 거죠.근데 그게 잠을 오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이렇게 얘기할 수 있는데요.백색 소음을 예를 들어서 잠이 안 오니까 백색 소음을 켜 놓고 잠을 잔다.도움이 될까?우선은 백색 소음으로 해서 잠드는 게 도움이 될 수는 있겠습니다.근데 잠이 들었는데 계속 그 소음이 흘러나온다면그게 잠의 질을 좋게 하겠느냐, 저는 그렇지는 않다고 봅니다.우리 수면에는 단계가 있거든요.1단계, 2단계, 얕은 잠이 있고요.3단계, 4단계, 깊은 잠, 꿈 수면 이렇게 있는데특히 깊은 잠에 3~4단계 수면, 서파수면이라고도 하고꿈 수면 이런 경우에는 주변에 소음이 있으면 아무래도잠을 그 수면상태에 도달하기도 어렵고그 수면상태가 유지되기도 좀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그래서 백색 소음을 켜 놓고 주무신다든지 하는 거는 좋은 방법은 아니고요.또 그러면 이 백색 소음을 이용해서 잠을 오게 유도하는 건 좋은 거냐?이 부분에 대해서도 수면의학적으로 인지행동치료에 원칙에 입각해서 얘기한다면자기 위해서 침대에 누워서 어떤 소리를 듣거나음악을 듣거나 하는 거는 좋은 건 아닙니다.왜냐하면 그렇게 하다 보면 나중에는 그런 소리가 없으면잠을 못 자게 되는 그런 문제가 생기는 거죠.기본적으로 음악을 듣거나 소리를 듣는 거는 침대 외에 다른 장소에서 하고내가 잠을 자기 위해서 눕는 거는 침대에서만 하고이런 식으로 분리해서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Q. 영상이 송출되는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탈로 넘어 가면서 방송 채널의 변경 및 남은 주파수 대역들이 존재 하고 이것의 재분배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입니다. 방송 주파수 대역이 수십 M ~수백 M 대역이나 DTV 방송이 되면서 채널 대역폭 및 기존의 1개의 채널에 다시 말해서 9번 KBS 채널에 9-1 HD ,9-2 SD ,9-3 SD 9-4 SD 이런식으로 4개를 송출 하도록 되어 잇으나 우리나라는 9-1 채널만 사용합니다 ,, 정보통신에서의 영상에 관한 내용은 국제 표준이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알아봐야 합니다 먼저 영상의 제작 편집 및 송출에 관하여 설명 드릴께요 영상의 소스를 MPEG2 라는 영상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송을 합니다 ,, 그리고 오디오는 AC-3 을 사용합니다 ,, 이것이 3세대 TV 방송인 HDTV 방송입니다 ,, 그럼 전파로서 일반 가정에 전달 되는 방식을 설명 드릴께요 우리나라 주파수 체계는 SFN 싱글 주파수 네트워크 즉 하나의 주파수를 전국으로 중간 중계소에서 재 중계로 이루어 지는 네트워크 다시 말해 방송망이죠 물론 재중계 하지 않고 자체 방송으로 해당 주파수 대역을 다른 방송으로 대체 하는것이 지역방송이구요 두번째 방송망은 MFN 입니다 전송 주파수와 방송 주파수를 다르게 한다는 것이죠 그럼 송출 하는 과정은 전파의 개념을 이해 하셔야 되구요 아날로그에서 디지탈로 전환 되면서 디지탈의 장점은 저출력으로도 충분한 시청이 가능해졋지요 기존의 아날로그는 송출 할때 많은 방사 출력을 하도록 되어 잇고 안테나의 이득 레벨이 60dB 정도로 이득을 가져 가야 햇으나 디지탈의 경우 40dB 정도만 가져도 재상이 가능하므로 단지 디지탈 방송의 경우 디코더가 필수가 되지요 그래서 영상의 경우 MPEG 2 디코더 와 AC-3 기능을 가진 셋톱박스가 필요 하게 되엇습니다 물론 자체 내장한 티비가 대세입니다 ,, 이것이 인터넷망으로 실시간 방송 또한 많이 합니다 이런 것을 보통 방송 통신 융합이라고 합니다 방통의 개념이죠 송출 시스템은 KBS 방송국에서 중계소로 보내고 메인 중계소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높은 주파수 6G 이상으로 다른 지역의 중계소로 송출 하고 이것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재 중계를 하는 방식입니다 UHDTV 방송은 HDTV 의 화면을 4개 또는 16개 보내고 오디오를 2배 5.1 에서 10.2 채널로 늘어 나게 보내어 입장감을 높이는 방송입니다 4세대 방송이죠 그 기본이 되는것은 MPEG2 와 AC-3 입니다 이것을 송출 하기 위해서는 MPEG-TS 가 필요 합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4개의 영상에 대한 것을 보내고 오디오까지 2개의 AC-3 를 보냅니다 ,, 많은 주파수 대역이 필요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시야각이 엄청 넓어져서 영화를 보는 느낌이 들겟죠 2020년 정도에 상용화 될것입니다 ,, 전파의 개념을 아시고 주파수 대역 및 아날로그 디지탈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 보시는것이 도움이 될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