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린스와 샴푸의 구성 성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디메치콘-실리콘계의 보습제로 쓰이나 두피나 피부의 모공을 막으므로 꼭 깨끗이 클렌징해야한다.그러나 여전히 저렴한 가격이라서 샴푸, 린스, 헤어팩을 망라하여 쓰이고 있다. 화장품도 동일.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정전기 방지, 모발 컨디셔닝 제로 쓰이지만 유독성이다. 하지만 유아용 샴푸에도 쓰인다. 파라벤(주로 메칠, 프로필 파라벤)-안쓰이는 제품도 꽤 있으나 강력한 방부제로 쓰이고 이 성분이 되어 있으면 적어도 3년, 5년은 보관방법에 따라 사용기간이 지속된다. 그러나 화장품 업계에서는 1년안에 쓰라고 광고한다. 설페이트류-화학계면활성제로 피부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세정력이 뛰어나 샴푸나 린스에도 종종 쓰인다. 글리세린-보습제.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컨디셔닝이나 모발 보습제로 쓰인다. 유해물질로는 분류되기도 하고 분류되지 않기도 하지만 케라틴의 가수분해물로 모발 컨디셔닝에 효과있다. 판테놀-발모에 효과가 있다.
Q.  핸드폰 필름중에 옆에서 보면 화면이 안보이는 필름이있던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창에 붙이는 사생활보호필름은 밝기 입니다.자동차에 썬팅을 하면 외부에서 내부는 잘 보이지 않지만 내부에서 외부는 더 잘 보이고 이것은 자동차 내부가 외부보다 더 어둡기 때문이며 반대로 밤에는 자동차 실내등을 켜면 자동차 내부가 더 보입니다마찬가지로 아파트 유리창에 필름을 붙이면 낮시간대에는 실내가 안보이지만 밤에 조명을 켜면 실내가 잘 보입니다.​핸드폰 사생활보호필름은 각도 에 따라. 편광에 따라서 옆에서 잘 안보이는 것입니다
Q.  유전의 힘, 유전의 위대함이라는 말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어떤것들이 유전되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① 자녀수가 적다.② 한 세대가 매우 길다.③ 형질이 복잡하고 대립형질이 뚜렷하지 않다.④ 다인자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 형질이 많다.⑤ 자유로운 교배 실험이 불가능⑥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아 규칙성이 없다. **유전형질의 우열관계는 자가수정이 부모에게 나타나지 않았던 형질이 자식에게 표현되면 바로 그형질이 열성 형질이다. 그 반대는 우성형질에 해당합니다.유전형질 중 정상 형질은 우성이든 열성이든 생존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지만 비정상형질은 그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겉으로 표현될 경우 생존에 불리합니다. 대부분의 비정상 형질은 열성으로 유전되기 대문에 쉽게 집단에서 유전자가 사라지지 않습니다.정상형질들 : 우열관계를 부등호로 표시 했슴 : 우성 > 열성 머리털 : 흑색>갈색>금발머리결 : 곱슬>직모귓볼의 형태 : 분리형>부착형혀말기 : 가능>불가능주근깨 : 있음>없음혈액형 : A = B > ORh혈액형 : Rh+> Rh-손잡이 : 오른손>왼손잡이피부색 : 검은색>황색>백색눈꺼플 : 쌍꺼풀>외꺼풀보조개 : 있다>없다홍채 색깔 : 검은색>청색이마선 모양 : V자형>일자형 턱모양 : 갈라진턱>평평한턱키, 체중,지능 =다인자유전 비정상형질들 : 우열관계를 부등호로 표시 했슴 : 우성 > 열성 미 맹 : 정상>미맹어린증(비늘피부증) : 정상>비늘 피부언청이 : 정상>언청이혈우병 : 정상>혈우병색 맹 : 정상>색맹겸형 적혈구 : 정상>겸형 적혈구페닐케톤뇨증 : 정상>페닐케톤뇨증알캅뇨증 : 정상>알캅뇨증알비노(백화증) : 정상>알비노헌팅턴무도병 : 무도병>정상백내장 : 백내장>정상손가락 수 : 다지>정상손가락 길이 : 단지>정상정신병 : 우성>정상합지증 : 합지>정상
Q.  오리너구리가 알을 낳게 된 특별한 원인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태생이다'는 모든 포유류가 공통으로 가지는 특징이 아닙니다.대부분의 포유류가 태생이지만 일부 포유류는 난생입니다.​오리너구리는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생물이기 때문에 포유류로 분류됩니다.그러나 모든 포유류가 새끼를 낳는 것은 아닙니다. 포유류 중에서 '단공류'라는 하위 분류군에 속하는 동물들은 알을 낳습니다. 오리너구리는 이 단공류에 해당하는 생물입니다.​정리하자면, 사고의 흐름이 1. 오리너구리는 온 몸에 털이 있고 새끼에게 털을 먹인다. -> 2. 오리너구리는 포유류구나! -> 3. 오리너구리는 알을 낳는다. -> 4. 포유류 중 알을 낳는 생물의 분류군인 '단공류'에 속하는구나!순으로 이어지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오리너구리의 주둥이(부리처럼 생긴 부분)도 조류의 부리와 해부학적 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위키백과의 '포유류' 페이지에서 캡처한 것입니다.포유류에 속하는 하위 분류군 중 노란색으로 표시한 단공목(단공류)에 속하는 종들만이 난생이고, 나머지 분류군에 속하는 종들은 태생입니다.
Q.  해변가에 고래 사체가 보이면 피하라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가 죽으면 사체가 바다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그 이유는 부패하면서 생긴 메탄가스가 두꺼운 지방층 때문에 밖으로 분출되지 못하고 속에서 점점 차올라 풍선처럼 부풀어오르기 때문인데요이후 외부 자극을 받게 되면 폭발을 일으키며 내장등이 터져나오는데 그 악취가 상상을 초월한다고 하네요고래사체가 해변가로 떠내려오면 처치가 곤란하여 인근 주민들에게 굉장한 골칫거리가 된다고 합니다
4564574584594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