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심해어들은 왜 깊은 바닷속으로 갔을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왜 생물들이 구지 열악한 환경에서 어렵게 적응해 사느냐.. 란 질문엔 이렇게 대답할 수 있습니다.보다 열악하지 안은 환경에서는 그것의 이점이 있지만 단점도 있는데 그것은 바로 생물들간의 경쟁이 치열 하다는 것입니다. 살기좋은 곳은 먹이가 많지만 경쟁자도 많고 포식자도 많습니다. 그해 비해 심해의 열악한 환경에서는 먹이가 적지만 경쟁자도 적고 포식자도 적지요.심해어는 먹이는 적되 경쟁자도 적은 환경을 선택했다고 보시면 됩니다.그리고 심해어가 깊지 않은 바다에서 살지 못하는 이유는 어려가지가 있는데 가장 원초적인 이유를 대보지요.앑은 바다에서 사는데 가장 문제가되는 것이 바로 수압입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우리 인간을 예로 들어 보지요. 우리 인간은 1기압(지표면에서의 공기의 압력을 1기압이라고 합니다.)에 살고 있고 1기압에 적응했습니다. 말이 1기압이지만 그힘은 엄청나지요. 그런데 우리 인간이 어떻게 외부의 힘에도 일그러 지지 않고 살수 있을까? 비밀은 바로 우리 신체의 힘 입니다. 우리 신체에서도 똑같이 1기압으로 외부힘에 맞서고 있기 때문이죠. 이런 인간이 만약 1기압이 아닌 다른 곳에 간다면 어떻게 될까요? 기압이 1기압보다 높은 곳으로 가면 압력을 못이겨 일그러질 테고 1기압보다 작은 곳으로 가면 내부 압력에 의해 뻥! 하고 터져 버립니다. 심해어에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심해는 수압이 매우 높은 곳입니다.(바다에서의 물의 압력을 수압이라고 합니다) 수압은 바다 깊이 들어갈수록 높아지지요. 얉은 곳은 깊은 곳보다 수압이 낮습니다. 적응한 심해어는 내부에서도 같은 압력으로 맞서고 있기 때문에 높은 수압에 견딜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 심해어가 얉은 곳으로 올라오면 어떻게 될까요? 네, 자체 내부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뻥!--------------------------------------------------------------------------------------------------문제제기 이유 : 답변 오류, 답변 수정 다른건 모르겠지만,,태평양에서 자유낙하퇴적물 채취기를 이용하여 망간단괴를 채취하는 연구사업에 참여했었던 적이 있는데요..그 때 우연하게 심해어를 볼 수 있었죠,,제 전공이 생물쪽이 아니어서 그 종은 잘 모르겠지만서도,,그 때 심해어와 심해새우(빨간새우라고도 하더군요)가 올라왔었는데,,님 의견처럼 뻥! 하고 터진 모습은 아니었습니다.원래의 자기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더군요.. --------------------------------------------------------------------------------------------------그 새우나 심해어가 어떤 수압의 영역에서 사는 지는 모르겠지만, 그것들이 일정한 압력영역(그 종들 같은 경우는 수심 몇 미터 에서의 압력 - 1기압 이하 이렇게 말이죠)에 적응 한 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경우도 딱 1기압에 적응한것이 아니라 몇기압~몇기압 이렇게 적응 했잖아요? 그런 심해어들이라면 제가 말한 경우에서 벗어 나겠지만 그 심해어들도 자기들이 적응한 압력영역에서 벗어나면 살기 힘든 것이 사실 입니다. (극단적으로 뻥 터질 수도 있습니다.)답변에서의 저의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서 극단적인 상황을 예로 들었음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심해어가 깊지 않은 바다에서 살 수 없는 제가 든 이유 말고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심해어는 깊은 바다에서는 살 기가 힘든 것입니다.
Q. 왼손잡이는 왜 오른손잡이보다 적은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은 신체의 왼쪽 편에 심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왼손으로 방패를 들고 오른손에는 칼을 들어 심장을 보호합니다. 이것이 인간이 오른손을 사용하는 이유이며 이것이 바로 토마스의 "칼과 방패의 이론"입니다. 인간두뇌 왼쪽 반구체에는 언어와 윤리 기능을 가지고 있고 오른쪽 반구체에서는 신체로부터 시각, 청각 정보 그리고 감각정보를 조절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실어증 연구에 의해 근거되면서 확정되엇습니다왼손잡이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태어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입양된 아이는 양부모보다는 친부모의 영향을 더 받습니다. 유전적인 통계는 부모님 모두가 오른손잡이일 때 그들의 자녀가 왼손잡이일 가능성은 2% 입니다. 이런 수치는 부모중 한사람이 왼손잡이일 때는 17%로 오릅니다. 그리고, 부모 모두 왼손잡이일 때는 50%로 상승합니다.최근 Mc.Manus & Bryden(1992)의 연구에 따르면 부모 모두가 오른손잡이일 때 왼손잡이 아이를 가질 확률은 9.5%, 한쪽이 왼손잡이일 때는 19.5%, 부모 모두 왼손잡이일 때는 26.1% 라고 하며 왼손잡이는 유전적인 "우성의 결과"이며 이는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영국의 많은 왕족들이 왼손잡이라는 사실 역시 유전적 증거로 인식됩니다왼손잡이는 전체 인구의 3 ~ 4% 밖에 안 된다고 해서 갓난아이의 경우, 오른손잡이 17%, 왼손잡이 3%, 좌우 양손잡이 80%였다가 성인이 되면서 점점 오른손잡이로 변했으며 우리의 뇌는 오른쪽 과 왼쪽로 나뉘어져 있으며 오른쪽 뇌와 왼쪽 뇌는 서로 다른 역할을 맡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오른쪽 뇌가 맡고 있는 것은 직감이나 상상력, 예술적 능력이고,왼쪽 뇌가 맡고 있는 것은 계산, 기억, 논리 등 컴퓨터 기능과 같은 것입니다.뇌의 명령은 항상 반대편으로 움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