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과거 화성에는 물 있어도 현재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란 원소는 같지만 물은 여러 형태의 분자구조를 가질수 있음. 액체 상태의 물 분자는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고리 구조로 연결되어 있음. 3, 4, 5, 6, 7 각수 등 다양한 유형의 결합이 가능하지만, 5각형 고리구조, 5각형 사슬구조, 6각형 고리구조 등 3종류가 안정적인 결합형태로 꼽힘. 이 중 6각형 고리 구조를 이루는 물이 바로 육각수!이처럼 물은 여러 형태를 가지므로 화성의 물도 지구상의 물과는 또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짐.지구 환경과 너무나 다르기 때문.지구에서 물은 산소 원자 1개와 수소 원자 2개로 이루어진 그냥 물 혹은 얼음이지만 화성에서는 물과 얼음이 이산화탄소와 혼합돼 있음.워낙 춥기 때문에 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이산화탄소와 혼합된 물이 얼음의 형태로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사진으로만 발견된 것이고 과학자들은 바위 안에 얼음이 있는 들어 있는 경우도 있고 암석층과 층 사이에 얼음이 갇혀 있는 경우를 확인하고 있다고 설명해왔음.그러나 아직 화성 물이나 얼음을 채집한 적은 없어 실제 결과는 어떨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음
Q.  화성에 이미 생명체의 존재 증거가 있다는 것은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적으로 화성 생명체 존재의 가능성이 제기된 것은 1877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표면에 줄무늬를 관측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스키아파렐리는 이것을 '계곡' 으로 여겼는데 해석이 잘못되어 세계에는 '운하' 로 퍼지게 되었죠 운하와 계곡은 차이가 굉장합니다 계곡은 자연 그대로를 뜻하지만 운하는 사람이 물길을 판 것을 뜻하므로 이 잘못된 번역은 곧 '생명체가 운하를 팠다'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게 되었죠 즉, 스키아파렐리는 생명체의 가능성을 제기하지는 않았으나 번역 상의 실수로 인하여 그것이 곧 생명체 존재를 암시하는 '운하' 가 되어버린 거죠 이후 20세기 초 정식으로 화성 생명체 가능성을 주장한 과학자는 미국의 로웰 이라는 천문학자였습니다 로웰은 자신이 건설한 천문대에서 하루 종일 화성을 관찰하다 스키아파렐리가 관측했던 것과 비슷한 줄무늬를 보게 됩니다 그런데 로웰이 보기에는 그 줄무늬가 일정하게 화성의 극지방에서 적도지방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여긴 것이죠 그래서 로웰은 "극지방에 있는 물을 적도지방으로 옮기기 위해 화성인들이 운하를 만든 것이다" 라고 주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구체적인 지도까지 만들게 되죠 이 파급효과는 컸습니다 꽤 신빙성이 있어 보였던 것이죠 이로 인해 20세기 초반 화성열풍이 불기 시작했고 각종영화,매체에서 화성인이 큰 이슈가 되었지요
Q.  우주에 광속보다 빠른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물리학적으로 불가능하다. 광속에 가까워질 수록 에너지는 엄청나게 늘어나고, 광속 그 자체가 되면 질량이 있는 한 필요한 에너지는 무한이므로, 초광속에 도달하려면 무한보다 더 큰 에너지를 공급해줘야 한다.정확히는 진공 속의 빛의 속도보다 빠른 것은 없다. 이는 물 등의 매질 속에서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꼭 진공 속이라 한정 지어야 한다. 체렌코프 현상은 입자가 빛의 위상 속도보다 빠를 때 나오는 현상인데, 여기서의 위상 속도는 일반적인 빛의 속도와는 의미가 다르다.다만 빅뱅 우주론에서 우주 공간 자체의 팽창 속도는 초광속이라고 한다. 모순같지만, 상대성 이론에서 정의하는 광속제한은 어디까지나 질량이 있는 물체 혹은 정보전달 능력을 지닌 존재에 한정된다. 공간 자체에는 암흑에너지로 대표되는 진공에너지는 존재해도, 공간좌표계 자체는 질량이 있는 것도, 정보전달능력이 있는 것도 아니므로 초광속으로 팽창하는 건 가능하다. 간단히 말하면, 긴 고무줄(공간)에서 달리는 개미(정보 혹은 질량체)가 있다고 하면, 개미의 속도에는 제한이 있지만(광속), 고무줄이 그 속도 이상으로 늘어가는건 허용한다는 것이다.실제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증명되고 양자역학적으로 검증된 바에 따르면, 물리학적으로 속도는 '광속보다 느림', '광속', '광속보다 빠름'의 세 가지 영역으로 명확히 구분되며, 각각의 단계에 속한 입자는 생성 시부터 소멸 시까지 해당 영역을 절대로 벗어날 수 없다. 예를 들면 광자(빛)은 광속으로만 이동하며, 그 외의 속도를 가질 수 없는 한편 정지해 있는 입자는 광속 미만의 속도를 가지는 것만 가능하다는 식이다.여기에서 나온 이론상의 가상 입자가 타키온. 이 입자는 상대성 이론에 입각하여 허수의 정지질량을 가져야 하며, 생성될 때부터 소멸될 때까지 광속이나 그 이하로 감속할 수 없는 속성을 가진다. 이 입자를 광속 이하로 감속 시키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무한의 에너지[허수]가 필요하다.*[허수] 이 경우는 분모도 허수, 질량이 있는 분자도 허수여서 지워져서 실수로 겨우 겨우 만들었는데, 이제는 또 분모를 다시 실수로 고쳐 놓아서 허수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참고로 허수 질량을 가진 중성미자는 중성미자 진동이 일어나지 않다는 점에서 실수 질량을 가지는 중성미자와 다르다고 한다.결론, 빛보다 빠른속도로 이동하면 물체의 형체가 없어짐.측정도 불가.
Q.  UHD TV가있는데 어떤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해상도의 차이입니다. 픽셀을 설명해야 하는데 조금 어렵고 복잡해질 수 있어 한마디로 정의 하자면, 같은 화면 크기 내에서 표시할 수 있는 점 하나의 크기가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점이 작아서 세밀하게 표시 가능합니다. 그래서 화질이 더 좋게 보이는 것입니다. 즉, UHD > FHD > HD ... 이런 식으로 화질이 좋습니다. UHD가 HD보다 고화질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Q.  드라이 아이스가 녹지 않는 온도가 몇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본래 이산화탄소를 얼리려면 -78도 이하로 온도를 내려야 하는데.. -78도이하로 온도를 내리는게 쉽지 않을 일이기 때문에... 편법을 써서.. 압력을 가해주면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만들어져요.. -50도라든가 압력을 무지 가해준다면 물과같이 0도에서도 가능하겠지용?? ㅋ 머 어는점을 원하신다면 -78도가 데겠지용??? 그리구 녹는점.... 위에서 말했드시 녹는점이 없어요 액체상대가 없기 때문이죠.. 대신에 기체상태가 되는 점이 승화점이라구 있는데.. 고체에서 기체루 데는 점을 승화점이라구 한답니당..ㅋ 이것또한 어는점과 같이 -78도에요.. -78도를 전후로얼고 녹는다는 말이 데겠지용?? ^^& 답이 뎄으려나 모르겠어용.. -_-;;
461462463464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