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미래 인류 혹은 고도문명 외계인 묘사를 보면 민머리던데?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인류는 민머리 유전자를 가지고 앴믄것이며 외계인은 처음 외계인을 묘사햘때 그렇게 그린겁니다
Q.  오리는 왜 떨이 물에 졌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리의 꼬리끝에는 유낭이라는 큰 기름샘이라는 것이 잇습니다 그곳에서 기름을 분비하면 오리는 자신의 부리로 기름을 깃털에 옴겨 바름니다. 물과 기름은 안섞이죠.. 그러니 오리가 깃털이 안젖고 가벼우니 둥둥 떠다닐수 잇는 겁니다!~ 오리는 물에서 살기위해 적응한것입니다..
Q.  고라니는 왜 우리나라에는 흔한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일제강점기 때의 해수구제사업과 6.25 전쟁의 여파로 인해 크고 작은 포식동물은 남한에선 절멸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단순화된 한국 생태계에서 멧돼지와 함께 매우 번성하고 있다. 다만 천적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닌데, 담비와 삵, 수리부엉이, 검독수리가 고라니를 잡아먹는다. 하지만 이들도 개체수가 그리 많지 않고 꼭 고라니만 잡아먹는 것은 아니라 개체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주로 물가에 서식하기 때문에 갈대숲 같은 곳에 보금자리나 임시 거처를 마련하는 경우가 많다. 시골의 경우 집주변 갈대 숲에 고라니가 눌러 앉았다 간 자국이 흔히 보일 정도다. 보통 사람이 무릎을 굽히고 앉은 정도 크기로 풀들이 눌려 있으며, 주변에 고라니 솜털이 붙어 있는 경우도 있다.​또한 물가에 서식하는 종답게 수영을 아주 잘하는데, 영문명인 water deer나 속명인 Hydropotes도 물과 관련된 뜻이다. 가끔 고라니가 아주 넓은 호수나 강을 개헤엄치면서 건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사전지식 없이 본다면 굉장히 당황스러운 장면이다.​세계자연보전연맹 홈페이지에서는 한반도 서해안과 중국 장쑤성이 서식지라고 되어 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전국에 서식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경산시에서는 영남대학교 캠퍼스 한복판을 달리는 고라니가 목격되기도 했고, 대구광역시 계명대 성서캠퍼스에 고라니가 나타나 119가 출동하기도 했다. ​사람 주변에 나타나는 것은 개체수가 워낙 많은 한국만 유독 심한 편이지, 본래 사람의 영향이 있는 곳에서는 서식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중국의 연구 결과도 있다. 북한은 이미 산림이 대부분 파괴되어 있는 데다가 하천을 개조하고, 습지를 메워 농지로 만드는 등의 개발로 인해 고라니의 서식지가 대부분 파괴되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해 이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Q.  달팽이는 초식동물로 알고 있는데 어떤경우에 동족포식을 하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달팽이를 키웁니다. 달팽이는 자웅동체로써 번식력이 아주좋죠원래 첫 메이팅은 기다림이죠 시간을 갔고 2달정도 지켜봐주세요. 첫 산란이후에는 더 활발한 산란이 이루어집니다.알은 흙 밑에 낳으니깐 바닥재를 더 높게 깔아주고 습도, 온도관리에 신경써주세요 추우면 교배안해요
Q.  바다생물이 바닷물을 먹고도 살 수 있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산소가 많이 녹아있으며,바닷물의 소금기는 오줌으로배출합니다. 저도 처음에는거짓말인줄 알았는데 실험을 해보니진짜그래요.(밑은 실험내용)1.소금을 넣은 어항 준비(바닷물을 이용해도됨.)2.금붕어 3~4정도 넣는다.3.금붕어 항문(안 보일수도 잇음)에 봉지를 단다.(작은 것으로..)4.봉지에서 오줌이 다 차면 금붕어에서 뺀다.5.현미경으로 조사
5465475485495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