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물건에도 영혼이 있다는 사고가 물활론적사고인가요?
물환론은 모든 사물, 자연 현상, 심지어 무생물에도 혼이나 생명이 깃들어 있다고 믿는 세계관입니다. 예를 들어 고대 사회에서 해, 달, 강, 나무 등에 혼이 있다는 애니미즘, 아이들이 인형과 교감하는 행위 등이 물활론적 사고의 사례입니다. 중국을 비롯한 인류 역사의 원시 신앙에서 물환론적인 신앙이 존재하여 왔습니다.
Q. 불교랑 자이나교가 윤회론.영혼불멸설 그리고
불교는 윤회설을 믿는 종교로 인간이 죽은 후 업에 따라 육도윤회를 반복된다고 믿었습니다. 힌두교도 윤회를 중심 교리로 삼으며, 아트만(영혼)이 업에 따라 새로운 육체로 환생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해탈을 통해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 브라만과 합일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이나교는 인간의 영혼이 신성하고 불멸하며 육체적 삶을 반복하는 윤회를 겪는다고 믿었습니다. 서양에서 고대 그리스의 오르페우스는 인간의 영혼이 신성하고 불멸하며 육체적 삶을 반복하는 윤회를 겪는다고 믿었습니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영혼이 불멸하며, 죄를 씻기 위해 육체라는 감옥에서 갇혀 윤회를 반복한다고 보았습니다. 플라톤 학파는 영혼의 불멸성을 주장하며, 영혼이 여러 생애를 거치며 진리를 깨닫고 정화된다고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