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무오사화의 발생원인은 무엇인가요?
연산군 재위 시기인 1498년에 일어난 무오사화는 사림의 세력 확대에 대한 훈구세력의 견제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입니다. 무오사화는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이 발단이 되었습니다. 이 글은 항우가 초나라 의제를 죽인 사건을 빗대어 세조가 단종을 폐위한 일을 은유적으로 비판한 내용입니다. 김종직의 제자 김일손이 실록 편찬 과정에서 '조의제문'을 사초에 포함하고자 하자 훈구파 유자광 등이 연산군에 밀고한 것입니다. 즉 그동한 위협이 되었던 사림파를 제거할 목적으로 조의제문을 빌미로 삼은 것입니다. 연산군도 왕권 강화를 위해 훈구세력과 협력하여 사림을 억압한 것입니다. 무오사화로 김종직을 부관참시하고, 김일손 등을 처형하였습니다.
역사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배경이 뭘까요?
강화도 조약의 체결 배경으로는 우선 고종의 친정입니다. 고종은 흥선대원군과 다르게 대외 정책의 변화를 모색했습니다. 또한 통상개화론자들의 영향력도 커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1895년 일본이 개항을 목적으로 운요호 사건을 일으켰으며, 이를 구실로 개항을 요구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대내적으로 개항 분위기 확산과 대외적으로 운요호 사건이 계기가 되어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것입니다.
역사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축하할 일이 있을 때 촛불은 왜 키고 왜 부는건가요?
좋은 질문이네요. 촛불은 어둠은 밝히는 빛으로 새로운 시작과 생명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고대부터 종교적 의식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생일 케이크에 촛불을 꽂는 것은 중세 독일 농민들의 전통에서 아이의 생명을 축하고 건강과 행운을 위한 전통으로 유래했습니다. 그리고 촛불을 끄는 것은 소원을 비밀스럽게 간직하며 이루어지길 바라는 의식입니다. 그리고 촛불을 끄는 순간 소원이 신에게 전달된다고 믿었습니다.
역사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고구려는 왜 말을 잘타는 민족이었을까요?
고구려는 말을 잘 타는 기마민족으로 불리는 이유는 북방 민족과 접촉하며 기마 문화를 수용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특히 퉁구스 민족 및 부여와 교류하면서 말을 활용한 전투 기술과 생활 방식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리고 지리적으로 산악과 초원지대를 배경으로 고구려가 성장했습니다. 이 지역은 농경이 쉽지 않아 목축과 수렵이 중요한 생업이었기 때문에 말을 잘 다루어야 했습니다. 이와 같은 말을 잘 타는 능력은 군사력으로 이어졌습니다.
역사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영국 해군의 역사에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영국이 해적을 해군으로 편입한 것은 16세기 후반~17세기 초, 엘리자베스 1세 재위 시기입니다. 당시 무적함대를 운영하는 필리페 2세의 스페인은 유럽의 강대국이었습니다. 엘리자베스 1세는 스페인을 견제하기 해적들에 사략선이라는 정부 허가증을 가지고 적국의 상선을 공격할 수 있는 면허를 발급하였습니다. 가장 유명한 인물이 프랜시스 드레이크 경입니다. 해적들의 활약으로 영국은 무적함대를 격파하고 대서양과 세계 해양에서 패권을 장악했습니다.정규 해군을 유지할 자원이 부족했던 영국이 바로 이 사략선을 해군에 편입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적국의 무역로를 교란할 수 있었습니다.
736
737
738
739
7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