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121사태로 인한 대한민국 사회에 변화는 무엇이 있었나요?
1.21 사태는 1968년 1월 21일에 북한이 124부대 소속 무장 공작원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여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려다가 실패한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남한에서는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비상시 대비를 위해 향토예비군을 창설하였으며, 신분 확인을 위해 주민등록증이 발급되었습니다. 그리고 고등학교 교련 교육이 시행되었으며, 보복을 위해 684부태(실미도부대)가 창설되었습니다. 군부대에서도 천리 행군 도입, 5분대기조 운용, 대간첩 작전 부대가 창설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구려의 9대왕인 고국천왕 때에 시행한 진대법은 무엇인가요?
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이 을파소의 건의로 194년(고국천왕 16년)에 도입하였습니다. 이는 흉년이나 춘궁기에 농민들엑 곡식을 대여해주고, 가을 추수 후에 이를 갚도록 한 사회 보장제도입니다. 이는 고려의 의창, 조선의 환곡 제도로 이어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락제는 왜 북경을 수도로 정한건가요?
영락제가 북경(베이징)을 수도로 정한 이유는 우선 애초 자신의 근거지였습니다. 그는 난징에서 즉위하였지만 난징 세력 등과 갈등 있었으며, 자신의 근거지로 옮김으로써 권력을 공고히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북방 유목 민족들부터 방어에 유리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영락제는 몽골 등 북방 민족의 위협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북경을 수도로 삼은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천상륙작전에 동원된 자원 규모는 어느정도였나요?
인천상륙작전은 1950년 9월 15일 시행되었습니다. 상륙 작전에 동원된 병력은 75,000명이 투입되었습니다. 해군 함정 261척, 항공기를 작전에 참여해 공중 지원을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역사학자들이 만주에서 자유롭게 조사를 할수 있나요?
우리나라 역사학자들이 만주에서 조사 활동에 대해서는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만주는 현재 중국의 동북지방으로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으면 자유롭게 조사하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 우리나라의 고대사는 중국 정부가 민감하게 여기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만주에서 역사 연구는 중국의 협조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사는 돌아가신분을 후손들이 추모하는 의식이라고 하는것 같아요. 제사날은 고인이 살아 있을때 날짜를 제사날로 한다는데 맞는가요? 이유가 있나요?
기제사를 지내는 날짜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원래 전통 제사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짜의 가장 이른 시각(자시, 지금으로 치면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에 지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런데, 현대에 들어서면서 유족들이 늦은 밤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부담스러워 이른 저녁으로 당겨서 지냅니다. 이 때문에 하루 전으로 바꾸어 오해가 생긴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왜 삼국지 관우는 신적으로 추앙받고 있나요?
관우가 신으로 추앙받는 이유는 그의 충성과 의리를 높이 평가했기 때문입니다. 관우는 유비와 장비와 함께 '도원결의'를 맺고 평생 충성과 의리를 살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는 생전에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쳤고, 송과 명나라 시기에는 관우를 ㅊ우신으로 숭배하여 그의 지위를 높였습니다. 그 외에도 상인들은 관우를 재물신으로 숭배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왜 예전에는 중국 사람들을 되놈 이라고 한건가여?
"되놈"은 중국인을 얕잡아 부르는 한국어 명칭 가운데 하나입니다. '되'라는 말은 본래 두만강 인근에 살던 여진족을 부르는 말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한국, 중국에서 여진족을 '도이'이라고 많이 불렀고 이는 말갈, 여진족 시절부터 사용했던 말입니다.또다른 주장은 되놈’이라는 말은 중국어의 '네’를 뜻하는 '对(duì)'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중국어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duì’라는 발음을 듣고 '되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즉 중국어를 잘 모르는 사람의 입장에서 중국인들이 '뙤뙤'거려 중국 사람들을 뙤놈이라 한 주장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의 최초의 교통사고는 언제로 기록되어 있나요?
우리나라 최초의 교통사고는 1899년 5월 26일 발생하였습니다. 이 사고는 우리나라에서 전차가 부설되고 일주일 지나 아버지와 길을 걷던 다섯 살 어린이가 전차에 치어 숨진 사고입니다. 자식을 잃은 아버지와 성난 군중이 전차를 불태웠으며, 당시 미국 사업가 콜브란은 집으로 쳐들어온 사람들을 피해 간신히 피해 달아났습니다. 이 사건에 대해 고종은 관련자를 엄벌에 처햇으며, 한성판윤이 사임하고 전차는 5개월간 운행을 중단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1968년에 남북관계에서 굵직한 사건들에는 어떤 사건들이 있었나요?
1968년 남북 관계에서 여러 중요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먼저 1.21사태로 1월 21일 북한의 특수부대 31명이 청와대를 기습하여 당시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려 시도랬습니다. 당시 29명이 사살하고, 1명(김신조)는 생포, 한명은 북으로 도주했습니다.그리고 1월 23일 미 해군 첩보선 푸에블리호가 원산 앞바다에서 나포되었으며, 이 사건으로 미국과 북한의 긴장이 고조되었습니다.또한 그해 10우러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울진.삼척 무장 공비가 침툭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북한의 특수부대원 120명이 침투하였으며, 이 사건으로 남한은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8618628638648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