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스마트기기가 아닌 일반 제품을 (ex 손풍기, 전자계산기, 손전등,랜턴 등) 고속충전기에 연결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일반 제품을 고속충전기에 연결할 때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호환성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고속충전기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여 필요한 전압을 결정합니다. 하지만 일반 제품의 충전 모듈은 이러한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충전기에 잘못 연결될 경우 예상외의 전압이나 전류가 공급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과열, 손상, 심지어는 화재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고속충전기가 인식을 못해도 5V로 충전되겠지만, 모든 충전기가 동일하게 작동하지는 않으므로 일부 충전기는 오류로 인해 예기치 않은 높은 전압을 공급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 제품을 고속충전기에 연결할 때는 충전기와 제품의 사양을 항상 확인하고 가능한 경우에는 기본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 SLAM 이나 칼만필터 같은 주제를 무료로 배울만한 자료나 사이트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SLAM 및 칼만 필터에 관한 기초부터 응용까지 배울 수 있는 무료 자료로는 Coursera의 "Introduction to Robotics"를 추천합니다. 해당 강좌는 Stanford University에서 제공하며, 무료로 청강할 수 있습니다. 또한, edX의 "Robotics: Vision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도 유용한 자료입니다. Udacity의 "Localization" 강좌도 무료로 제공되며, SLAM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를 다룹니다. Google Scholar나 arXiv.org 등의 학술논문 사이트도 유용한 참고자료를 제공합니다. YouTube에서 관련 강의를 검색하면 다양한 튜토리얼 영상도 찾을 수 있습니다.
Q. (물리학) 톰슨의 음극선 실험에서 자기장 실험은 왜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톰슨의 음극선 실험에서 자기장을 사용하는 이유는 음극선을 구성하는 입자의 전하 대 질량 비율을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음극선이 음전하를 띠고 있음을 알아냈지만, 이 입자들이 얼마나 무거운지 또는 가벼운지를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자기장을 통해 입자들이 휘는 정도를 관찰하면, 전하와 질량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의 기본적인 성질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고, 이는 현대 전자공학의 기반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