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 톰슨의 음극선 실험에서 자기장 실험은 왜 하는 건가요?
음극선 실험을 총 두 가지를 하는데, 첫번째 실험인 전기장을 걸었을 때는 (+) 방향으로 휘니까 (-) 전하를 띤다는 걸 알아낸 거잖아요?
근데 두번째 실험인 자기장을 걸었을 때 N극으로 휘어지는 실험은 왜 하는 건가요..? 이미 (-) 전하를 띤다는 건 첫번째 실험에서 알아낸 거 아닌가요? 두번째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게 뭔가요?
한번 질문 올렸었는데 제 질문에는 제대로 된 답이 없고 연관없는 답만 주셔서 다시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톰슨의 음극선 실험에서 자기장을 사용하는 이유는 음극선을 구성하는 입자의 전하 대 질량 비율을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음극선이 음전하를 띠고 있음을 알아냈지만, 이 입자들이 얼마나 무거운지 또는 가벼운지를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자기장을 통해 입자들이 휘는 정도를 관찰하면, 전하와 질량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의 기본적인 성질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고, 이는 현대 전자공학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두 번째 자기장 실험은 음극선이 (-) 전하를 띤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극선을 이루는 입자의 전하량 대 질량의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자기장을 걸어 음극선의 원운동 반지름을 측정하고 이를 전기장 실험 결과와 함께 분석하면 입자의 물리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음극선이 특정 질량을 가진 전자임을 증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톰슨의 음극선 실험에서 자기장을 활용한 실험은 전자(음극선)의 성질을 더욱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음극선이 (-) 전하를 지닌 것을 알아냈지만, 두 번째 자기장을 사용하는 실험은 그 전하의 질량과 전하량의 비율, 즉 전하의 구체적인 특성을 계산하는 데 기여합니다. 자기장을 걸면 음극선은 원형 궤적을 그리며 휘어지는 현상이 관찰됩니다. 이를 통해 전자의 전하 대 질량의 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자료는 전자의 본질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톰슨은 실험에서 음극선이 N극 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관찰하여 음극선이 음(-)전하를 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원자가 전하를 띈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실험이라고 볼수있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