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는 조선 주식이 폭등했는데 왜 그런거죠?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갑자기 조선주가 튀어 오르면 다들 무슨 호재가 터졌나 싶어지죠. 실제로 최근 조선업종은 LNG선 수주 소식이나, 원자재 가격 안정, 선박 운임 회복 기대감 등이 겹치면서 투자심리가 확 달아난 상황입니다. 특히 대형 조선사 위주로 수주 잔고가 늘고 있다는 뉴스가 많았고, 정부의 친환경 선박 정책 같은 장기 수혜 기대감도 겹쳐 있었던 걸로 보입니다. 다만 단기간에 급등한 종목일수록 고점에서 진입할 경우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실제 수익성 개선이 동반되고 있는지 실적 발표 등을 확인하고 판단하는 게 좋습니다. 단순 테마 흐름만 보고 뛰어들었다가 조정받는 경우도 많았다는 점은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Q. 한 식당에 올려진 팁박스.. 국내에서는 과연?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팁박스 하나에 이렇게 말이 많아지는 걸 보면, 우리나라에선 여전히 팁 문화가 익숙하지 않다는 게 느껴집니다. 식당에서 팁을 요구하는 건 법적으로 금지된 건 아니지만, 통상적인 서비스 가격 안에 모든 비용이 포함된다는 인식이 강해서 손님 입장에서는 조금 당황스럽거나 불쾌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도 계산대 옆에 슬쩍 팁박스를 둔 사례가 있었는데, 그때도 논란이 있었던 걸 보면 아직은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지기엔 이른 것 같습니다. 자발적인 감사 표시로 받아들이면 괜찮지만, 암묵적으로 요구하는 분위기가 된다면 오히려 반감을 살 수 있어 보입니다.
Q. 농수축산물 시장 개방 요구를 막아낸건 큰 성과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농수축산물 개방 요구를 막아냈다는 건 솔직히 쉽지 않은 협상 결과였다고 봅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민감 품목이 많은 구조에서는, 이걸 지켜낸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다고 느껴집니다. 상호관세 15% 수준도 생각보다 선방한 조건인데, 국민의힘에서 전면 비판하는 건 다소 정치적 의도가 섞인 판단 같아 아쉬움이 있습니다. 협상이라는 건 절대적인 승리보다, 지켜야 할 건 지키고 얻을 건 얻는 쪽에 더 무게를 두는 게 실무 감각인데, 그런 현실적인 부분도 함께 봐줬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