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아기가 밤에 잠을 잘 못 잘 때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처법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낮에 활동이 모자란 아이들은 체력이 남아 있어 밤에 잠을 못자는 경우도 있고 초저녁에 잠을 자게 되어도 밤에 잠을 못자는 경우가 있어요 낮에 놀란 일이 있어도 밤에 경기를 하는 일이 있어 밤에 놀라 잠을 못자는 경우도 있습니다 낮잠을 시간에 맞추어 자야 하고 일정하게 하루를 잘 보내야 합니다 점심을 먹고 오후 1~3시 까지는 잠을 자는 것이 좋고 초저녁에서 잠을 자지 않도록 주의 하셔야 합니다 6살 쯤 되면 낮잠을 자지 않을 정도로 체력이 좋아 집니다 낮에 활동이 부족 하면 저녁 늦게 까지 놀려고 하기 때문에 저녁 늦게 잠에 든다면 아침에 늦게 일어나게 되고 하루 일과가 꼬이게 됩니다 저녁 9시 쯤에는 아이들이 잠에 들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12개월 전후 라면 주위 환경에도 민감 하기 때문에 주위를 조용하게 해주고 아기가 불편한 것이 없는지 잘 펴 보아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독립적인 행동을 하기 위해서 부모들이 해야 할것들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의 독립심을 키우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부모님과 함께 잠을 자고 있다면 혼자 잘수 있도록 하는 것 입니다 아이가 혼자 자면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수 있도록 기초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아이들이 혼자 할수 있는 일은 부모님이 도와 주기 보다는 혼자 할수 있도록 지켜 봐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가 잘 못하더라도 애처로운 모습을 보이기 보다 잘 할수 있다고 칭찬하고 응원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아이들 성장통은 주로 몇살쯤에 많이 생기는지 알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일반적으로 성장통은 아이들의 성장 발달이 왕성 할 때 생기는 통증 입니다 3세에서 12세 정도에서 많이 나타 난다고 합니다 성장통은 질병이 아니다 보니 특별한 치료 법은 없습니다 낮 보다는 잠을 자고 있는 새벽 시간 때 통증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요 아침이면 통증이 사라지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아이들 입장에서는 이유 없이 아프다고 생각 되기 때문에 정서적이 두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아이를 달래 주거나마음의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요즘 아이들에게 티비를 일주일에 주말만 1~2시간정도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심하다고는 생각 하지는 않습니다 기준이라는 것이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티비를 보지 않을 때에서 아이들이 심심하지 않게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들과 함께 보드게임을 하다든지 간단하게 아이와 운동을 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들은 무료해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티브 시청을 찾게 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2월 5일 작성 됨
Q.
유보통합이라는 것은 보육교사도 교원직이 된다는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유보통합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하나로 통합 한다는 뜻 입니다 통합이 되면 어린이집과 유치원이라는 이름은 사용하지 않고 통합 된 이름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현재에는 유치원은 교육부가 관할 하고 어린이집은 보건 복지부에서 관리를 합니다 통합이 되면 복지부에서 관리 하지 않고 교육부로 이관 하게 됩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선생님의 자격 요건이 유치원은 유아교육과를 졸업해서 교원2급 자격이 있어야 근무를 할수 있고 어린이집 보육 교사는 고등학교 이상 학력에 보육교사 자격증이 있으면 근무를 할수 있죠 통합이 되면 보육교사도 유치원 교사와 같이 동등한 학력이 있어야 되지 않나 하는 점 입니다 기존에 보육교사를 다시 학위를 받아야 하나 아니면 자격증이 있는 사람은 승급을 시켜야 하나 이런 문제 점이있습니다 유보통합 기한이 많이 밀려 있어 언제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176
177
178
179
1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