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형제자매에게 서로 질투하는 아이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형제나 남매 자매가 서로 질투 하거나 샘을 하는 건 부모님이 편애를 한다고 생각 하기 때문 입니다 항상 공평 하게 아이들을 대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아이들은 작은 것 까지 질투하고 샘을 하기 때문에 항상 신경 써야 합니다 아이들을 혼을 낼 때에도 다른 형제가 보는 앞에서 혼을 내는 건 좋지 못 합니다 항상 독립된 공간에서 아이를 훈육하고 편을 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잠을 늦게 자려고 하는 아이,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형성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시도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낮에 활동이 부족해서 체력이 남아 있는 경우 밤에 쉽게 잠을 들수 가 없습니다 낮에 활동을 많이 하게 하고 아이가 잠을 잘 이룰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조용 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잠을 자려고 하는데 거실에 tv 켜 소리가 나거나 하면 아이가 잠을 못 이룰 수 있으니 tv를 끄는 것이 좋고 가족이 함께 잠을 자는 것도 아이가 잠을 잘 자게 하는 방법이 될 수 있어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편식 심한 아이 다양한 음식을 즐기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식사 시간에 배가 고프진 않으면 밥을 잘 먹지 않아요 식사 전에 과자나 간식을 너무 많이 먹지는 않았나요 활동이 적어도 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식사 시간에 먹지 않아도 식사 시간 후 아이가 배가 고프다고 하면 다시 밥을 차려 주지는 않나요 아이들은 식사 시간에 밥을 먹지 않아도 밥을 먹을 수 있다는 걸 알고 있다면 식사 시간에 밥을 잘 먹지 않고 돌아 다니거나 다른 행동을 하게 됩니다 식사 시간이 아니면 따로 밥을 챙겨 주거나 하면 안됩니다 아이들이 식사 시간이 아니면 밥을 못 먹는 다는 걸 인식해야 식사 시간에 밥을 잘 먹을 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지나치게 승부하는데, 건강한 경쟁과 패배를 받아들이는 태도를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이 자녀에 대한 지나치 기대감이 자녀들이 지나친 경쟁에 뛰어 들게 만들 수 있어요 항상 1등 하기를 바라고 최고 이기를 바라도 보니 아이들은 최선 보다는 1등이 아니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에서 문제가 생기 기도 합니다 자녀가 시험을 치거나 대회를 나가게 되면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 하고 져도 괜찮다고 이야기 해주는 것이 아이들이 지나치게 경쟁 하는 걸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본인이 잘못하고 변명만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의 대한 기대치가 높거나 아이를 훈육 할때 강박이 많거나 심하게 혼내는 경우 아이가 잘 못 했어도 혼이 나는 것이 두렵고 무섭기 때문에 변명을 하거나 절대 잘 못을 인정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보통 부모님들은 아이가 변명을 하고 거짓말을 하게 되면 더 큰 소리로 아이를 혼을 내거나 합니다 그러다 보면 아이들은 더울 주눅이 들고 마음이 닫히게 됩니다 항상 아이와 대화 시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고 편을 들어 주어 아이와 소통이 되면 아이가 말하는 도중에 스스로 잘못을 이야기하고 반성 할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신뢰가 있어야 하고 부모님 말에 대해 설득이 되어야 합니다
놀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만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모든 아이들이 공부하는 걸 좋아 하지는 않습니다 공부 보다는 체육이나 예체능에 관심이 많고 호기심이생기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공부도 타고 나는 것이 일부 있기 때문에 공부에 대한 흥미가 있지 않으면 책상에 있어도 학원에 가도 별 효과를 보지 못 합니다 아이의 꿈이나 장래 희망을 잘 키워 주어 꿈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공부를 하게 하는 방법이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다른 아이들과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와주려면 어떤 접근법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혼자 노는 것이 편하고 좋은 성격을 가진 아이들도 있습니다 항상 친구들과 함께 놀아야 행복 하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성격이 맞지 않은 아이와 놀게 되면 오히려 부정적인 사회성을 기를 수 있어 혼자 노는 아이를 사회성에 문제가 있다고 표현 하는 건 옳지 못한 행동 입니다 아이와 성격이나 마음이 맞는 아이를 찾아 주는 것이 아이에게 도움이 될수 있어요
놀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와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와 대화시 아이의 말에 대해 부모님이 공감하고 이해하고 아이의 말을 끝까지 들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 합니다 항상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고 끝까지 잘 들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 합니다 부모님과 대화에서 아이가 부모님께 존중 받는 다는 마음을 느꼈다면 친구에게도 말을 잘 들어 주고 친구에 말에 공감이나 이해를 할수 있어요 부모님이 자녀를 잘 이해하고 마음을 알아 준다면 아이도 친구의 마음을 잘 알고 이해 해줄 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와의 관계를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이 친구와 어울리는 것 자체가 사회 생활을 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친구들 하고 어떻게 지내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들이 사회성을 기르고 있는 단계라고 봐야 됩니다 아이들 하고 갈등이 있고 다툼을 해결하는 단계에서 더 많은 사회성을 높이고 있는 상태라고 봐도 됩니다 부모님이 특별하게 친구 관계를 코치 하는 것 보다 아이가 스스로 결정 하게 하는 것이 아이가 사회성과 독립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것 같아요 아이가 힘들어 하거나 도움을 요청 하면 그때 아이들에게 도움을 줄수 있는 말을 해주면 될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의 편식이 고쳐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대부분의 어린 아이들이 채소를 싫어 하고 먹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에도 야채를 싫어하고 육류나 인스턴트 음식을 즐겨 먹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선 아이들이 채소를 잘 먹기 위해서는 부모님도 항상 채소를 즐겨 먹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이 채소에 대한 편식이 있는 경우 자녀들도 거의 채소는 먹지 않는 모습을 보입니다 아이가 채소를 잘 먹기를 바란 다면 부모님 부터 채소가 건강 하고 맛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좋아요 물에 빠진 채소는 잘 먹지 않으니 튀김을 해주면 어느 정도는 먹습니다
176
177
178
179
180
카카오톡
전화 상담